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1,1,1
머리말=3,2,2
목차=5,4,2
표목차=7,6,2
그림목차=8,7,1
요약[파오손면;p.39~40]=9,8,45
제1장 서론/홍석표=55,53,2
제2장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능력배양/홍석표=57,55,1
제1절 개요=57,55,3
제2절 사회안전망의 설계=59,57,5
제3절 사회안전망의 고안과 시행시의 원칙=63,61,5
제4절 사회안전망의 효율성 제고=67,65,4
제3장 빈곤층에 대한 정보능력과 보호대상자 조사 현황분석/박능후=71,69,1
제1절 경제위기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와 정보생산의 필요성=71,69,2
제2절 빈곤층에 대한 정보능력 현황=72,70,23
제3절 위기에 처해 있는 보호대상자 조사=95,93,5
제4절 위기대응의 긍정적 효과=100,98,2
제4장 사회안전망 개선을 위한 대응제도 및 재정의 설계방안/김용하=102,100,1
제1절 경제위기시 대응제도의 설계=102,100,6
제2절 사회안전망 프로그램을 위한 재원조달 및 적용범위=107,105,10
제3절 사회안전망 프로그램의 안정적 재원조달 방안=117,115,14
제4절 정책적 함의=130,128,3
제5장 사회안전망제도 운영의 투명성과 책임성 강화방안/김진수=133,131,1
제1절 기본시각=133,131,5
제2절 투명성과 책임성에 대한 경향=137,135,4
제3절 사회안전망 발전과정에서 투명성과 책임성=141,139,3
제4절 투명성과 책임성 현황 및 실태=144,142,17
제5절 사회안전망체제와 시민참여=161,159,9
제6절 제도별 평가=169,167,14
제7절 시사점=182,180,2
제6장 사회안전망(SSN) 정책 활동의 효율성 평가를 위한 역량 구축/박영란=184,182,1
제1절 배경=184,182,2
제2절 SSN 평가에 대한 개념 골격=185,183,8
제3절 한국의 SSN 평가들의 사례 연구=192,190,7
제4절 정책적 함의=199,197,1
제7장 자유화로 인한 경제적 변화 적응을 위한 근로자 재훈련/Kusol Soonthorndhada=200,198,1
제1절 개요=200,198,6
제2절 세계 경제에서 훈련 및 재훈련=206,204,4
제3절 인력 훈련 및 재훈련 검토=209,207,15
제4절 정책적 함의=223,221,5
제8장 결론/홍석표=228,226,3
참고문헌=231,229,6
부록(영문)=237,235,2
Topic1. "Identifying At-Risk Populations And The Poverty Statistics"/Neung-Hoo Park=239,237,27
Topic2. "Designing Response Institutions And Financing For Better Social Safety Net Operations In Korea"/Yongha Kim=266,264,28
Topic3. "Strengthening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In Social Safety Net Operations"/Jin-Soo Kim=294,292,24
Topic4. "Capacity Building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afety Net Policy Action"/Yeongran Park=318,316,15
Topic5. "Workforce Retraining In Response To Economic Liberalization"/Kusol Soonthorndhada=333,331,24
표목차(표3-1) 정부승인통계 부문별 작성현황(2004년 6월 현재)=73,71,1
(표3-2) 정부승인통계 생산기관별 현황(2004년 6월 현재)=74,72,1
(표3-3) 통계수요조사 결과(2004) : 분야별 미비통계사례=75,73,1
(표3-4) 통계관련 업무별 인력현황, 2003년=76,74,1
(표3-5) 경제활동인구조사 조사항목=79,77,1
(표3-6) 사회통계조사 부문별 조사사항=85,83,1
(표3-7) 보건복지부가 생산하는 조사 및 보고통계 현황=86,84,1
(표3-8) 실업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조사내용=88,86,1
(표3-9) 최저생계비계측조사 주요 조사항목=91,89,1
(표3-10) 2004년도 최저생계비, 현금급여기준 및 각종 급여액(단위:원)=96,94,1
(표4-1) OECD국가의 사회안전망 프로그램=104,102,1
(표4-2) 한국의 사회안전망 확대=106,104,1
(표4-3) 주요국의 사회보험제도 도입 시기=106,104,1
(표4-4) 국민연금 가입자(단위:천명)=107,105,1
(표4-5) 국민연금 보험료=108,106,1
(표4-6) 국민연금 재정현황(단위:억원)=108,106,1
(표4-7) 현행 공사연금제도의 개요=109,107,1
(표4-8) 건강보험 적용인구 및 보험료(2005. 1월 기준)=109,107,1
(표4-9) 건강보험 재정현황(단위:억원)=110,108,1
(표4-10) 산재보험 적용실적(04. 12월)(단위:천개소, %)=110,108,1
(표4-11) 산재보험 및 예방기금 재정수지(단위:억원, %)=111,109,1
(표4-12) 고용보험 적용인구(04. 12월)(단위:천개소, 천명, %)=111,109,1
(표4-13) 고용보험 재정수지(단위:억원)=112,110,1
(표4-14) 급여지출 규모와 GDP 비중(십 억원, %)=113,111,1
(표4-15) 보험료 수입 규모와 GDP 비중(십 억원, %)=113,111,1
(표4-16) 연도별 생계급여 수급자수 추이(단위:%, 만명)=114,112,1
(표4-17) 기초보장예산 증가추이(1998-2004)(단위:억원)=116,114,1
(표4-18) 국민임대주택 건설유형별 입주계층=129,127,1
(표5-1) 한국 사회보험 체제 및 현황=142,140,1
(표5-2) OECD 국가의 중앙정부 세출예산 중 사회보장비 비율(단위:%)=146,144,2
(표5-3) 사회보장 예산안의 소관부처별 규모(단위:백만원)=147,145,1
(표5-4) 정부예산 대비 사회보장예산 : '98~'03년((단위:억원)=148,146,1
(표5-5) 정부와 시민단체의 노숙자 통계 비교('03. 7 현재)(단위:명)=150,148,1
(표5-6) 정부부처별 사회복지와 관련된 정부위원회 목록=163,161,1
(표5-7) 노동부산하 위원회=165,163,2
(표5-8) 보건복지부 산하 위원회=168,166,1
(표6-1) 평가에 대한 5단계 접근법=189,187,1
(표6-2) 평가의 틀=194,192,2
