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1

제출문=0,2,2

최종연구보고서 초록=0,4,2

요약문=i,6,4

Summary=v,10,4

Contents=ix,14,2

목차=xi,16,2

표목차=xiii,18,2

그림목차=xv,20,4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24,1

제1절 연구개발 목적=1,24,2

제2절 연구개발 필요성=2,25,1

1. 연구개발의 경제, 사회, 기술적 중요성=3,26,5

제3절 현기술 상태의 취약성=7,30,2

제4절 앞으로의 전망=8,31,1

제2장 국내 · 외 기술개발 현황=9,32,2

제1절 방사성 유기폐액 처리기술 선정시 고려사항=10,33,1

1. 방사성 유기폐액의 종류=10,33,3

2. 방사성 유기폐액 처리기술 선정시 기준=12,35,2

제2절 방사성 유기폐액 처리 후보기술 특성=13,36,2

1. 고온 산화분해기술=15,38,2

2. 상온 산화분해기술=16,39,3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9,42,1

제1절 RI 방사성 유기폐액 특성=19,42,1

1. RI 유기폐액 발생 특성=19,42,5

2. RI 유기폐액 저장 및 관리 현황=23,46,4

제2절 실험실 규모 장치 및 방법=27,50,1

1. 실험장치 특성 및 방법=27,50,1

가. 실험장치 특성=27,50,4

나. 실험 방법=31,54,2

제3절 실험결과 및 고찰=33,56,1

1. 오존-반도체촉매-전극 복합 구성요소별 성능 비교=33,56,5

2. 유기폐액 종류별 처리 특성 평가=38,61,1

가. 실증시험용 혼합 방사성 유기 실폐액 분해성능 실험=38,61,3

나. 톨루엔 함유 유기폐액 분해성능 실험=40,63,3

다. 신규 LSC용 유기 혼합폐액 분해성능 실험=42,65,15

라. 타공정과의 기술 특성 및 운전성 비교=56,79,3

3. 실증규모 RI 유기폐액 처리장치 설계 및 제작=59,82,1

가. 장치의 구성=59,82,2

나. 장치 공정도 및 사진=60,83,8

다. 주요 구성품 사양=68,91,4

라. 후처리장치 설계=71,94,5

4. 실증규모 처리장치 운전 절차=76,99,3

5. 실증장치 이용 신규 LSC용 유기물/톨루엔 혼합폐액 분해성능 실험=78,101,2

6. 공정별 경제성 비교=79,102,5

제4절 결론=84,107,3

제4장 연구개발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87,110,1

제1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87,110,1

제2절 관련분야 기여도=88,111,3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91,114,1

제1절 특허출원 내용=91,114,3

제2절 RI 폐기물 저장시설(NETEC)내 유기폐액처리 방안 협의사항=93,116,5

제3절 월성발전소 현장실증 및 활용을 위한 추진체계 구축=98,121,3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101,124,4

제7장 참고문헌=105,128,4

표목차

Table 1. 개발하고자 하는 본 과제의 새로운 기술공법/장치대비 기존 공정의 기술적 비교=8,31,1

Table 2. 유기성 폐기물 종류별 파괴기술 적용성 분석=14,37,1

Table 3. RI 방사성 유기폐액의 발생원별 물리화학적 주요 특성=19,42,1

Table 4. LSC Cocktail Stoechiometric 조성(mol. 조성)=21,44,1

Table 5. PICO-FLOUR 15와 READY SAFE LSC유기용액의 물리 · 화학적 특성=23,46,1

Table 6. 월성 원전의 RI 방사성 유기폐액의 저장량 및 발생량=24,47,1

Table 7. 월성 원전에서 사용중인 섬광용액의 종류 및 구성성분[31]=24,47,1

Table 8. 월성 원전 저장중인 RI 유기폐액내 핵종 분석=25,48,1

Table 9. 원자력 환경기술원 RI 방사성 유기폐액 저장 현황=26,49,1

Table 10. 원광대학교 발생 유기폐액 주요 특성=38,61,1

Table 11. Ultima Gold 신제품 LSC 용액 이용 유기물 농도변화에 따른 분해효율=43,66,1

Table 12. 유기물 산화분해 기술 특성 비교=56,79,1

Table 13. 유기물 산화분해처리 기술별 장 · 단점=57,80,1

Table 14. 초기 투자비(건설 비용)=81,104,1

Table 15. 운전 및 유지관리비용 : 연간 투입비=82,105,1

Table 16. 비용 계산 근거 자료=83,106,1

Table 17. 설비 면적 비교=83,106,1

Table 18. 월성원전 저장 RI 유기폐액 처리를 위한 사업제안서=100,123,1

그림목차

Fig. 1. 액체 섬광법에 의한 방사성핵종 측정 원리도=21,44,1

Fig. 2. 칵테일 섬광계수 용액내 주요 화학성분의 구조식=21,44,1

Fig. 3, UV/TiO₂ 공정과 (주)지피엔이 공정 개념도 비교=28,51,1

Fig. 4. 실험실 규모 난분해성 RI 유기폐액 처리 주요장치 사진=29,52,1

Fig. 5. 실험실 규모 난분해성 RI 유기폐액 처리 냉각장치 사진=30,53,1

Fig. 6. LSC 용액의 농도 변화에 따른 폐액의 CODcr 보정곡선=32,55,1

Fig. 7. LSC 유기폐액 처리시 오존, 오존-전극, 오존-전극-촉매 복합시스템별 분해율 특성 비교(초기 COD : 68,950 ppm, TiO₂ : 100g, 산소공금량 : 2 L/min)=34,57,1

