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요약문=1,3,6

목차=7,9,2

표목차=9,11,1

그림목차=10,12,1

제1장 서언=11,13,1

제2장 돌멍게 인공종묘생산=12,14,1

제1절 추진동기 및 배경=12,14,1

제2절 재료 및 방법=12,14,1

1. 연구 · 교습어장의 위치=12,14,2

2. 소요자재 준비 및 추진방법=14,16,1

가. 자연산 돌멍게의 난 성숙도 조사=14,16,1

나. 인공채묘를 위한 어미 돌멍게의 확보=14,16,1

다. 채묘 및 산란수조=14,16,1

라. 부화 및 세란=14,16,1

마. 채묘기의 재질 및 설치방법=14,16,1

바. 환수장치=15,17,1

제3절 추진결과=15,17,1

1. 자연산 돌멍게의 난 성숙=15,17,2

2. 산란=16,18,1

3. 부화율 및 수정난의 발생=16,18,2

4. 채묘결과=17,19,1

제4절 고찰=18,20,2

제3장 돌멍게 종모 가이식 시험=20,22,1

제1절 추전동기 및 배경=20,22,1

제2절 재료 및 방법=20,22,1

1. 어장시설방법=20,22,2

2. 수질환경조사=21,23,1

3. 성장도 조사=21,23,1

4. 생존율(폐사율) 및 해적생물 조사=22,24,1

제3절 추진결과=22,24,1

1. 수질환경조사=22,24,10

2. 성장도 조사=32,34,3

3. 생존율 조사=34,36,2

4. 부착성 해적생물 조사=35,37,1

제4절 고찰=35,37,3

제4장 결론=38,40,2

사업추진 관련 사진=40,42,3

판권지=43,45,1

표목차

표 1-1. 연구 · 교습어장 현황=12,14,1

표 2-1. 어미 돌멍게 월별 생식소 발달상태=16,18,1

표 2-2. 자연산 돌멍게 1미당 산란량=16,18,1

표 2-3. 부화시간 및 부화율=17,19,1

표 2-4. 팜사 1m당 소요유생수 및 부착미수=17,19,1

표 3-1. 가이식어장 월별, 수층별 수온 변화=22,24,1

표 3-2. 가이식어장 월별, 수층별 염분 변화=24,26,1

표 3-3. 가이식어장 월별, 수층별 pH 변화=25,27,1

표 3-4. 가이식어장 월별, 수층별 용존산소 변화=27,29,1

표 3-5. 가이식어장 월별, 수층별 총질소 변화(초전지선)=28,30,1

표 3-6. 가이식어장 월별, 수층별 총질소 변화(홍현지선)=29,31,1

표 3-7. 가이식어장 월별, 수층별 인산인 변화=30,32,1

표 3-8. 가이식어장 돌멍게 종묘 성장도=32,34,1

표 3-9. 가이식 돌멍게 생존율=35,37,1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 · 교습어장 위치도=13,15,1

그림 3-1. 어장시설 측면도=21,23,1

그림 3-2. 가이식어장 월별, 수층별 수온 변화(초전지선)=23,25,1

그림 3-3. 가이식어장 월별, 수충별 수온 변화(홍현지선)=23,25,1

그림 3-4. 가이식어장 월별, 수층별 염분 변화(초전지선)=24,26,1

그림 3-5. 가이식어장 월별, 수층별 염분 변화(홍현지선)=25,27,1

그림 3-6. 가이식어장 월별, 수층별 pH변화(초전지선)=26,28,1

그림 3-7. 가이식어장 월별, 수층별 pH변화(홍현지선)=26,28,1

그림 3-8. 가이식어장 월혈, 수층벌 DO 변화(초전지선)=27,29,1

그림 3-9. 가이식어장 월별, 수층별 DO 변화(초전지선)=28,30,1

그림 3-10. 가이식어장 월별 총질소 변화(초전지선)=29,31,1

그림 3-11. 가이식어장 월별 총질소 변화(홍현지선)=30,32,1

그림 3-12. 가이식어장 월별 PO₄, -P 변화(초전지선)=31,33,1

그림 3-13. 가이식어장 월별 PO₄, -P 변화(홍현지선)=31,33,1

그림 3-14. 가이식 돌멍게 월별 체고 성장도=33,35,1

그림 3-15. 가이식 돌멍게 월별 체폭 성장도=33,35,1

그림 3-16. 가이식 돌멍게 월별 중량 변화=34,36,1

칼라목차

사업추진 관련 사진=4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