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0,3,1

요약문=1,4,4

Summary=5,8,3

Contents=8,11,2

목차=10,13,5

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5,18,9

2장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24,27,3

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27,30,1

1절 유용 미생물의 선발 및 동정=27,30,1

1. 유용 미생물의 선발에 따른 길항력 검정=27,30,1

가. 서언=27,30,1

나. 재료 및 방법=27,30,1

1) 1차 유용 미생물의 선발 및 길항성 검정=27,30,2

2) 2차 유용 미생물의 선발 및 길항성 검정=28,31,2

다. 결과 및 고찰=30,33,1

1) 1차 유용 미생물의 선발 및 길항성 검정=30,33,2

2) 2차 유용 미생물의 선발 및 길항성 검정=32,35,2

2. 유용 미생물의 작물생장촉진효과 검정=33,36,1

가. 재료 및 방법=33,36,1

1) 발아촉진 효과 검정=33,36,2

2) 작물 생장촉진 효과 검정=34,37,1

나. 결과 및 고찰=34,37,1

1) 발아촉진 효과=34,37,3

2) 작물 생장촉진 효과=36,39,2

3. 유용 미생물의 동정=38,41,1

가. 재료 및 방법=38,41,1

나. 결과 및 고찰=38,41,7

4. Pseudomonas Fluorescens K9509가 생산하는 Siderophore의 특성=44,47,1

가. 재료 및 방법=44,47,3

나. 결과 및 고찰=47,50,5

2절 길항세균의 배지 최적화 및 제제화 연구=52,55,1

1. 소용량 발효조에서의 최적화 연구=52,55,1

가. 재료 및 방법=52,55,1

1) 당농도의 분석=52,55,1

2) 균체농도 측정=52,55,1

3) 생균수 측정=52,55,1

4) 플라스크 최적 배양조건=52,55,1

5) 소용량 발효조(5L) 에서의 최적화 연구=53,56,1

6) Siderophore 생성량 측정=53,56,2

나. 결과 및 고찰=54,57,1

1) 플라스크 배양을 통한 배양 최적화=54,57,1

가) 길항세균의 탄소원 조사=54,57,2

나) 길항세균의 질소원조사=55,58,2

다) 길항세균의 미량 원소에 대한 영향 조사=56,59,2

라) 탄소원 농도 변화에 따른 실험=57,60,2

마) 질소원 농도 변화에 따른 실험=58,61,2

바) 길항 세균의 pH에 따른 실험=59,62,2

사) 길항 세균 온도에 따른 실험=60,63,2

아) 플라스크 조건에서 최대성장 배지 조성=62,65,2

자) Siderophore 생성 배지 조성 탐색=63,66,3

차) Siderophore 최대 생성배지 조건=65,68,1

2) 5L 발효조 배양공정의 최적화[파오손면;p.66~67]=66,69,1

2. 대용량 발효에서의 최적화 연구[파오손면;p.66~67]=67,70,1

가. Bacillus sp. BIG21003의 300L 및 2500L 발효조 최적화 연구[파오손면;p.66~67]=67,70,1

1) 재료 및 방법[파오손면;p.66~67]=67,70,1

가) 공시균주 및 보존[파오손면;p.66~67]=67,70,1

나) 균체농도 측정=68,71,1

다) 포도당 농도 측정=68,71,1

라) 300 L 및 2500L 발효조에서의 최적화 연구=68,71,1

2) 결과 및 고찰=68,71,1

가) 300 Liter Modified Fed-Batch Culture공정=68,71,2

나) 2500 Liter Modified Fed-Batch Culture공정=69,72,2

나. Pseudomonas Fluorescens K95009의 300L 및 2500L 발효조 최적화 연구=69,74,1

1) 재료 및 방법=71,74,1

2) 결과 및 고찰=71,74,1

가) 대용량 발효조(300L)의 대량생산 공정 연구=71,74,3

나) 대용량 발효(2500L)의 대량생산 공정 연구=73,76,3

3절 미생물 안정적 제제 개발=76,79,1

1. Bacillus Sp. BIG21003 균의 안정화=76,79,1

가. 재료 및 방법=76,79,1

1) Spray Dry=76,79,1

2) Freeze Dry=76,79,1

3) 경시 변화=76,79,1

