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책머리에 부쳐

목차

요약 13

도입편 31

제1장 서론/조성재 32

1. 문제의 제기 32

2. 동북아 제조업의 무역 및 투자 실태 개관 34

3. 연구의 방법과 보고서의 구성 51

제2장 분업구조와 고용관계를 바라보는 시각/조성재 54

1. 분업구조의 개념과 기업활동의 국제화 54

2. 글로벌 생산시스템 이론 59

3. 아키텍처에 입각한 분업이론과 능력구축 경쟁 70

4. 동아시아 국제분업구조에 대한 해석 78

5. 분업이론의 고용관계에 대한 함의와 가설의 설정 86

자동차산업편 92

제3장 중국 자동차산업의 다국적기업 진출과 고용관계/박준식;조성재 93

1. 고용관계 비교를 위한 분석 틀 : ‘적응’과 ‘적용’ 93

2. 중국 자동차산업의 경쟁 환경 : 공통점과 차별성 98

3. 적응 전략과 기업간 차별화 108

4. 국가별 비교와 중국의 가능성 134

제4장 일본 자동차산업의 고용관계/오재훤;오리하시 신야 148

1. 고용관계를 둘러싼 환경 148

2. 비정규노동의 확대를 중심으로 한 고용관계의 최근의 변화 151

3. 사례분석 153

4. 조합의 대응전략과 고용관계의 전망 169

제5장 중일과 비교한 한국 자동차산업의 고용관계/조성재 171

1. 머리말 171

2. GM대우자동차의 국제분업구조상 위치와 고용관계 172

3. 자동차부품업체 고용관계에 대한 사례연구 205

4. 소결 235

전자산업편 240

제6장 중국 전자산업의 분업구조와 고용관계/장영석 241

1. 서론 241

2. 중국 가전산업의 발전 현황 245

3. 사례분석 255

4. 소결 272

제7장 일본 전자산업의 구조조정과 고용관계의 변화/요시모토 데츠오;조성재 275

1. 일본 전자산업의 최근 동향 275

2. 고용관계 변화의 개요 : 비정규종업원의 基幹勞動力化 283

3. 생산혁신과 비정규종업원 287

4. 사례분석 : C사의 사례 291

5. 소결 298

제8장 중일과 비교한 한국 전자산업의 고용관계/조성재 300

1. 머리말 300

2. 한국 전자산업의 현황 301

3. 경영과 고용관계에 대한 사례분석 313

4. 소결 330

결론편 337

제9장 결론/조성재 338

1. 연구결과의 요약 338

2. 향후 전망과 주체별 과제 352

참고문헌 360

표목차

[표 1-1] 주요 산업별 한중일 역내 수출 비중(2002년) 35

[표 1-2] 한ㆍ중ㆍ일 자동차 관련 주요 수출입 실태(2003년) 36

[표 1-3]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대중, 대일 무역특화지수 38

[표 1-4]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대중국 투자 추이 39

[표 1-5] 한ㆍ중ㆍ일 전자산업의 생산 및 수요의 세계 점유율 40

[표 1-6] 한국과 일본 기업들의 중국내 PC 생산기지 사례 40

[표 1-7] 일본 기업들의 액정 관련 대중국 후속 공정의 이동 41

[표 1-8] 일본 전자산업의 해외직접투자 42

[표 1-9] 우리나라 전자산업의 지역별 해외직접투자 현황(누적 기준) 43

[표 1-10] 전자산업의 해외투자지역 다변화 추이(건수 기준) 43

[표 1-11] 한ㆍ중간 전자산업의 품목별 무역특화지수 추이 45

[표 1-12] 한ㆍ일간 전자산업의 품목별 무역특화지수 추이 45

[표 1-13] 전자산업 품목별 대일무역특화지수 46

[표 1-14] 한ㆍ중간 전자산업의 품목별 산업내 무역지수 추이 47

[표 1-15] 한ㆍ일간 전자산업의 품목별 산업내 무역지수 추이 48

[표 1-16] 우리나라 부품소재산업의 대일본 무역수지 추이 49

