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요약=(1),3,36

목차=(37),39,1

(표ㆍ그림목차)=(38),40,1

I. 서론=1,41,4

II. 연구의 범위 설정을 위한 개념 틀=5,45,4

III. 신공공관리주의와 정부개혁=9,49,1

1. 신공공관리주의 개혁=9,49,6

2. 공공부문 개혁의 추진주체와 수단=15,55,4

IV. 공공부문 개혁성과에 대한 기존평가의 분석=19,59,1

1. 기존 성과평가의 내용과 특성=19,59,13

2. 인식차이의 원인=32,72,7

V. 공공부문 개혁에 대한 평가=39,79,1

1. 평가 종합=39,79,5

2. 정책 과제별 평가=44,84,77

VI. 바람직한 공공부문 개혁의 방향과 전략=121,161,1

1. 현 정부의 개혁환경과 성과, 개선과제=121,161,4

2. 공공부문 개혁 방향설정을 위한 환경 조건의 분석=125,165,4

3. 향후 공공부문 개혁의 방향과 전략=129,169,14

VII. 결론=143,183,2

참고문헌=145,185,3

표목차

(표2-1) 공공부문에 대한 인식과 성과평가의 대상범위=6,46,1

(표3-1) 주요 국가들의 개혁추진 기구=15,55,1

(표4-1) 공공부문 개혁관련 조사결과의 요약=21,61,1

(표5-1) 공공부문 개혁 성과 평가 총괄=43,83,1

(표5-2) 공무원 구조조정 현황(2001년말 현재)=48,88,1

(표5-3) 공기업 및 산하기관 인력감축현황(2001년 말)=49,89,1

(표5-4) 공무원의 정원변화 추이(매년도 12월 31일 기준)=50,90,1

(표5-5) OECD국가의 정부인력규모 비교(2000년)=51,91,1

(표5-6) 직급별 인력감축비율(2000년 10월말)=52,92,1

(표5-7) 공기업 민영화 추진실적(2002. 6월말 기준)=55,95,1

(표5-8) 공기업 민영화 추진과정(2002. 6월말 기준)=56,96,1

(표5-9) 책임운영기관 시범운영대상기관=61,101,1

(표5-10) 정부투자기관 비상임이사 현황=72,112,1

(표5-11) 공무원, 대기업, 공기업의 퇴직금 지급액 규모=80,120,1

(표5-12) 퇴직금 제도 개선내용=81,121,1

(표5-13) 평가단의 평가결과의 요약(2001.1. 현재)=82,122,1

(표5-14) 기금 정비 실적=87,127,1

(표5-15) 준조세 정비에 따른 기대효과 및 경감내역(1999년 기준)=90,130,1

(표5-16) 연도별 예비타당성 조사 실적=95,135,1

(표5-17) 연도별 예산성과금 지급 실적=96,136,1

(표5-18) 연도별 총사업비 조정결과=97,137,1

(표5-19) 17개 핵심민생개혁과제=116,156,1

(표5-20) 행정서비스헌장의 제정ㆍ운영 현황(2000년말)=118,158,1

(표6-1) 공공부문 개혁의 성과창출과제와 보완ㆍ추가 개혁과제=124,164,1

그림목차

(그림2-1) 공공부문 개혁의 성과평가를 위한 대상 영역=7,47,1

(그림6-1) 새 정부의 공공부문 개혁의 기본방향과 전략도=141,1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