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발간사
서문
요약
목차
제1장 서론 35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5
2. 연구의 목적 37
3. 연구의 범위 및 연구의 기본 틀 38
4. 연구방법 39
1) 제도 분석 및 문헌 고찰 39
2) 설문조사 40
3) GIS분석 및 실태조사 - 사례분석 41
4) 연구협의회 42
5) 외부전문가 원고 위탁 43
5.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44
1) 주요 선행연구 현황 44
2)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51
제2장 산지의 정의 및 구분체계 53
1. 국토이용구조와 산지 53
2. 산지의 정의 54
3. 산지의 특성 56
4. 산지구분체계 58
1) 절대임지와 상대임지 59
2) 보전임지와 준보전임지 61
3) 생산임지, 공익임지, 준보전임지 63
4) 보전산지·준보전산지와 농지구분체계 63
제3장 산지관리제도 및 산지관리 현황 67
1. 산지관리법에서의 산지관리 67
1) 산지에 대한 행위제한 67
2) 산지전용허가 및 협의제도 70
3) 개발면적 및 연접·인접의 제한 75
2. 산지이용 및 보전 관련제도 77
1) 국토계획법에서의 산지이용 79
2) 환경정책기본법 81
3) 환경·교통·재해등에관한영향평가법 82
3. 산지관리 현황 83
1) 산지구분 현황 83
2) 산지전용 현황 85
제4장 산지관리제도의 문제점 분석 96
1. 산지와 산지보전 개념의 문제 96
1) 산지와 산림 개념의 미분화 96
2) 제한적 산지보전 개념과 산지보전체계 98
2. 산지 중심의 산지구분체계 102
1) 주변지역과의 연계성이 부족한 산지관리체계 102
2) 공간계획과의 연계성이 미흡한 산지구분체계 104
3. 인문요소 중심적 행위제한 문제 105
1) 도시지역 내 산지와 준보전산지의 누적적 행위제한 문제 105
2) 보전산지에 대한 행위제한 상의 문제점 108
3) 산지전용 허가기준의 한계와 모호성 111
4. 산지구분체계 및 구분기준의 문제점 111
1) 생태적 측면의 산지구분기준 미흡 111
2) 산림 기능에 따른 산지관리의 미흡 114
5. 친환경적 산지개발기준의 미흡 116
1) 개별법 중심의 산지개발체계 116
2) 친환경적 산지개발 기준의 미비 120
제5장 산지관리제도의 개선방향 125
1. 산지관리제도 개선의 기본 방향 125
2. 개선방향 127
1) 산지관리의 기본 개념 전환 127
2) 종합적 산지관리의 틀 구축 128
3) 산지의 친환경적 관리 방안 마련 142
4) 자발적 산림 조성 및 보전 유도 방안 마련 148
제6장 결론 155
1. 산지관리제도 개선의 의의와 효과 155
1) 산지 및 산지보전 개념의 재정립 156
2) 종합적 산지관리체계의 구축 156
3) 산지 보전과 이용의 친환경적인 관리체계 확립 157
4) 자발적 산림조성 및 보전 유도 방안 마련 158
2. 연구의 특징과 한계 159
1) 연구의 특징 159
2) 연구의 한계 160
3. 맺음말 160
[참고문헌] 162
SUMMARY 166
[부록] 170
1. 부록Ⅰ : 설문조사 170
2. 부록Ⅱ : 외국의 산지관리제도 201
1. 일본 201
2. 독일 209
3. 미국 213
3. 부록Ⅲ : 조선시대의 산지이용구분제도 219
1. 조선전기의 금산제도 219
2. 조선후기의 봉산제도 220
4. 부록Ⅳ : 기타 221
시·도별 산지전용 추이 221
개발제한구역과 자연공원법에서의 행위제한 223
용도지역별 건폐율 및 용적율 제한 224