나. 결과 및 고찰=76,79,3

2. Pseudomonas Fluorescens K95009 균의 안정화=79,82,1

가. 재료 및 방법=79,82,1

나. 결과 및 고찰=79,82,1

1) Freeze Dry 방법을 통한 세포 안정화=79,82,3

2) 흡착(Adsorption)을 이용한 세포 안정화=81,84,2

4절 주요 작물의 생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83,86,1

1. 주요작물의 Priming 조건 구명=83,86,1

가. 공시재료 및 조사방법=83,86,3

나. 결과 및 고찰=85,88,1

1) 더덕=85,88,2

2) 상추=86,89,4

3) 양파=90,93,4

4) 당근=93,96,3

5) 담배=96,99,4

5절 Seed Pelleting 기술 개발=100,103,1

1. Seed Pelleting 접착ㆍ피복물질 선발=100,103,1

가. 서언=100,103,1

나. 재료 및 방법=100,103,1

1) Seed Pelleting 성형 물질 선발=100,103,1

가) 접착물질 선발=100,103,2

나) 피복물질 선발=101,104,1

2) 발아율 조사방법=101,104,1

가) 접착물질 선발에 따른 발아율=101,104,1

나) 피복물질 선발에 따른 발아율=101,104,1

다. 결과 및 고찰=102,105,1

1) 펠렛 피복ㆍ접착물질이 발아에 미치는 영힝=102,105,1

가) 접착물질이 발아에 미치는 영향=102,105,4

나) 피복물질이 발아에 미치는 영향=105,108,2

2. Seed Pelleting 기술 개발=107,110,1

가. 재료 및 방법=107,110,1

1) 접착물질 Slurry액의 제조=107,110,1

2) 피복물질 Powder의 제제화=108,111,1

3) Pelleting 종자 제조=108,111,1

4) Pelleting 종자의 물리적 특성 조사=108,111,1

가) 피복재료 별 Pellet 종자의 경도 및 균일도 측정=108,111,1

나) Pelleting 종자의 수분흡수력 측정=108,111,1

5) Pelleting 종자의 발아율=108,111,1

가) 피복물질조합에 따른 Pelleting 종자의 발아율=108,111,2

나) 토양함수량에 따른 Pelleting 종자의 발아율=109,112,1

6) Pelleting 종자 제조시 온도의 영향=109,112,1

나. 결과 및 고찰=110,113,1

1) Pelleting 종자의 제조=110,113,2

2) Pelleting 종자의 발아율=111,114,1

가) 피복물질조합에 따른 Pelleting 종자의 발아율=111,114,4

3) Pelleting Seed의 물리적 특성=115,118,1

가) 피복재료에 따른 Pelleting 종자의 경도 및 균일도 측정=115,118,4

나) Pelleting 종자의 수분흡수력 측정=118,121,3

6절 미생물 Pelleting 종자의 생장촉진 활력 검정=121,124,1

1. 미생물 Pelleting 종자의 제조=121,124,1

가. 재료 및 방법=121,124,1

1) 미생물 제제화=121,124,1

2) 미생물 Pelleing 종자 제조=121,124,2

3) 미생물 Pelleting 종자 활력 검정=122,125,1

4) Priming 처리된 미생물 Pelleting 종자의 활력검정=122,125,1

나. 결과 및 고찰=122,125,1

1) 미생물 Pelleting종자의 활력 검정=122,125,3

2) Priming처리된 미생물 Pelleting 종자의 활력 검정=124,127,3

2. 생육촉진 효과 검정=126,129,1

가. 재료 및 방법=126,129,1

나. 결과 및 고찰=127,130,3

7절 미생물 Pelleting 종자의 길항력 검정=130,133,1

1. 미생물 종자 처리에 따른 균 생존력 검정=130,133,1

가. 재료 및 방법=130,133,1

1) Pelleting 성형물질을 이용한 미생물 Coating=130,133,2

2) 미생물 Pelleting종자의 안정적 균 활력 유지 기술=131,134,1

나. 결과 및 고찰=131,134,1

1) Pelleting 성형물질을 이용한 미생물 Coating 처리=131,134,5

2) 미생물 Pelleting 종자의 안정적 균 활력 유지 기술=136,139,2

2. 미생물 Pelleting 종자의 근권정착능력=138,141,1

