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서언=1,3,2

목차=3,5,3

표목차=6,8,2

그림목차=8,10,3

요약문=11,13,8

제1장 서론=19,21,1

제1절 디지털 콘텐츠와 뉴미디어=19,21,1

제2절 디지털 컨버전스와 시장의 변화=20,22,2

제3절 디지털 콘텐츠시장의 공정경쟁 이슈=21,23,2

제2장 시장봉쇄이론=23,25,1

제1절 시장봉쇄이론 개관=24,26,1

1. 시장봉쇄=24,26,2

2. 시장봉쇄 수단=25,27,3

3. 시장봉쇄 치유수단=28,30,3

4. 필수설비원칙(Essential Facilities Doctrine)=31,33,6

제2절 콘텐츠시장의 시장봉쇄(Market Foreclosure)=36,38,13

제3절 네트웍 차별과 콘텐츠 차별=48,50,1

1. 미국 브로드밴드 시장의 수직결합과 시장봉쇄=49,51,5

2. 시장지배력의 확장과 보존=53,55,4

3. 시장봉쇄이론의 브로드밴드 시장에의 적용 가능성=56,58,4

4. 시장봉쇄와 이윤증가=59,61,7

5. 결론=65,67,3

제3장 뉴미디어와 방송콘텐츠 개방=68,70,1

제1절 방송산업 현황=68,70,1

1. 방송산업의 구조=68,70,4

2. 방송산업의 변화=72,74,10

3. 국내 방송프로그램 유통구조의 현황=81,83,5

제2절 방송콘텐츠 개방=85,87,1

1. 뉴미디어의 진츨과 방송콘텐츠 제공거부=85,87,5

2. 미국의 방송콘텐츠 제공거부 판례=89,91,3

3. 다채널방송시장과 방송콘텐츠의 다양성=91,93,4

4. 프로그램 접근규칙(Program Access Rule)=94,96,4

5. 결론=97,99,4

제4장 무선포털과 무선인터넷 망개방=101,103,1

제1절 무선인터넷 시장구조 및 현황=101,103,1

1. 무선인터넷 산업의 시장구조=101,103,2

2. 한국의 무선데이터 시장현황=102,104,4

제2절 무선인터넷 망개방=106,108,1

1. 무선인터넷 망개방의 의의=106,108,2

2. 무선인터넷 개방의 유형=107,109,4

3. 한국의 망개방 진행과정=111,113,4

4. 무선인터넷 망개방의 세부 이슈들=114,116,7

5. 무선인터넷 시장에서의 콘텐츠 차별=120,122,6

6. 무선인터넷과 필수설비원리=125,127,6

7. 결론=130,132,4

제5장 음악포털과 DRM 표준화=134,136,1

제1절 음악산업 현황=134,136,1

1. 국내 음악산업의 규모=134,136,7

2. 국내 음악산업의 구조변화 분석=140,142,11

제2절 DRM 표준화=150,152,1

1. 온라인 음악시장의 환경변화=150,152,13

2. 이동통신사들의 온라인 음악산업 진출 전략=162,164,4

3. DRM 호환 거부와 시장봉쇄=165,167,7

4. 결론=171,173,1

제6장 결론=172,174,6

참고문헌=178,180,16

저자소개=194,196,1

[판권지]=194,196,1

표목차

(표 2-1) 기업행태에 따른 이윤 및 소비자후생 비교=46,48,1

(표 2-2) 미국 브로드밴드 시장에서의 기업결합 사례=49,51,1

(표 2-3) 브로드밴드-콘텐츠 시장의 콘텐츠 차별과 네트웍 차별=66,68,1

(표 3-1) 종합유선방송의 SO와 PP간의 수신료 배분비율 변화=71,73,1

(표 3-2) 채널상품(티어별) 가입 현황=73,75,1

(표 3-3) 다채널방송서비스 가입가구 추이=75,77,1

(표 3-4) 초고속 인터넷시장 점유율 추이=76,78,1

(표 3-5) 종합유선방송 산업의 MSO 현황=78,80,1

(표 3-6) MPP 현황=79,81,1

(표 3-7) 종합유선방송 시청점유율 현황=82,84,1

(표 3-8) MPP들의 위성방송에 대한 송출거부 일지=83,85,1

(표 3-9) PP의 수신료 배분 비율 추이=84,86,1

(표 4-1) 한국의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 현황 및 전망(2000~2009)=103,105,1

