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1,3,2
요약문=3,5,2
Summary=5,7,2
Contents=7,9,2
목차=9,11,4
(표 차례)=13,15,4
(그림 차례)=17,19,2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9,21,1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19,21,1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19,21,1
1. 기술적 측면=19,21,3
2. 경제ㆍ산업적 측면=21,23,2
3. 사회ㆍ문화적 측면=22,24,2
제3절 연구개발의 범위=24,26,1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25,27,1
제1절 원재료의 특성=25,27,1
제2절 혈당조절용 소재의 기술 개발 현황=25,27,1
1. 발병 위험 감소를 목표로 하는 질병에 대한 설명=25,27,1
가. 당뇨병=25,27,2
나. 내당능 장애 혹은 당뇨병 전단계=26,28,2
2. 혈당조절용 소재의 기술 개발 현황과 전망=27,29,1
가. 국외 기술 동향=27,29,1
나. 국내 기술 동향=27,29,2
다. 현 기술 상태의 취약 부분=28,30,1
라. 앞으로의 전망=28,30,1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29,31,1
제1절 이론적 실험적 접근 방법=29,31,1
1. 약용작물의 인슐린 분비 및 저항성 개선 성분 구명=29,31,1
가. 원재료 (Plant Material)=29,31,1
나. 용매에 의한 추출=29,31,1
다. 용매에 의한 분획=29,31,1
라. Solid Phase Extraction (SPE)=30,32,1
마. Silica Gel Chromatography에 의한 정제=30,32,2
바. Semi-Preparative HPLC에 의한 정제=31,33,1
사. HPLC에 의한 정제=31,33,1
2. 약용작물의 인슐린 분비 및 저항성 개선 효과 측정=31,33,1
가. 세포배양계에서 인슐린 분비 및 저항성 개선 효과 측정=31,33,2
나. 생체내 인슐린 분비 및 저항성 개선 효과 검증=32,34,4
3. 약용작물로부터 기능성 소재 제조 공정 확립=35,37,1
가. 이화학적 특성 분석=35,37,2
나. 사포닌 정성 및 정량 분석=36,38,2
다. 최적 제조 조건 확립=37,39,1
제2절 연구내용 및 결과=37,39,1
1. 약용작물의 인슐린 분비 및 저항성 개선 작용 구명=37,39,1
가. 약용작물의 세포배양계에서의 인슐린 분비 및 저항성 개선 효과=37,39,13
나. 약용작물의 생체내 인슐린 분비 및 저항성 개선 효과=49,51,14
2. 약용작물의 인슐린 분비 및 저항성 개선 성분 규명=62,64,1
가. 약용작물로부터 인슐린 분비 성분 규명=62,64,10
나. 약용작물로부터 인슐런 저항성 개선 성분의 규명=72,74,6
3. 약용작물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제조 공정 확립=77,79,1
가. 원재료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77,79,7
나. 여주의 최적 추출 조건 확립=83,85,5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88,90,1
제1절 연도별 연구목표 및 평가착안점=88,90,1
제2절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및 관련분야의 기술발전에의 기여도=89,91,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90,92,1
그림 1. 배지의 포도당 농도가 흰쥐 췌장 소도의 인슐린 분비량에 미치는 영향. Data Are Means±SD, n=6-10.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Differ, P<0.001=39,41,1
그림 2. 배지의 포도당 농도가 여주 미숙과의 50% Ethanol 추출물의 인슐린 분비 효과에 미치는 영향. *p<0.05, **p<0.01, ***p<0.001 Vs. Coutrol=42,44,1
그림 3. 배지의 포도당 농도가 여주 씨의 50% Ethanol 추출물의 인슐린 분비 효과에 미치는 영향. *p<0.05, **<0.01, ***p<0.001 Vs. Control=43,45,1
그림 4. 인슐린의 3T3-L1 지방세포내로의 포도당 이동 효과 Values Are Means±SD(n=6). Means With Diffirent Letters Differ(P>0.001)=44,46,1
그림 5. 여주의 물 추출물(0.5mg/mL)의 3T3-L1 지방세포에서의 포도당 이동 효과. Diffentiated 3T3-L1 Cells Were Incubated With The Extract In The Absence(Upper) Or Present(Lower) Of 10nmol/L Insulin, And Then Assayed For The Glucose Uptake Activities=45,47,1
