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43,43,6
II. 국내 의약품 경제성평가의 현황과 문제점=49,49,1
1. 실태조사의 배경과 개요=49,49,2
2. 의약품 경제성가의 기여에 대한 인식도=51,51,2
3. 경제성평가 수행 현황=53,53,6
4. 경제성평가 인력 및 교육=58,58,12
5. 경제성평가 수행시 애로 사항 및 건의 내용=70,70,7
III. 경제성평가 수행 인력의 수요 추계 및 교육=77,77,1
1. 국내 의약품 경제성 평가 수행 인력 현황=77,77,2
2. 의약품 경제성 평가에 대한 수요 추계=78,78,33
3. 의약품 경제성 평가 수행을 담당할 인력 교육 방안=110,110,17
IV. 경제성평가의 실증적 사례분석과 불확실성 논의=127,127,1
1. 사례연구로서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의 의의=127,127,4
2. 분석대상과 모델링의 기본 틀=131,131,26
3. 성과의 측정=157,157,32
4. 비용의 측정=189,189,20
5. 점증적 비용효과비와 민감도 분석=209,209,7
6. 고찰과 소결=216,216,13
V. 주요국의 의약품경제성평가 활용과 연구 인프라=229,229,2
1. 영국의 NICE와 NCCHTA=230,230,20
2. 캐나다의 CDR과 CCOHTA=249,249,9
3. 미국의 경제성평가 활용 실태와 AHRQ=257,257,20
VI. 결론=282,282,1
1. 기본 시각=282,282,3
2. 정책 방안=284,284,5
부록 1. 제약ㆍ의료기기회사의 경제성평가 헌황 및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 조사서=311,311,10
부록 2. 국내 대학ㆍ의료기관의 경제성평가 교육 및 연구 현황과 관련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 조사서=321,321,8
부록 3.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의 경제성평가에 최종 선정된 임상 문헌=329,329,10
표목차(표 II-1) 의약품 경제성평가의 기여에 대한 인식도=52,52,1
(표 II-2) 기업의 경제성평가 현황=53,53,1
(표 II-3) 대학ㆍ의료기관의 경제성평가 연구 수행 실적=54,54,1
(표 II-4) 경제성평가 학술활동 실적=55,55,1
(표 II-5) 경제성평가 수행 대상과 유형=56,56,1
(표 II-6) 경제성평가 연구 목적과 달성도=57,57,1
(표 II-7) 경제성평가연구에 투입되는 자원 소요 현황=58,58,1
(표 II-8) 기업의 보험 및 경제성평가 업무관련 조직 현황=59,59,1
(표 II-9) 기업의 향후 경제성평가 수행 계획=60,60,1
(표 II-10) 향후 기업의 경제성평가 담당 인력 확충 계획=61,61,1
(표 II-11) 기업에서 보험 및 경제성평가 실무자의 고충 응답률=61,61,1
(표 II-12) 기업에서 경제성평가를 가장 많이 이해하는 직원의 지식 수준=62,62,1
(표 II-13) 경제성평가 경험이 있는 기업 직원의 관련지식 이해 수준=64,64,1
(표 II-14) 기업의 통계분석 수행인력 현황=65,65,1
(표 II-15) 기업 직원들의 경제성평가에 관한 교육 이수 현황=66,66,1
(표 II-16) 대학ㆍ의료기관의 경제성평가 연구팀 연구진 구성=67,67,1
(표 II-17) 대학ㆍ의료기관의 경제성평가 연구진들의 지식수준=67,67,1
(표 II-18) 소속 대학교과 과정 중 경제성평가 관련된 교육 현황=68,68,1
(표 II-19) 경제성평가 논문으로 석ㆍ박사 학위를 받은 학생 수 현황=69,69,1
(표 II-20) 경제성평가 인력 양성에 있어서 대학ㆍ의료기관의 기여 분야=69,69,1
(표 II-21) 경제성평가 목적으로 이용 경험이 있는 자료원=70,70,1
(표 II-22) 경제성평가 관련 자료구득 및 분석상의 애로사항=72,72,1
(표 II-23) 임상문헌조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이용 현황=73,73,1
(표 II-24) 경제성평가 수행과정중 효용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현황=74,74,1
(표 II-25) 겅제성평가 연구에 관한 국가지원 우선순위=75,75,1
(표 II-26) 경제성평가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국가 수행업무의 우선순위=76,76,1
(표 III-l) 치료효능군별 청구건수비 급여금액구성비=85,85,1
(표 III-2) 치료효능군별 국내분류내역=86,86,1
(표 III-3) 각 치료효능군의 급여금비 별 순위=87,87,1
(표 III-4) 각 효능군의 건수비별 순위=88,88,1
(표 III-5) 치료효능군간 급여금액비 및 청구건수비에 의한 순위=89,89,1
(표 III-6) 치료효능군의 경제성 평가 우선순위=90,90,1
(표 III-7) 항생제 효능군에 결함되는 WHO의 ATC 분류체계=92,92,1
(표 III-8) 해열진통소염제 효능군에 결합되는 WHO의 ATC 분류체계=93,93,1
(표 III-9) 기타대사성 의약품 효능군에 결합되는 WHO의 ATC 분류체계=95,95,1
(표 III-10) 호흡기관용약 효능군에 결합되는 WHO의 ATC 분류체계=96,96,1
