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책머리에 부쳐
목차
요약 13
도입편 31
제1장 서론/조성재 32
1. 문제의 제기 32
2. 동북아 제조업의 무역 및 투자 실태 개관 34
3. 연구의 방법과 보고서의 구성 51
제2장 분업구조와 고용관계를 바라보는 시각/조성재 54
1. 분업구조의 개념과 기업활동의 국제화 54
2. 글로벌 생산시스템 이론 59
3. 아키텍처에 입각한 분업이론과 능력구축 경쟁 70
4. 동아시아 국제분업구조에 대한 해석 78
5. 분업이론의 고용관계에 대한 함의와 가설의 설정 86
자동차산업편 92
제3장 중국 자동차산업의 다국적기업 진출과 고용관계/박준식;조성재 93
1. 고용관계 비교를 위한 분석 틀 : ‘적응’과 ‘적용’ 93
2. 중국 자동차산업의 경쟁 환경 : 공통점과 차별성 98
3. 적응 전략과 기업간 차별화 108
4. 국가별 비교와 중국의 가능성 134
제4장 일본 자동차산업의 고용관계/오재훤;오리하시 신야 148
1. 고용관계를 둘러싼 환경 148
2. 비정규노동의 확대를 중심으로 한 고용관계의 최근의 변화 151
3. 사례분석 153
4. 조합의 대응전략과 고용관계의 전망 169
제5장 중일과 비교한 한국 자동차산업의 고용관계/조성재 171
1. 머리말 171
2. GM대우자동차의 국제분업구조상 위치와 고용관계 172
3. 자동차부품업체 고용관계에 대한 사례연구 205
4. 소결 235
전자산업편 240
제6장 중국 전자산업의 분업구조와 고용관계/장영석 241
1. 서론 241
2. 중국 가전산업의 발전 현황 245
3. 사례분석 255
4. 소결 272
제7장 일본 전자산업의 구조조정과 고용관계의 변화/요시모토 데츠오;조성재 275
1. 일본 전자산업의 최근 동향 275
2. 고용관계 변화의 개요 : 비정규종업원의 基幹勞動力化 283
3. 생산혁신과 비정규종업원 287
4. 사례분석 : C사의 사례 291
5. 소결 298
제8장 중일과 비교한 한국 전자산업의 고용관계/조성재 300
1. 머리말 300
2. 한국 전자산업의 현황 301
3. 경영과 고용관계에 대한 사례분석 313
4. 소결 330
결론편 337
제9장 결론/조성재 338
1. 연구결과의 요약 338
2. 향후 전망과 주체별 과제 352
참고문헌 360
[그림 1-1] 주요 전자제품의 세계 생산 점유율 48
[그림 2-1] 국제분업의 개념적 유형 56
[그림 2-2]기업 국제화의 동기와 기대효과 58
[그림 2-3] 경영기능의 수직통합에 대비되는 가치사슬의 모듈화 63
[그림 2-4] 제품아키텍처의 분포 71
[그림 2-5] 완성품과 부품 아키텍처의 4가지 기본 조합 75
[그림 2-6] 기업간 관계의 일본형과 새로운 미국형 80
[그림 2-7] 해외직접투자를 매개로 한 국가간 보완과 경쟁관계 85
[그림 3-1] 고용관계의 적응과 적용의 분석 틀 : 적응적 차별화 과정 97
[그림 3-2] 중국 자동차산업 주요 메이커들의 소유 및 통제구조 102
[그림 3-3] 상하이폴크스바겐의 호흡시스템 개념 121
[그림 3-4] 상하이폴크스바겐의 인적자원 육성체계 123
[그림 3-5] 중국진출 기업들의 고용패턴 140
[그림 4-1] 일본 자동차산업의 생산, 판매 추이 149
[그림 4-2] ‘적정배치’ 적합률(A공정 a반) 160
[그림 5-1] GM대우의 사업구조 개요(2004년 기준) 173
[그림 5-2] GM대우의 연도별 생산 및 판매 추이 174
[그림 5-3] 조사대상 자동차 부품업체간 투자관계 206
[그림 5-4] A전자의 연도별 매출액 증가 추이 231
[그림 5-5] A전자의 인력투자와 설비투자 추이 232
[그림 5-6] 일본자동차 부품메이커의 중국제 부품조달 패턴 238
[그림 6-1] 텐진 LG전자 직위, 급여체계 268
[그림 6-2] 하이얼집단 물류부문 JIT 경리 별급 승급도 270
[그림 7-1] 전기연합의 조합원수의 추이 276
[그림 7-2] 일본의 철강, 전자, 자동차산업의 도매물가 추이 279
[그림 8-1] 전자산업 규모별 종사자 1인당 생산액 상대비 추이 311
[그림 8-2] 전자산업 규모별 부가가치 추이 312
[그림 8-3] 한ㆍ중ㆍ일 전자산업의 분업구조 전개 양상 333
[그림 8-4] 동북아 전자산업의 분업구조와 3국 고용관계의 비교 335
[그림 9-1] 일본과 비교한 우리나라의 직종분리 특성과 교육훈련상의 난점 349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124483 | 338.4095 ㅎ155ㄷ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1156365 | 338.4095 ㅎ155ㄷ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EM0000007399 | 338.4095 ㅎ155ㄷ | 전자자료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