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 등]=0,2,2

보고서초록=1,4,1

요약문=2,5,1

I. 제목=2,5,1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2,5,2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3,6,2

IV. 연구개발결과=4,7,1

V.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5,8,1

Summary=6,9,5

Contents=11,14,6

목차=17,20,6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23,26,1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목표=23,26,1

1. 연구목적=23,26,1

2. 연구목표=23,26,2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24,27,1

1. 국내외 관련분야의 환경변화=24,27,1

가. 프롤로그=24,27,1

나.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 자원으로서의 천연물(생약)의 장 · 단점=24,27,3

다. 천연물(생약)을 기반으로하는 식의약품의 국내 · 외 개발 동향=26,29,1

라. 본 연구가 추구하고자 하는 방법=26,29,2

2. 해당 과제의 과학기술, 사회경제적 중요성=27,30,1

가. 기술적 측면=27,30,2

나. 경제 · 산업적 측면=28,31,2

다. 사회 · 문화적 측면=29,32,1

제3절 연구내용 및 범위=30,33,1

제2장 국내의 기술개발 현황=31,34,1

제1절 국내 · 외 타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실적=31,34,1

1. 연구사례의 조사=31,34,1

가. 외국의 경우=31,34,1

나. 국내의 경우=31,34,1

다. 조사연구개발사례에 대한 평가=31,34,1

2. 세부기술사항의 검토분석=32,35,1

가. 국내 · 외 기술수준 비교표=32,35,1

나. 공정단위별 주요 기술사항 및 그 기술수준의 분석평가=32,35,1

1) 외국의 경우=32,35,1

2) 국내의 경우=32,35,1

3) 개발되었거나 개발중인 새로운 기술=32,35,1

다. 기존 공정방법, 기술의 사례에 대한 평가분석=32,35,1

1) 기술적인 평가 : 적용의 난이성, 기술수준 등=32,35,1

2) 경제적인 평가 : 제조원가, 투자규모 등=32,35,1

3) 산업기술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32,35,1

라. 주요 관련기술의 검토=33,36,1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34,37,1

제1절 추진전략 및 방법=34,37,1

1. 기본적 연구개발 전략=34,37,1

2. 구체적 연구개발 방법=34,37,1

가. 생약의 선발 및 가공처리방법 개발=34,37,2

나. 생약의 전처리 방법에 따른 성분 및 활성 변화 검정=35,38,2

다. 가공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 성분의 분리 및 동정=37,40,1

라. QC법의 개발 및 산업화 추진=37,40,1

3. 사업의 추진체계=37,40,1

가. 연구개발추진전략=37,40,1

나. 연구개발추진체계=38,41,1

제2절 연구수행 내용=39,42,1

1. 50종의 빈용생약에 대하여 물리, 화학적 처리 기법 정립=39,42,1

가. 시료의 조제=39,42,1

1) 시료의 확보=39,42,1

2) 시료의 조제=39,42,1

나. 물리적 처리=39,42,1

1) Extrusion=39,42,1

2) Microwave 추출=39,42,1

다. 가열 처리=39,42,1

1) Autoclave에 의한 가열=39,42,1

2) 볶음 처리=39,42,1

라. 생물학적 처리=40,43,1

1) 수추출물에 대한 처리=40,43,1

2)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처리=40,43,1

마. 화학적 처리=40,43,1

1) 무기물 촉매를 이용한 처리=40,43,1

2 식품미생물의 분리, 배양=40,43,1

가.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미생물 선발=40,43,1

1) 균의 수집 및 분리=40,43,1

2) 균분리 및 보관용 배지=41,44,1

3) 균선발 및 효소생산용 배지=41,44,1

4) Glucosidase 활성 측정=41,44,2

3. 성분 및 활성 변화 모니터링=43,46,1

가. 성분 변화 모니터링=43,46,1

1) 사용기기=43,46,1

2) 분석조건=43,46,1

3) 시료조제=43,46,1

나. 활성 검정=43,46,1

1) 항산화 활성=43,46,1

2) 항혈전 활성=43,46,1

3) 항고혈압 활성 측정=44,47,1

4) 면역중가 활성 측정=45,48,1

5) 항암활성 측정=46,49,1

6) 항치매 활성 측정=46,49,2

4. 후보 생약의 선발=47,50,1

가. 성분 및 활성의 변화가 dramatic 한 생약 선발=47,50,1

5. 변화된 화합물의 분리 및 구조동정=48,51,1

가. 가공처리에 의하여 증가된 화합물의 유기용매에 의한 분배 추출 및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한 순수분리=48,51,1