Fig. 8. 실 유기 혼합폐액 사용 시간에 따른 분해율 특성 비교 (초기 CODcr : 242,000 ppm, TiO₂ : 100g, 오존공급량 : 30 mg/L, 전류밀도 : 20 mA/㎠)=39,62,1

Fig. 9. 실험실 규모장치 이용 20% 톨루엔 폐액의 시간에 따른 분해율 변화=41,64,1

Fig. 10. 실험실 규모장치 이용 20% 톨루엔/자일렌 혼합폐액의 시간에 따른 분해율 변화=41,64,1

Fig. 11. Ultima gold LSC 유기폐액의 반응시간에 따른 유기물 분해율 변화 (TiO₂ : 100g, 전류밀도 : 평균 25 mA/㎠, 산소유량 : 2 L/min)=43,66,1

Fig. 12. Ultima gold LSC 유기폐액의 반응시간에 따른 유기물 분해율 변화 (CODcr 기준, 유기물 농도 : 10 vol.%, 전류밀도 : 평균 mA/㎠)=44,67,1

Fig. 13. Ultima gold LSC 유기폐액내 유기물 분해시 CA-210 첨가제가 미치는 시간에 따른 분해율 변화(CODcr 기준, 유기물 농도 : 2 vol.%, 산소유량 : 2 L/min, 전류밀도 : 평균 25 mA/㎠)=46,69,1

Fig. 14. Ultima gold LSC 유기폐액내 유기물 분해시 NaCl 첨가제가 미치는 시간에 따른 분해율 변화(CODcr 기준, 유기물 농도 : 5 vol.%, NaCl : 0.29 g, 산소유량 : 2 L/min, 전류밀도 : 평균 25 mA/㎠)=47,70,1

Fig. 15. Ultima gold LSC 유기폐액내 유기물 분해시 NaCl 첨가제가 미치는 영향 종합 비교(CODcr 기준, 유기물 농도 : 2,5,I0 vol.%, NaG : 0.29 g, 산소유량 : 2 L/min, 전류밀도 : 평균 25 mA/㎠)=48,71,1

Fig. 16. Ultima gold LSC 유기폐액내 유기물 분해시 NaOH 및 NH₄OH 첨가제가 미치는 영향 종합 비교(CODcr 기준, 유기물 농도 : 10, 20 vol.%, NaCl : 0.59 g, 산소유량 : 2 L/min, 전류밀도 : 평균 25 mA/㎠)=50,73,1

Fig. 17. Ultima gold LSC 유기폐액내 유기물 분해시 NaOH 첨가량 변화에 따른 시간에 따른 유기물 분해율 변화(CODcr 기준, 유기물 농도 : 10 vol.%, 산소유량 : 2 L/min, 전류밀도 : 평균 25 mA/㎠)=51,74,1

Fig. 18. Ultima gold LSC 유기폐액내 유기물 분해시 NH₄OH 첨가량 변화에 따른 시간에 따른 유기물 분해율 변화(CODcr 기준, 유기물 농도 : 10 vol.%, 산소유량 : 2 L/min, 전류밀도 : 평균 25 mA/㎠)=52,75,1

Fig. 19. Ultima gold LSC 유기폐액내 유기물 분해시 NaOH+NH₄OH 혼합 첨가제와 NaCl 첨가제의 유기물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 비교(CODcr 기준, 유기물 농도 : 10 vol.%, 산소유량 : 2 L/min, 전류밀도 : 평균 25mA/㎠)=53,76,1

Fig. 20. Ultima gold LSC/톨루엔 혼합 유기폐액 분해율에 미치는 반응조내 활성탄 충진제의 영향 (CODcr 기준, LSC/톨루엔 : 5/15, 유기물 농도 : 20 vol.%, 산소유량 : 2.5 L/min)=55,78,1

Fig. 21. RI 유기 혼합폐액 분해처리용 실증규모장치의 P&ID=61,84,1

Fig. 22. RI 유기폐액 분해처리 실증규모장치중 반응조 도면=62,85,1

Fig. 23. RI 유기폐액 분해처리 실증규모장치중 촉매 카트리지 도면=63,86,1

Fig. 24. RI 유기폐액 분해처리 실증규모장치중 확산조 도면=64,87,1

Fig. 25. RI 유기폐액 분해처리 실증장치 전체 사진=65,88,1

Fig. 26. RI 유기폐액 분해처리 실증장치용 전극/촉매 카트리지 사진=66,89,1

Fig. 27. RI 유기폐액 분해처리 실증장치용 반응조 상부=67,90,1

Fig. 28. RI 유기폐액 분해처리 실증장치용 오존 파괴조=67,90,1

Fig. 29. RI 유기폐액 분해처리 실증장치용 후처리장치 설계 고려사항=72,95,1

Fig. 30. RI 유기폐액 분해처리 실증장치용 후처리장치 컬럼 설계치=73,96,1

Fig. 31. RI 유기폐액 분해처리 실증장치용 후처리 컬럼 도면=74,97,1

Fig. 32. RI 유기폐액 분해처리 실증장치용 후처리 컬럼 사진=75,98,1

Fig. 33. 실증규모장치 이용 20% 톨루엔 폐액의 시간에 따른 분해율 변화=79,102,1

Fig. 34. 실증규모장치 이용 신규 LSC/톨루엔 혼합유기 폐액의 운전시간에 따른 분해율 특성 변화(CODcr 기준, 유기물 농도 : 20 vol.%, 산소유량 : 25 L/min)=80,103,1

Fig. 35. 초기 투자비 비교 (폐액처리용량 : 0.5톤/day)=80,103,1

Fig. 36. 연간 유지관리비 비교 (폐액처리용량 : 0.5톤/day)=81,104,1

Fig. 37. 월성원전 내 저장중인 RI 유기폐액 처리방안 협의절차도=98,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