(표 III-11) 소화기관용약 치료효능군에 결합되는 WHO의 ATC 분류체계=98,98,1
(표 III-12) 알레르기용약 효능군에 결합되는 WHO의 ATC 분류체계=99,99,1
(표 III-13) 순환계용약 효능군에 결합되는 WHO의 ATC 분류체계=100,100,1
(표 III-14) 중추신경계용약 효능군에 결합되는 WHO의 ATC 분류체계=102,102,1
(표 III-15) 8순위 효능군에 결합되는 WHO의 ATC 분류체계=104,104,1
(표 III-16) 연차별 경제성 평가 소요횟수=105,105,1
(표 III-17) 연차적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의 수=110,110,1
(표 III-19) University Of North Carolina의 개설 교과목=112,112,1
(표 III-20) University Of Arizona의 개설 교과목=113,113,1
(표 III-21) University Of Washington At SeattIe의 개설 교과목=114,114,1
(표 III-22) University Of Minnesota의 개설 교과목=115,115,1
(표 III-23)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석사학위 과정=117,117,1
(표 III-24)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개설 교과목=117,117,1
(표 III-25) 호주 Newcastle 대학의 개설 교과목=119,119,1
(표 III-26) 호주 Newcastle 대학의 개설 교과목 세부내용=120,120,1
(표 IIl-27) 이수 교과목 편성(안)=124,124,1
(표 IV-1) 사례연구 대상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의 특징=136,136,1
(표 IV-2) 류마티스관절염 전문가 지문 위원=139,139,1
(표 IV-3)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 경제성평가 선행연구 비교=142,142,1
(표 IV-4)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에 대한 실증적 사례분석의 개요=156,156,1
(표 IV-5) 모델링에 활용된 주요 성과 변수=168,168,1
(표 IV-6) 문헌 검색 전략=170,170,1
(표 IV-7) 문헌 선정기준=171,171,1
(표 IV-8) 검색 문헌 수 및 최종 선정 문헌 수=172,172,1
(표 IV-9) 최종 선정된 문헌 요약=174,174,1
(표 IV-10) 메타분석 결과=176,176,1
(표 IV-11) 모델에 사용된 변수값=180,180,1
(표 IV-12) 대안 1의 전이 확률 및 반응률=183,183,1
(표 IV-13) 대안 2의 전이 확률 및 반응률=183,183,1
(표 IV-14) HAQ의 호전도 및 악화 수준=184,184,1
(표 IV-15) 대안 1의 분석기간별 환자 코호트 구성 및 QALY=187,187,1
(표 IV-16) 대안 2의 분석기간별 환자 코호트 구성 및 QALY=188,188,1
(표 IV-17) 인적자본접근방식과 마찰비용접근방식에 따른 결과비교=192,192,1
(표 IV-18) 비용 및 효과 항목의 비교=192,192,1
(표 IV-19)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 경제성 평가 선행연구의 비용향목=198,198,1
(표 IV-20) 약물요법 및 마르코프주기별 6개월간 적접의료비용=201,201,1
(표 IV-21) 류마티스관절염 등에 대한 연령별 급여 현황(2003년)=203,203,1
(표 IV-22) 류마티스관절염 등에 대한 외래환자 1인당 입원진료비 기대값=205,205,1
(표 IV-23) 외래환자 1인당 입원비용 기대값 대비 외래비용의 비교=205,205,1
(표 IV-24) HAQ Score에 따른 간접비용(6개월)=207,207,1
(표 IV-25) 분석기간별 비용의 구성=208,208,1
(표 IV-26) 약물치료군별 비용-효과분석 결과=210,210,1
(표 IV-27) 분석기간별 민감도 분석 결과=211,211,1
(표 IV-28) 직접비용 대비 간접비용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212,212,1
(표 IV-29) 분석기간별 직접비용 대비 간접비용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213,213,1
(표 IV-30) 사망률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213,213,1
(표 IV-31) HAQ의 QALY 전환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214,214,1
(표 IV-32) 할인율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215,215,1
(표 IV-33) 불확실한 변수에 대한 감도 분석 결과: 종합=215,215,1
(표 V-1) QALY당 비용과 NICE의 결정(1999~2003)=247,247,1
(표 V-2) 각국의 보건의료기술평가기구 운영실태 개요=281,2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