[표 1-17] 우리나라 주요 제조업의 수입 중간재 투입 비중 추이 50

[표 1-18] 우리나라 설비투자의 수입대체도 추이(2000년=100) 51

[표 2-1] 생산자주도형과 수요자주도형 상품사슬의 특성 비교 61

[표 2-2] 전문화와 업그레이드의 매트릭스 66

[표 2-3] 국가별 조직능력의 편재와 아키텍처(가설) 73

[표 3-1] 중국 자동차산업을 둘러싼 주요 산업 정책의 변화 99

[표 3-2] 중국 자동차산업의 발전 과정, 생산 및 시장구조 변화 100

[표 3-3] 중국 업체별 승용차판매 순위 104

[표 3-4] 상하이폴크스바겐의 8대 인사원칙 119

[표 3-5] 상하이폴크스바겐의 고용조정 기제 : 호흡시스템 운영 체계 120

[표 3-6] 중국에 진출한 독일, 일본, 한국계 완성차기업의 비교 135

[표 4-1] 일본 A사의 최근 5년간 비정규종업원수 추이 155

[표 5-1] 2004년 손익계산서 : 경쟁사 대비 176

[표 5-2] GM의 분기별 순이익 추이 177

[표 5-3] 동아시아 4국의 판매대수 180

[표 5-4] 주요 48개국 메이커별 자동차생산실적(2003, 2004년), 생산능력(2005년), 생산계획(2010년) 181

[표 5-5] 2004년 중국내 판매량 증가 주요 모델 183

[표 5-6] 중국내 소형 승용차 판매대수 랭킹 184

[표 5-7] 중국내 베이직카 판매대수 랭킹 185

[표 5-8] GM, 메이커 및 모델별 승용차 생산대수(2002~2004년) 186

[표 5-9] 스즈키, 일본 내외의 자동차생산판매 실적(1999~2004년) 187

[표 5-10] 미국, 브랜드별 수입자동차 판매대수(1999~2004년) 188

[표 5-11] 유럽 31개국 그룹별 자동차 판매대수 추이 189

[표 5-12] 중국내 주요 소형차 제원 및 판매실적 192

[표 5-13] 업체별 완성차 생산대수 추이 194

[표 5-14] KD 업체별 생산 실적 195

[표 5-15] 업체별 내수 판매 196

[표 5-16] GM대우의 최근 지역별 수출 실적(금액) 197

[표 5-17] C.K.D 수출대수(1996~2004년) 198

[표 5-18] 대중국 KD 업체별 모델별 수출 실적 199

[표 5-19] 중국, 외자계 메이커별 자동차 판매대수(1999~2004년) 199

[표 5-20] 일본 A사의 한국내 두 자회사 비교 223

[표 5-21] 모 완성차업체와 사내의 하도급업체 노동자 임금비교 239

[표 6-1] 중국 전자산업 발전 현황(1980~2000년) 246

[표 6-2] 2000년 세계 가전산업 및 가전시장 247

[표 6-3] 중국의 주요 전자제품의 세계 생산량 점유 비중(2002년) 추정치 247

[표 6-4] 1990년대 이후 다국적 가전기업의 중국 투자 현황 248

[표 6-5] 2003년 중국 상위 10대 기업의 에어컨 판매량 및 시장점유율 251

[표 6-6] 2003년 중국 상위 10대 기업의 냉장고 판매량 및 시장점유율 252

[표 6-7] 2003년 중국 상위 10대 기업의 세탁기 판매량 및 시장점유율 252

[표 6-8] 주요 컴프레서 생산기업(2000년) 254

[표 6-9] 중국시장의 브라운관 생산 능력 255

[표 6-10] 조사기업 일람표 256

[표 7-1] 일본 전자산업의 주요 지표 추이 277

[표 7-2] 일본 전자산업의 조직개편 상황(복수응답) 281

[표 7-3] 산요 그룹의 사업구조와 고용의 변화 282

[표 8-1] 국내 전자산업 생산액 추이 302

[표 8-2] 국내 전자산업 고용 추이 303

[표 8-3] 우리나라 전자산업의 업종별 해외투자지역 비중(2004년 8월말 누적건수 기준) 304

[표 8-4] 한국의 대중, 대일 전자산업 분야 투자 현황(2003년 말) 305

[표 8-5] 일본 전자산업의 대한국, 대중국 투자 추이 305

