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1,3,1

에너지ㆍ자원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초록=2,4,1

요약문=3,5,2

목차=5,7,2

제1장 서론=7,9,2

제2장 국외의 지하 열 자원 활용 및 기술 현황=9,11,1

제1절 전 세계 지하 열 자원 활용 현황=9,11,1

2.1.1. 지하 열 자원 부존량과 사용량=9,11,2

2.1.2. 세계 지열 발전 현황=11,13,3

2.1.3. 세계 지하 열 자원 직접 이용 현황=13,15,4

2.1.4. 지열 열펌프 활용 - 스위스와 미국=16,18,3

제2절 전 세계 지하 열 자원 직접이용 기술 동향=18,20,2

2.2.1. 각국의 지하 열 자원 부존에 대한 연구=19,21,8

2.2.2. 최근 지하 열 자원 활용 기술개발의 동향=27,29,8

제3장 국내 지하 열 자원 부존 및 활용 기슬=35,37,1

제1절 한반도 지하 열 자원 분포 특성=35,37,1

3.1.1. 한반도 지온경사 분포=35,37,4

3.1.2. 암석별 열전도도 특성=39,41,7

3.1.3. 지열류량 분포=45,47,4

3.1.4. 국내 대수층 분포 - 지하수 열 자원=48,50,9

제2절 지중 열 거동 시뮬레이션=56,58,2

3.2.1. 지중 열 거동 모델링 기술 개발 필요성=57,59,2

3.2.2. 지중 열 거동 모델링 기술 활용=58,60,2

3.2.3. 국내 지질 환경에 적합한 지중 열 거동 시뮬레이션 기술 적용=59,61,3

3.2.4. 지중 열 거동 시뮬레이션 사례=61,63,8

3.2.5. 핵심기술 확보 방안=68,70,2

제3절 국내 지하 열 자원 활용의 경제성=70,72,1

3.3.1. 지하 열 자원의 활용 특성 및 해외 경제성 분석 사례 조사=70,72,4

3.3.2. 국내 지하 열 자윈 활용의 경제성 분석=74,76,10

3.3.3. 국내 지하 열 자원 보급 가능량을 적용한 경제성 분석=83,85,3

제4장 국내 지하 열 자원 활용기술 개발의 중장기 계획=86,88,1

제1절 우리나라 지하 열 자원 활용의 타당성 및 개발대상 기술=86,88,1

4.1.1. 지중 열 교환기를 이용한 지하 열 자원 활용=86,88,3

4.1.2. 지하수 열 자원의 활용=88,90,3

4.1.3. 심부 지하 열 자원의 활용=91,93,2

제2절 지하 열 자원 활용 기술 개발을 위한 기술지도=92,94,4

제5장 결론=96,98,2

참고문헌=98,100,7

칼라목차

jpg

그림 2.2.1. 지하수 온도를 측정하여 작성한 미국의 지표 온도분포도(Gass,1982)=20,22,1

그림 2.2.2. 미국 전역의 지온증가율 분포도(Gass,1982)=20,22,1

그림 2.2.3. 1992년도에 GSA에서 작성한 미국 전역의 지열류랑 분포도=21,23,1

그림 2.2.4. 2004년도에 DOE 지원으로 작성된 미국 전역의 지열류량 분포도=21,23,1

그림 2.2.5. 심도 1,000m에서 유렵의 온도 분포도(Hurter And Schellschmidt, 2003)=23,25,1

그림 2.2.6. 독일 North-East German Basin내 Buntsandstein 대수층의 지하 열 자원 분포도. (a) 대수층 상단까지의 깊이 분포도 (400 ~ 3,200 m), (b) 대수층 두께 분포도 (100 ~ 420m),(c) 대수층 상단의 온도 분포도 (20 ~ 120 ℃), (d) 자원량 분포도 (평균 0,5 ~ 2,5GJ/㎡)=24,26,1

그림 2.2.7. 스위스의 지열류량 분포도=25,27,1

그림 2.2.8. 지질, 수리지질, 지구물리 및 시추 자료를 이용하여 구성한 북부 스위스 지역의 3차원적 지하 열 자원 분포도(Kohl Et Al, 2003)=26,28,1

그림 2.2.9. 수평적인 지하수의 흐름이 있을 때 지중 열 교환기의 모식도(왼쪽)및 지하수 유속에 따른 지중 열 변화 시뮬레이션 결과(오른쪽)(After Niibori Et Al,2005)=28,30,1

그림 2.2.10. Soultz위치노(왼쪽)와 EGS개념도(오른쪽;Laplaige et al., 2005)=32,34,1

그림 2.2.11. Soultz프로젝트에서 굴착된 4개 시추공의 궤적 및 지질 단면(왼쪽)과 시추공의 위치를 보여주는 사진(오른쪽)=32,34,1

그림 3.1.2. 국내 산재된 심부 굴착공의 위치와 지은경사 분포도=38,40,1

그림 3.1.8. 국내 지열류량 측정 위치와 지열류량 밀도 분포도(248개 자료:1970~2003; 김형찬, 2004)=46,48,1

그림 3.1.9. 경상남북도 지역 90개 지열류량 자료를 추가한 지열류량 분포도=47,49,1

그림 3.1.12. 전국수문지질도 (국가지하수정보센터, 2003)=51,53,1

그림 3.1.13. 울산지역의 충적층-풍화대 층후 분포도(성익환 등,2003)=52,54,1

그림 3.1.14. 충북 음성군 맹동면 화강암지역 지하수공의 월별 수직 지온분포=53,55,1

그림 3.1.15. 금산군 남이면 응회암지역 지하수공의 월별 수직 지온분포=54,56,1

그림 3.2.1. 대수층 축열 시스템(Aquifer Thermal Energy Storage: ATES) 모델에서 주입 및 양수에 의한 대수층 내 온도 분포 시뮬레이션 (심병완, 2004)=58,60,1

그림 3.2.2. 강변여과수 활용을 위한 지하수 유동 모델링 사례(진재화 등, 2004)=61,63,1

그림 3.2.6. 지중 열 거동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수리경사가 0.01일 경우 지하수 유동에 의한 365일 이후 대수층 내 온도 분포 예측 결과=68,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