산지전용 특성분석(파주시 및 남해군 사례) 225
산지이용구분과 생태자연도등급 비교분석(파주시 및 남해군 사례) 227
[그림 1-1] 산지의 여건변화 37
[그림 1-2] 연구의 흐름 및 체계 39
[그림 2-1] 영급별 산림면적 변동 추이 57
[그림 2-2] 산지의 구분체계 변천 59
[그림 3-1] 산지전용협의 절차 70
[그림 3-2] 산지전용허가 절차 72
[그림 3-3] 산지개발 관련시설 용도별 법제 분류 79
[그림 3-4] 산지전용 추이 86
[그림 3-5] 용도구분별 산지전용추이 88
[그림 3-6] 시도별 산지전용 추이(전체) 89
[그림 3-7] 시도별 산지전용 추이(보전산지) 89
[그림 4-1] 공익용산지와 임업용산지 내 전용된 필지(파주시 사례) 101
[그림 4-2] 농업진흥지역 인접한 준보전산지의 토지이용(파주시 사례) 103
[그림 4-3] 보전산지에 인접한 관리지역(농업진흥지역 밖 농지) 분포 예 103
[그림 4-4] 준보전산지의 점적인 산지전용(파주시 사례) 108
[그림 4-5] 산지구분과 경사도 분포 - 남해군 113
[그림 4-6] 산지구분과 경사도 분포 - 파주시 113
[그림 4-7] 생태자연도와 산지이용구분 분포도(파주시) 115
[그림 4-8] 생태자연도와 산지이용구분 분포도(남해군) 116
[그림 4-9] 산지개발 절차 117
[그림 5-1] 산지관리제도 개선의 틀 126
[그림 5-2] 산지구분체계 개선 - 예시 130
[그림 5-3] 농업진흥지역 인접 준보전산지 토지이용(파주시 사례) 132
[그림 5-4] 수자원 함량 및 수질정화 기능제고 요소 133
[그림 5-5] 산지구분 시 고려해야 할 요소 135
[그림 5-6] 산지구분과 생태자연도 및 임상도 분포 139
[그림 5-7] 산지구분과 토지이용상황, 생태자연도, 임상도, 식물군락 분포 140
[그림 5-8] 녹지 연결성 고려 - 예 141
부록 표목차
[부록표 2-1] 일본의 산림면적 변화추이 201
[부록표 2-2] 개발목적에 따른 산림조성 및 배치 기준 205
[부록표 2-3] 일본 보안림의 종류별 면적 206
[부록표 2-4] 보안림 전용기준 207
[부록표 2-5] 독일의 산림현황 209
[부록표 2-6] 절대 보전 산림녹지지역으로서 제안될 수 있는 산림의 주요기능 211
[부록표 2-7] 독일의 바덴뷰르덴베르그주의 산림법의 주요내용 213
[부록표 2-8] 미국의 토지면적과 산림면적 추이 214
[부록표 2-9] 미국의 용재림지, 보전임지 및 기타임지 면적 추이 214
[부록표 2-10] 미국의 소유별 산림면적 215
[부록표 2-11] 산지구분 매트릭스 217
[부록표 4-1] 시·도별 산지전용면적(1999년∼2004년 6월) 221
[부록표 4-2] 개발제한구역과 자연공원법에서의 행위제한 223
[부록표 4-3] 용도지역별 건폐율 및 용적율 제한 224
[부록표 4-4] 전용산지 표고 분석 225
[부록표 4-5] 전용산지 공적규제지역과의 거리 분석 226
[부록표 4-6] 산림이용구분과 생태자연도등급 비교 - 파주시 227
[부록표 4-7] 산림이용구분과 생태자연도등급 비교 - 남해군 229
부록 그림목차
[부록그림 2-1] 독일 헤센주의 산림계획체계 - 예 212
[부록 그림 2-2] VRM의 구성체계 217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149654 | 333.75 ㅊ119ㄱ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1149655 | 333.75 ㅊ119ㄱ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