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1,3,2
보고서 초록=3,5,2
요약문=5,7,1
I. 제목=5,7,1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5,7,2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6,8,2
IV. 연구개발결과=7,9,2
V.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8,10,1
Summary=9,11,2
Contents=11,13,6
목차=17,19,6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23,25,1
1. 연구개발의 목적=23,25,1
2. 연구개발의 필요성=23,25,1
가. 기술적 측면=23,25,4
나. 경제ㆍ산업적 측면=26,28,1
다. 사회ㆍ문화적 측면=27,29,1
3. 연구개발의 범위=27,29,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29,31,1
1. 국내의 연구개발 실적=29,31,1
2. 국외의 연구개발 실적=29,31,2
3. 국내기술의 취약성=30,32,2
4. 앞으로의 전망=31,33,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33,35,1
제1절 열화학싸이클을 이용한 수소제조 기술=33,35,1
1. 열화학싸이클을 이용한 물 분해 수소제조=33,35,1
2. 요오드-황 싸이클(Iodine-Sulfur Cycle)을 이용한 황산 분해=34,36,2
제2절 SO₃ 분해반응=35,37,1
1. SO₃ 분해반응 실험장치=35,37,3
2. 촉매의 제조=37,39,3
3. 촉매 특성 분석 장치=40,42,1
가. BET=40,42,1
나. XRD=40,42,1
다. TPR=40,42,1
라. FT-IR=40,42,1
마. TG/DTA=41,43,1
바.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41,43,1
4. 촉매 특성 및 SO₃ 분해활성=41,43,1
가. 촉매 제조 방법에 따른 SO₃ 분해 실험=41,43,1
(1) 촉매의 표면 특성=41,43,3
(2) 촉매의 XRD 특성=43,45,3
(3) 촉매의 활성 실험=46,48,6
(4) 촉매의 수명=52,54,1
나. 알루미나와 타이타니아를 담체로 한 철 촉매의 SO₃ 분해 실험=52,54,1
(1) 촉매의 표면 특성=52,54,4
(2) 촉매의 XRD 특성=56,58,1
(3) 촉매의 TPR 특성=56,58,4
(4) 촉매의 활성 실험=60,62,3
(5) 촉매의 열적 특성=62,64,9
다. 알루미나를 담체로 한 니켈 촉매의 SO₃ 분해 실험=71,73,1
(1) 촉매의 표면 특성=71,73,1
(2) 촉매의 XRD 특성=71,73,3
라. 알루미나와 타이타니아를 담체로 한 구리 촉매의 SO₃ 분해 실험=74,76,1
(1) 촉매의 표면 특성=74,76,1
(2) 촉매의 XRD 특성=74,76,4
(3) 촉매의 활성 실험=78,80,3
마. 알루미나와 타이타니아를 담체로 한 크롬 촉매의 SO₃ 분해 실험=81,83,1
(1) 촉매의 표면 특성=81,83,1
(2) 촉매의 XRD 특성=81,83,4
바. 지르코니아를 담체로 한 구리 촉매의 SO₃ 분해 실험=85,87,1
(1) 촉매의 표면 특성=85,87,1
(2) 촉매의 XRD 특성=85,87,3
사. 알루미나를 담체로 한 촉매의 SO₃ 분해 실험=88,90,1
(1) 촉매의 표면 특성=88,90,1
(2) 촉매의 XRD 특성=88,90,3
(3) 촉매의 활성 실험=91,93,1
(4) 촉매의 열적 특성=91,93,3
(5) 촉매의 XPS 특성=93,95,9
(6) 촉매의 IR 특성=102,104,2
아. 타이타니아를 담체로 한 촉매의 SO₃ 분해 실험=104,106,1
(1) 촉매의 표면 특성=104,106,1
(2) 촉매의 XRD 특성=104,106,1
(3) 촉매의 활성 실험=104,106,5
(4) 촉매의 열적 특성=109,111,3
5. 결론=112,114,1
제3절 황산 분해공정=113,115,1
1. 황산분해공정의 핵심기술 개발=113,115,1
가. 황산분해공정의 엑서지 해석=113,115,1
(1) Energy, Exergy 해석의 필요성=113,115,2
(2) 공정 해석 영역=115,117,8
(3) 황산분해반응공정의 Energy Analysis=122,124,5
(4) Process-II의 Exergy 해석=127,129,2
2. 1 mole/h 수소 생산을 위한 황산분해공정 설계 및 운전=129,131,1
가. 황산분해공정개요=129,131,2
나. 황산분해공정설계=130,132,2
다. 단위장치=132,134,1
(1) Falling-Film Flash Evaporator=132,134,1
(2) H₂SO₄ 농축기=132,134,7
(3) H₂SO₄ 분해반응기=139,141,1
(가) 황산분해공정 설계 기준=139,141,1
(나) PFD=139,141,1
(다) Material Balance=139,141,2
(라) Energy Balance=141,143,1
(마) 결과검토=141,143,3
라. 단위공정실험=144,146,1
(1) 황산분리 실험=144,146,3
(2) 황산농축 실험=147,149,3
(3) 황산분해 실험=150,152,1
(가) 촉매 접촉 시간의 영향=150,152,1
(나) 1차 열분해 반응기 온도의 영향=150,152,3
(다) 2차 촉매분해반응기 온도의 영향=152,154,3
(라) 원료 중 H₂SO₄ 농도의 영향=155,157,4
(마) 촉매의 반응온도 의존성=159,161,1
(4) 단위공정 실험 결과=159,161,3
마. 황산분해 연속공정 실험=162,164,1
(1) 황산분해 연속공정 실험=162,164,8
(2) 연속공정 실험 결과=169,171,1
바. 결론=170,172,1
제4절 황산분해공정 제어를 위한 실시간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171,173,1
1. 이론적 배경=171,173,1
가. 근적외선 분광법의 원리=171,173,2
나. 케모메트릭스=172,174,4
(1)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PCR)=175,177,4
(2) Partial Least Squares (PLS)=179,181,1
다. 실험 전 참고자료 조사=179,181,3
2. 실험 내용=182,184,1
가. 근적외선분광기 및 기체셀 구성=182,184,3
나. 황산분해공정 물질들의 근적외선 및 적외선 스펙트럼 특징=185,187,7
다. 농도에 따른 황산 피크의 변화=192,194,5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197,199,1
1.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197,199,1
2. 관련분야에의 기여도=198,200,1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199,201,2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201,203,1
1. 요약 문헌 및 발표자료=201,203,4
2. 학회 정보 수집=204,206,1
제7장 참고문헌=205,207,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