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1,3,2
보고서 초록=3,5,2
요약문=5,7,4
Summary=9,11,4
Contents=13,15,2
목차=15,17,2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7,19,1
제1절 연구목표 및 범위=18,20,1
제2절 추진전략=19,21,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21,23,1
제1절 외국의 기술개발 현황=21,23,1
제2절 국내의 기술개발 현황=22,24,1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23,25,1
제1절 서언=23,25,8
제2절 축소모형실험을 이용한 적정 주입량 및 주입정 설계=31,33,12
제3절 염/담수 분포 특성을 고려한 담수주입 현장시험=43,45,47
제4절 결언=90,92,7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의 기여도=97,99,2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99,101,2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 기술정보=101,103,8
참고문헌=109,111,4
부록=113,115,9
jpg
그림 3.1.1. 전라남도 영광군 백수읍 부근의 해수침투대 등가염분농도 분포도 (이상규 등, 2003)=24,26,1
그림 3.1.2. 연구지역인 영광군 백수읍 일대의 지형도=25,27,1
그림 3.1.3. 영광군 백수읍 일대의 지질도 (장태우와 황상구, 1984)=26,28,1
그림 3.1.4. 연구 지역에 대한 선구조 분석 결과=27,29,1
그림 3.1.5. 영광군 백수읍 일대의 등가염분농도 분포도=28,30,1
그림 3.2.2. 3차원 축소모형실험 시스템의 사진 (a) 및 평면적 전극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b)=32,34,1
그림 3.2.3. 실험 초기조건 (a)와 x-y 평면 및 x-z 평면상의 전극 배치에 따른 측정범위=34,36,1
그림 3.2.4. 주입량에 따른 12시간 경과 후의 염수침투 양상. NaCl 농도가 100 mg/ℓ (2.0 log mg/ℓ)인 농도면의 분포 양상=35,37,1
그림 3.2.5. 주입량에 따른 12시간 경과 후 염수침투 양상. NaCl 농도가 329 mg/ℓ(2.3 log mg/ℓ)인 농도면의 분포 양상=36,38,1
그림 3.2.6. 담장형 그림으로 나타낸 주입량에 따른 12시간 후의 농도분포=37,39,1
그림 3.2.7. 주입정 위치 (x=1)에서의 y-z 단면상에서 12시간 후의 농도 분포=38,40,1
그림 3.2.8. 주입정의 위치에 따른 영향 비교=39,41,1
그림 3.2.9. 동일량 주입 시 주입정의 개수에 따른 주입 효과 비교=41,43,1
그림 3.3.1. 다채널 전기전도도 모니터링 시스템 (Multi-Channel Electrical Conductivity Monitoring System)=43,45,1
그림 3.3.2.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의 현장 적용 개념도(위) 및 양수 및 다채널 모 니터링장면(아래)=44,46,1
그림 3.3.5. 양수 시험 간 전기비저항탐사 모니터링을 위한 측선 배열=48,50,1
그림 3.3.6. 현장탐사 장면 (양수와 동시에 탐사를 수행함)=48,50,1
그림 3.3.7. 양수 개시 30분 전의 각 측선 하부에서의 전기비저항 분포. (a) RES-1, (b) RES-2, (c) RES-3, (d) RES-4=49,51,1
그림 3.3.8. YK-21호 공에서의 양수시험간 전기비저항탐사 모니터링 결과. (a) 양수 30분전, (b) 양수 개시 후 49시간 경과 후=50,52,1
그림 3.3.9. 북-남 방향 측선 RES-1에서의 시간에 따른 전기비저항 변화 양상=53,55,1
그림 3.3.10. 북동-남서 방향 측선 RES-2에서의 시간에 따른 전기비저항 변화 양상=54,56,1
그림 3.3.11. 동-서 방향 측선 RES-3에서의 시간에 따른 전기비저항 변화 양상=55,57,1
그림 3.3.12. 남동-북서 방향 측선 RES-4에서의 시간에 따른 전기비저항 변화 양상=56,58,1
그림 3.3.13. 공내수 치환 기법의 개념 및 측정 시스템 모식도=59,61,1
그림 3.3.14. 공내수 치환기법을 적용한 시추공YK-21 및 YK-19호공의 위치도=60,62,1
그림 3.3.15. 시추공 YK-21호공에 대한 공내수치환 적용 결과. (a) 물리검층 자료, (b) 시간에 따른 공내수의 전기전도도 변화와 지하수 유입구간(→)=61,63,1
그림 3.3.16. 시추공 YK-19호공에 대한 공내수치환 적용 결과. (a) 물리검층 자료, (b)시간에 따른 공내수의 전기전도도 변화와 지하수 유입구간(→)=62,64,1
그림 3.3.19. 담수 주입공의 위치도=64,66,1
그림 3.3.21. 담수 주입공인 YK-22 및 YK-23호공에 대한 시추 장면=66,68,1
그림 3.3.22. 주입정과 관측정, 주변 시추공의 코아자료를 이용하여 작성한 주상도=66,68,1
그림 3.3.23. 시추공 YK-19호공에 대한 물리검층 결과와 주상도=71,73,1
그림 3.3.24. 시추공 YK-20호공에 대한 물리검층 결과와 주상도=72,74,1
그림 3.3.25. 시추공 YK-21호공에 대한 물리검층 결과와 주상도=73,75,1
그림 3.3.26. 시추공 YK-22호공에 대한 물리검층 결과와 주상도=74,76,1
그림 3.3.27. 시추공 YK-23호공에 대한 물리검층 결과와 주상도=75,77,1
그림 3.3.28. YK-23호공에 대한 공내영상화검층 자료=76,78,1
그림 3.3.35. 담수주입 시스템의 개념도 및 제원=88,90,1
그림 3.3.36. YK-23호공에서 담수 주입 시, YK-21호공에서 측정한 전기전도도의 변화. (a) 주입 시간대의 전기전도도 변화, (b) 주입시간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89,91,1
그림 3.4.1. YK-21호공의 장기 양수 시 각 심도별로 측정된 전기전도도 모니터링 결과. (a)는 전체 모니터링 결과, (b)는 자연상태 및 양수시간 시 모니터링 결과=91,93,1
그림 3.4.2. YK-21호 공에서의 양수시험간 전기비저항탐사 모니터링 결과. (a) 양수 30분 전, (b) 양수 개시 후 49시간 경과 후=92,94,1
그림 3.4.3. 시추공 YK-21호공에 대한 공내수치환 적용 결과. (a) 물리검층 자료, (b) 시간에 따른 공내수의 전기전도도 변화와 지하수 유입구간(→)=93,95,1
그림 3.4.4. 연안 대수층의 특성을 고려한 담수 주입정 및 관측정의 단면도=94,96,1
그림 3.4.5. 담수주입 시스템의 개념도 및 제원=96,98,1
그림 3.4.6. YK-23호공에서 담수 주입 시, YK-21호공에서 측정한 전기전도도의 변화=96,98,1
[Coordinating Committee For Geoscience Programmes In East And Southeast Asia (CCOP) -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Workshop And Training On Current Issues In Geoscience, 2005]=102,104,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