(표 4-2) 이동통신사별 Cdma 2000-1x 및 EV-DO 가입자 현황=103,105,1

(표 4-3) 한국의 모바일 서비스 매출 현황 및 전망: 음성 Vs. 데이터=104,106,1

(표 4-4) MVNO의 유형=110,112,1

(표 4-5) 무선인터넷 망개방 협의 진행현황=112,114,1

(표 4-6) 콘텐츠 검증 및 과금 검정기관 선정=114,116,1

(표 5-1) 국내 음반 판매량 추이(2000년~2004년)=136,138,1

(표 5-2) 국내 음반제작사ㆍ소매상 현황=137,139,1

(표 5-3) 세계 음반매출액 순위(2003년 기준)=138,140,1

(표 5-4) 국내 음반산업의 구조 및 비즈니스 모델=143,145,1

(표 5-5) 인터넷 음악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종류=146,148,1

(표 5-6) 모바일 음악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종류=147,149,1

(표 5-7) 국내 온라인 음악 서비스의 구조 및 비즈니스 모델=149,151,1

(표 5-8) 벅스뮤직 법정 분쟁 일지=152,154,1

(표 5-9) 국내 주요 이동통신 업체의 디지털 음악 서비스 현황=155,157,1

(표 5-10) 온라인 음악 사이트별 월별 일평균 방문자수 증가율=156,158,1

(표 5-11) MP3플레이어 국내시장 규모=158,160,1

(표 5-12) 국내 DRM 업체 및 제품 현황=160,162,2

(표 5-13) 음악시장의 시장확정=168,170,1

그림목차

[그림 2-1] 비통합구조(Non-Integration)=43,45,1

[그림 2-2] 부분통합구조(Partial Integration): 시장봉쇄=44,46,1

[그림 2-3] 부분통합구조(Partial Integration): 시장봉쇄 없음=45,47,1

[그림 2-4] 브로드밴드 시장의 수직결합=50,52,1

[그림 2-5] 브로드밴드 시장의 네트웍 차별=51,53,1

[그림 2-6] 브로드밴드 시장의 콘텐츠 차별=52,54,1

[그림 2-7] 시장지배력 확장=54,56,1

[그림 2-8] 시장지배력 보존=55,57,1

[그림 3-1] 방송산업의 가치사슬=69,71,1

[그림 3-2] 지상파방송과 다채널방송의 시장점유율 추이=73,75,1

[그림 3-3] SO의 매출액 구성내역 변화(2000년, 2004년)=74,76,1

[그림 3-4] 디지털케이블TV 플랫폼의 진화=77,79,1

[그림 3-5] 종합유선방송 시청점유율=80,82,1

[그림 3-6] CJ와 오리온의 E&M 수적계열화 현황=80,82,1

[그림 3-7] 지상파방송과 다채널유료방송 매출 비중 추이=81,83,1

[그림 3-8] 채널상품(티어별) 가입 현황=84,86,1

[그림 3-9] 다채널방송 프로그램 제공 거부=92,94,1

[그림 3-10] 미국 방송정책의 기본 원칙=96,98,1

[그림 4-1] 무선인터넷 산업의 Value Chain=101,103,1

[그림 4-2] 이동통신사업자 ARPU 추이=105,107,1

[그림 4-3] 무선인터넷 망개방 유형: WAP Gateway개방 및 IWF개방=109,111,1

[그림 4-4] 무선인터넷 망개방: 주요기관별 역할=114,116,1

[그림 4-5] 무선인터넷망 제공거부: 시장지배력 확장=122,124,1

[그림 4-6] 무선인터넷망 제공거부: 시장지배력 보존=123,125,1

[그림 4-7] KT WiBro 콘텐츠 수급 전략=132,134,1

[그림 5-1] 국내 음악산업의 규모=135,137,1

[그림 5-2] 국내음반산업의 매출규모=136,138,1

[그림 5-3] 국내 온라인 음악시장의 매출규모=139,141,1

[그림 5-4] 세계 온라인 음악시장의 매출규모=140,142,1

[그림 5-5] 국내 음악산업의 구조=142,144,1

[그림 5-6] 국내 온라인 음악산업의 구조=148,150,1

[그림 5-7] 2005년 멜론(MelOn) 가입자 실적=154,156,1

[그림 5-8] MF3폰 예상보급수=157,159,1

[그림 5-9] MP3폰과 Digital Audio Player 판매대수 규모 전망=158,160,1

[그림 5-10] SKT 멜론 서비스 제공 개념도=163,165,1

[그림 5-11] DRM 호환 거부=169,1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