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i,3,1

요약문=ii,4,9

Summary=xi,13,7

Contents=xviii,20,2

차례=xx,22,2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24,1

가. 연구개발의 필요성=1,24,3

나. 국내외 관련기술의 현황과 문제점=3,26,3

다. 앞으로의 전망=5,28,2

라. 기술도입의 타당성=6,29,1

제2장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7,30,1

가. 연구개발의 최종 목표=7,30,1

나. 연구개발 내용=7,30,3

다.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와 내용=10,33,3

제3장 연구개발 추진 체계=13,36,1

제4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4,37,1

제1세부과제: 모썩음병의 병원학 및 생물학적 방제 기술 개발=14,37,1

1) 재료 및 방법=14,37,1

가. 공시재료 및 종자 소독=14,37,1

나. 병원균의 분리 및 동정=14,37,2

다. 발생 토양의 이화학적 요인의 병 관련 여부 조사=15,38,1

라. 병원성 조사=15,38,2

마. 생물학적 방제균의 분리=16,39,1

바. 생물학적 방제 균주의 모썩음병 방제 효과 시험=16,39,1

사. 탄소원 첨가에 의한 생물학적 방제 효과의 증진=16,39,3

아. 분말제제의 생존력 검정=18,41,1

자. 생물학적 방제균의 밀도 변화=18,41,1

2) 연구 결과=18,41,1

가. 차아염소산의 소독 효과=18,41,3

나. 모썩음병원균의 분리=20,43,3

다. 발생토양의 이화학적 요인의 병 관련 여부 조사=22,45,2

라. 병원성 조사=23,46,7

마. 생물학적 방제 균주의 길항력 검정=29,52,4

바. 생물학적 방제 효과=32,55,14

사. 분말제제의 생존력 검정=45,68,12

아. 생물학적 방제균의 밀도 변화=57,80,2

제2세부과제: 벼모썩음병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원 선발=59,82,1

1) 재료 및 방법=59,82,1

가. 벼모썩음병의 발생 최적 환경=59,82,1

나. 저항성 유전자원 평가 및 선발=59,82,2

다. 저항성 품종에 대한 실내 및 포장 평가=60,83,2

2) 결과=61,84,1

가. 모썩음병 발생 최적환경 구명=61,84,4

나. 모썩음 병원성 균주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원 평가=64,87,5

다. 담수직파 종자의 입모성과 모썩음병과의 관련성=68,91,6

라. 모썩음병 저항성 유전자원의 평가 및 선발=73,96,3

마. 모썩음병 저항성 관련 기초생리 연구=76,99,9

제5장 기대효과=85,108,1

가. 기술적 효과=85,108,1

나. 경제ㆍ산업적 측면=85,108,1

제6장 활용방안=85,108,2

제7장 연구개발성공시 다음단계 조치사항 (최종년도에 한함)=86,109,1

제8장 연구평가의 착안점=87,110,1

제9장 참고자료 및 문헌=88,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