가. 재료 및 방법=138,141,1

1) 공시 재료=138,141,1

2) 미생물 Pelleting 종자의 재배 기간에 따른 밀도변화=138,141,1

3) 근권정착능력 검정=139,142,1

4) 미생물 Pelleting 종자의 병억제 효과=139,142,1

나. 결과 및 고찰=139,142,1

1) 균의 접종 후 기간경과에 따른 밀도변화=139,142,2

2) 근권 정착능력=140,143,2

3) 미생물 Pelleting 종자의 병억제 효과=141,144,3

8절 농가 실증 포장실험=144,147,1

1. 작물 생육촉진 효과=144,147,1

가. 서언=144,147,1

나. 재료 및 방법=144,147,1

1) 공시재료=144,147,2

2)/3) 포장 선정 및 정리=145,148,2

다. 결과 및 고찰=147,150,1

1) 초기 발아율 비교=147,150,1

2) 온실 생육 비교=147,150,3

3) 지역별 농가 실증 시험=149,152,1

가) 실험포장의 물리ㆍ화학적 성질=149,152,2

나) 포장 실험 기간 기온 변화=150,153,1

다) 상추 지역별 Field 생육촉진 효과 검증=151,154,5

라) 양파 지역별 Field 생육촉진 효과 검증=155,158,6

2. 토양병에 대한 억제 효과=161,164,1

가. 재료 및 방법=161,164,1

1) 길항미생물 펠렛종자의 경시적 활력 조사=161,164,1

2) 모잘록병 억제 효과=161,164,1

나. 결과 및 고찰=161,164,1

1) 길항미생물 펠렛종자의 경시적 활력 조사=161,164,1

2) 모잘록병 억제효과=162,165,5

9절 생장촉진 물질의 성분 분석 및 구명=167,170,1

1. 생장촉진 물질의 성분 분석 및 구명=167,170,1

가. 재료 및 방법=167,170,1

1) 공시균주=167,170,1

2) 기기 및 시약=167,170,1

3) 배지와 상등액 간의 HPLC 분석=167,170,2

4) 추출 및 분획=168,171,1

가) Pellet과 Suspension의 추출=168,171,1

나) 극성에 따른 순차적 용매 분석=168,171,1

다) 분획층별 발아율 검사=168,171,1

라)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한 생리활성 물질 분리 및 정제=169,172,1

5) Crystal 분석=170,173,1

가) Crystal을 이용한 종자의 발아율 조사=170,173,1

나) RI 분석=170,173,1

다) 당 가수분해=170,173,1

나. 결과 및 고찰=170,173,1

1) 분획층별 발아율 검사=170,173,8

2) 배지와 상등액간의 함량 비교=177,180,1

3) 추츨 및 분획에 따른 분획층별 함량 비교=177,180,2

4) Amberlite XAD-2 Resin Column Chromatography=179,182,2

5) Thin Layer Chromatography=180,183,1

6)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180,183,3

7) Mass 및 NMR 분석=182,185,4

8) Crystal을 이용한 생장촉진 실험=186,189,5

9) RI 분석=190,193,1

10) 당 추정 분석=191,194,1

10절 시제품 개발=192,195,1

1. 서언=192,195,1

2. 시제품 제조=192,195,1

가. 재료 및 방법=192,195,1

나. 결과 및 고찰=193,196,1

1) 상추 미생물 Pelleting 종자 제조=193,196,2

2) 양파 미생물 Pelleting 종자 제조=194,197,2

3. 미생물 펠렛종자 시제품=195,198,1

가. Pellebng 종자와 나종자 비교=195,198,1

나. 시제품 바이오캡스(BioCaps)=196,199,2

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198,201,2

5장/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200,203,1

6장/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 기술정보=201,204,5

Reference=206,2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