그림 6. 여주의 50% Ethanol 추출물(O.5mg/mL)의 3T3-L1 지방세포에서의 포도당 이동 효과. Differentiated 3T3-LI Cells Were Incubated With The Extract In The Absence(Upper) Or Presence(Lower) Of 10nmol/L Insulin, And Then Assayed For The Glucose Uptake Activities=46,48,1
그림 7. 여주 미숙과의 50% Ethanol 추출물의 지방세포에서의 포도당 이동 효과. Diffirentiated 3T3-LI Cells Were Incubated With The Extract In The Absence(Upper) Or Presence(Lower) Of 10nmol/L Insulin , And Then Assayed For The Glucose Uptake Activitives=48,50,1
그림 8. Combined Effect Ot InstIlin And Unripe Truit Extract On Glucose Uptake In 3T3-L1 Adipccytes. Differentition 3T3-L1 Cells Were Incubated With Insuline In The Presence Of 0.5 mg/mL Unripe Fruit Extract=49,51,1
그림 9. Glucose Tolerance And In Vivo Insulin Secretory Response To Glucose. Plasma Glucose Levels(A) And Plasma Insulin Levels(B) During OGTT At 13 Weeks Of Ages After 6-Week Adminstration Of MC-AEE...=53,55,1
그림 10. Glucose Tolerance And In Vivo Insulin Secretory Response To Glucose. Area Under The Curve (AUC) Of Plasma Glucose (C) And AUC Of Plasma Insulin (D) During OGTT In GK And Wistar Rats After 6-Week Admistration Of MC-AEE...=54,56,1
그림 11. Solid Extratione Extraction Column(SPE)에 의해 분리돤 성분의 인슐린 분비 활성. 위쪽 : 여주미숙과, 아래쪽: 여주씨 Means In The Same Column With The Same Superscript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01)...=65,67,1
그림 12. 여주 미숙과의 n-Butanol 층 및 SPE 분획층을 동일한 조건으로 분석하였을 때의 HPLC Chromatogram. 맨 위는 n-Butanol 층이며, 아래 4개는 n-Butanol층을 SPE로 분획함=67,69,1
그림 13. 여주의 Preparative HPLC 분획물의 인슐린 분비 효과. Means With Diffrent Letters Differ(P>0.001)=70,72,1
그림 14. F-3 분획물의 HPLC Chromatogram. Column은 (u)Bondapak C18(125A, 3.9*300mm, Waters), UV 208mm에서 감지함. 용매 조건: 0-10min Acetonitrille 50→70%, 15-20min Acetonitrille 100%, 25-30min Acetonitrille 50%(이미지 참조)=71,73,1
그림 15. G-5 분획물의 HPLC Chromatogram. 기기는 Delta Prep 3000(Waters, USA), Column은 (m)Bondapak C18(125A, 7.8*300mn, Water), UV 208nm에서 감지함. 용매 조건: 0-10min Acetonitrille 50→70%, 15-20Min Acetonitrille 100%, 25-30Min Acetonitrille 50%=76,78,1
그림 16. G-6 분획물의 HPLC Chromatogram. 기기는 Delta Prep 3000(Waters, USA), Column은 (m)Bondapak C18(125A, 7.8*300mn, Water), UV 208nm에서 감지함. 용매 조건: 0-10min Acetonitrille 50→70%, 15-20Min Acetonitrille 100%, 25-30Min Acetonitrille 50%=76,78,1
그림 17. 열, 산, 알칼리 처리를 한 여주 미숙과 및 씨의 50% Ethanol 추출물의 인슐린 분비 효과. 배지의 포도당 농도는 3.3mM임=78,80,1
그림 18. 위장관액 처리를 한 여주 미숙과(위쪽) 및 씨(아래쪽)의 50% Ethanol 추출물의 인슐린 분비 효과. 배지의 포도당 농도는 3.3.mM이며, 추출물의 농도는 0.13mg/mL임=79,81,1
그림 19. 다양한 유기용매를 이용해 추출된 여주미숙과 추출물의 농도별 인슐린 분비 활성=80,82,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