1) 감초로부터 증가성분 분리=48,51,1

2) 목단피로부터 증가성분 분리=48,51,3

3) 천문동으로부터 증가성분 분리=50,53,3

4) 대추에서 증가한 화합물의 분리=52,55,1

5) 결명자에서 증가한 화합물 분리=53,56,2

6) 인진호에서 증가한 화합물 분리=55,58,2

나. 증가된 화합물의 구조동정=57,60,1

1) 감초로부터 증가성분의 동정=57,60,1

2) 목단피로부터 증가성분의 동정=57,60,3

3) 가열처리 오가피의 성분변화=60,63,2

4) 가열처리한 대추와 천문동에서 증가한 화합물의 동정=61,64,2

5) 효소처리 결명자의 증가성분 동정=63,66,2

6) 가열처리 인진호의 증가성분 동정=64,67,3

6. 변화된 화합물의 활성검정=67,70,1

가. 증가된 화합물의 새로운 용도 발견을 위한 활성 측정 (항비만 및 항당뇨효과 측정)=67,70,1

제3절 연구수행 결과=68,71,1

1. 50종의 빈용생약에 대하여 물리, 화학적 기법 정립=68,71,1

가. 시료의 조제=68,71,1

나. 물리적 기법의 정립=68,71,1

1) Extrusio에 의한 성분 변화=68,71,5

가. Microwave에 의한 성분 변화=73,76,1

다. 가열 처리=73,76,1

1) Autoclave 처리=73,76,1

2) 볶음 처리=73,76,8

라. 생물학적 처리 (식품미생물 유래 조효소액 처리)=81,84,1

마. 광물촉매를 이용한 화학적 처리=81,84,1

2. 성분 변화 모니터링 (요약)=81,84,6

3. 식품미생물의 분리,배양=87,90,1

가. 균주의 선발=87,90,1

1)α-Nitrophenyle-β-D-glucopyranoside(ONPG)법에 의한 선발(이미지 참조)=87,90,1

2) 4-ethylumbellifreyl-β-D-glycoside(MUG)법에 의한 선발=87,90,1

3) TLC법에 의한 선발=87,90,1

나. 효소생산의 조건=87,90,1

1) β-glucosidase 생산에 미치는 배양시간의 영향=87,90,1

2) β-glucosidase 생산에 미치는 배양조건=88,91,2

4. 활성 변화 모니터링=90,93,1

가. 항산화 활성=90,93,16

나. 항치매 활성=105,108,1

다. 항혈전 활성=105,108,9

라. 항고혈압 활성=113,116,16

마. 면역 증가활성=129,132,1

1) 각종 한방재료 추출물의 IFN-γ 분비유도 활성=129,132,5

2) 길경 물추출물의 효소처리에 의한 면역조절활성의 상승=134,137,3

바. 항암활성=136,139,3

5. 활성변화 모니터링 (요약)=139,142,1

6. 변화된 성분의 추출, 정제 및 구조동정=140,143,1

가. 감초 중 효소처리에 의해 증가된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140,143,1

1) 화합물의 분리=140,143,1

2) 화합물의 구조동정=140,143,2

3) 감초 중 조효소처리 조건에 따른 liquiritigenin 함량변화=142,145,1

가) Liquiritigenin의 정량=142,145,1

나) 효소반응 조건에 따른 liquiritigenin의 생성량 변화=142,145,1

다) 처리후 항산화 활성의 변화=142,145,2

나. 목단피 중 가열처리에 의해 증가된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144,147,1

1) 화합물의 분리=144,147,1

2) 화합물의 구조동정=144,147,2

3) 목단피 중 가열처리 조건에 따른 paeonol 함량 변화=146,149,1

가) Paeonol의 정량=146,149,1

나) 가열 조건에 따른 paeonol의 생성량 변화=146,149,1

다) 처리 후 항산화 활성의 변화=146,149,2

다. 가공처리에 따른 오가피 중 화합물의 변화=148,151,1

1) 가열 및 extrusion에 따른 오가피 중 phenolic acid의 함량 변화=148,151,4

라. 가열처리에 따른 천문동과 대추 중 증가된 화합물 분석=152,155,1

1) 추출 및 분리=152,155,1

2) 구조동정=152,155,2

3) 최적 가열처리 조건의 확립=154,157,2

마. 효소처리에 의해 결명자 중 증가된 화합물 분석=156,159,1

1) 추출 및 분리=156,159,1

2) 구조동정=156,159,2

3) 최적 효소처리 조건의 확립=158,161,1

바. 볶음처리에 의해 인진호 중 증가된 화합물 분석=159,162,1

1) 추출 및 분리=159,162,2

2) 구조동정=161,164,2

3) 최적 가열처리 조건의 확립=163,166,2

사. 효소처리에 의해 길경 중 증가된 화합물 분석=165,168,1

1) 추출 및 분리=165,168,1

2) 이화학적 성상 검토=165,168,3

7. 가공처리에 의해 함량이 증가한 liquritigenin과 paeonol의 항비만효과 검토=168,171,1

8. 결과의 요약 및 고찰=168,171,3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171,174,1

제1절 연차별 연구목표 및 결과=171,174,1

제2절 평가의 착안점 및 척도=172,175,1

1. 연구개발 종료시 최종평가의 착안점 및 척도=172,175,1

2. 연차별평가의 착안점 및 척도=172,175,1

제3절 사업목표의 달성도 및 자체평가=173,176,1

1. 사업목표의 달성도=173,176,1

2. 평가의 착안점에 따른 목표달성도 자체평가=174,177,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175,178,1

제1절 활용방안=175,178,1

1. 의약분야=175,178,1

2. 농업분야=175,178,1

3. 식품분야=175,178,1

4. 관련학문분야=175,178,1

5. 대구시 BT정책 분야=175,178,2

제2절 활용계획=176,179,1

1. 특허, 논문, 학회발표에의 활용=176,179,1

2. 산업화 및 후속연구계획=176,179,2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177,180,1

제7장 참고문헌=178,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