(표7-1) 국가 및 근무 조직에 대한 변화 시나리오=203,201,1
(표7-2) 일부 아시아 국가들의 실업률 통계, 1996-2003=205,203,1
TABLESTable1-1. State Of Government-Authorized Statistics By Area(As Of June 2004)=241,239,1
Table1-2. State Of Government-Authorized Statistics By Production Organizations(As Of June 2004)=242,240,1
Table1-3. Results Of The Statistical Demand Survey(2004) : Cases With Lack Of Statistics By Area=243,241,1
Table1-4. State Of Human Resources By Statistics-Related Work, 2003=244,242,1
Table1-5. Survey Items For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246,244,1
Table1-6. Survey Items By Area In The Social Statistics Survey=252,250,1
Table1-7. State Of Survey And Report Statistics Produc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53,251,1
Table1-8. Contents Of The State Of Unemployment And Welfare Needs Survey=255,253,1
Table1-9. Major Survey Items In The Estimation Of Minimum Cost Of Living=258,256,1
Table1-10. 2004 Minimum Cost Of Living, Cash Benefits Standard And Various Benefits=261,259,1
Table2-1. Social Safety Net Program Of OECD Countries=267,265,1
Table2-2. Expansion Of Social Safety Net In Korea=269,267,1
Table2-3. Period Of Introducing The Social Insurance System In Major Countries=269,267,1
Table2-4. Subscribers To National Pension(Unit:1,000 persons)=270,268,1
Table2-5. Insurance Premium Of National Pension=271,269,1
Table2-6. Financial Status Of National Pension(Unit:100 million won)=271,269,1
Table2-7. Summary Of The Current Public Pension System=271,269,1
Table2-8. Population Applicable For Health Insurance And Insurance Premiums(As Of January 2005)=272,270,1
Table2-9. Financial Status Of Health Insurance(Unit:100 million won)=272,270,1
Table2-10. Record Of Applying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December 2004)(Unit:1,000 Business, %)=273,271,1
Table2-11. Financial Surplus For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And Prevention Fund(Unit:100 million won, %)=273,271,1
Table2-12. Population Applicable For Employment Insurance(December 2004)(Unit:1,000 Business, 1,000 Persons, And %)=274,272,1
Table2-13. Financial Surplus Of Employment Insurance(Unit:100 million won)=274,272,1
Table2-14. Size Of Benefit Payments And Ratio Of GDP(1 Billion won, %)=275,273,1
Table2-15. Size Of Income From Insurance Premiums And Ratio Of GDP(1 Billion won, %)=276,274,1
Table2-16. Trend In The Number Of Recipients For Livelihood Benefits Each Year(Unit:%, 10,000 Persons)=276,274,1
Table2-17. Trend In The Increase In Basic Security Budgets(1998-2004)(Unit:100 million won)=278,276,1
Table2-18. Class Of Tenants For Each Construction Type Of National Rental Housing=292,290,1
Table3-1. Current Status Of The Social Insurance System In Korea=298,296,2
Table3-2. List Of Social-Welfare-Related Government Committees By Ministry=309,307,1
Table4-1. Five-Tier Approach To Evaluation=322,320,2
Table4-2. Evaluation Framework=327,325,1
Table5-1. Changing Scenarios For Countries And Organizations=336,334,1
Table5-2. Unemployment Rates In Selected Asian Countries, 1996-2003=337,335,1
그림목차
[그림4-1] 근로능력을 기준으로 한 수급자 분류=115,113,1
[그림5-1] 정부예산 vs 사회보장예산 증가율 비교 : '98~'03년=149,147,1
FIGURES
Figure2-1. Classification Of Recipients Based On Labor Capability=277,275,1
Figure3-1. A Comparison Of Growth Rates : Total Government Budget vs. Social Security Budget(1998-2003)=301,2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