[표 8-6] 우리나라 전자산업의 투자수지 추이 306

[표 8-7] 한ㆍ중ㆍ일간 주요 전자제품별 기술경쟁력 현황과 전망 307

[표 8-8] 주요 경쟁국과의 전자산업 기술수준 비교 308

[표 8-9] 전자산업의 1인당 부가가치액 추이(불변가격 기준) 309

[표 8-10] 전자산업의 투자동기별 투자 현황 310

[표 8-11] LG전자 창원 2공장의 고용현황 315

[표 8-12] LG전자 창원 2공장의 채용방식 315

[표 8-13] LG전자 창원공장의 보상체계 317

[표 8-14] LG전자의 연도별 전사원 교육 슬로건 변화 320

[표 8-15] LG전자의 노사관계 변화 과정 322

[표 8-16] LG전자의 교섭기간 및 차수 323

[표 8-17] S전자와 중국 자회사의 개요 325

[표 8-18] S사(단독)의 성장 추이 325

[표 8-19] S부품사의 사업구성 326

[표 9-1] 한국을 중심으로 본 자동차와 전자산업의 동북아 분업구조와 고용관계 351

그림목차

[그림 1-1] 주요 전자제품의 세계 생산 점유율 48

[그림 2-1] 국제분업의 개념적 유형 56

[그림 2-2]기업 국제화의 동기와 기대효과 58

[그림 2-3] 경영기능의 수직통합에 대비되는 가치사슬의 모듈화 63

[그림 2-4] 제품아키텍처의 분포 71

[그림 2-5] 완성품과 부품 아키텍처의 4가지 기본 조합 75

[그림 2-6] 기업간 관계의 일본형과 새로운 미국형 80

[그림 2-7] 해외직접투자를 매개로 한 국가간 보완과 경쟁관계 85

[그림 3-1] 고용관계의 적응과 적용의 분석 틀 : 적응적 차별화 과정 97

[그림 3-2] 중국 자동차산업 주요 메이커들의 소유 및 통제구조 102

[그림 3-3] 상하이폴크스바겐의 호흡시스템 개념 121

[그림 3-4] 상하이폴크스바겐의 인적자원 육성체계 123

[그림 3-5] 중국진출 기업들의 고용패턴 140

[그림 4-1] 일본 자동차산업의 생산, 판매 추이 149

[그림 4-2] ‘적정배치’ 적합률(A공정 a반) 160

[그림 5-1] GM대우의 사업구조 개요(2004년 기준) 173

[그림 5-2] GM대우의 연도별 생산 및 판매 추이 174

[그림 5-3] 조사대상 자동차 부품업체간 투자관계 206

[그림 5-4] A전자의 연도별 매출액 증가 추이 231

[그림 5-5] A전자의 인력투자와 설비투자 추이 232

[그림 5-6] 일본자동차 부품메이커의 중국제 부품조달 패턴 238

[그림 6-1] 텐진 LG전자 직위, 급여체계 268

[그림 6-2] 하이얼집단 물류부문 JIT 경리 별급 승급도 270

[그림 7-1] 전기연합의 조합원수의 추이 276

[그림 7-2] 일본의 철강, 전자, 자동차산업의 도매물가 추이 279

[그림 8-1] 전자산업 규모별 종사자 1인당 생산액 상대비 추이 311

[그림 8-2] 전자산업 규모별 부가가치 추이 312

[그림 8-3] 한ㆍ중ㆍ일 전자산업의 분업구조 전개 양상 333

[그림 8-4] 동북아 전자산업의 분업구조와 3국 고용관계의 비교 335

[그림 9-1] 일본과 비교한 우리나라의 직종분리 특성과 교육훈련상의 난점 349

이용현황보기

동북아 제조업의 분업구조와 고용관계 : 자동차산업과 전자산업을 중심으로. 2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124483 338.4095 ㅎ155ㄷ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156365 338.4095 ㅎ155ㄷ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007399 338.4095 ㅎ155ㄷ 전자자료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