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2
안계댐 위치도=0,4,1
안계댐 전경=0,5,1
요약=i,6,17
목차=xviii,23,3
표목차=xxi,26,2
그림목차=xxiii,28,3
제1장 서론=1,31,2
1.1. 과업명=3,33,1
1.2. 과업의 목적=3,33,1
1.3. 과업의 범위=3,33,2
1.3.1. 진단의 종류=4,34,1
1.3.2. 시설물 개요=4,34,1
1.4. 과업의 내용=5,35,1
1.4.1. 과업의 일반=5,35,1
1.4.2. 과업추진일정=5,35,1
1.4.3. 과업수행 세부내용=6,36,1
1.4.4. 과업수행적용기준=6,36,1
1.4.5. 진단장비=7,37,1
1.5. 과업수행일정=8,38,1
제2장 댐현황=9,39,2
2.1. 시설개요=11,41,1
2.1.1. 일반현황=11,41,1
2.1.2. 댐의 제원=12,42,4
2.2. 보수이력=16,46,1
2.2.1. 주요보수공사 현황=16,46,4
2.3. 수집자료 및 내용=20,50,1
2.3.1. 수집자료=20,50,1
2.3.2. 수집자료 내용=20,50,23
제3장 댐=43,73,2
3.1. 현장조사=45,75,1
3.1.1. 개요=45,75,1
3.1.2. 상세외관조사=45,75,14
3.1.3. 토질조사 및 시험=59,89,14
3.1.4. 변위측량=73,103,9
3.1.5. 추적자시험=82,112,34
3.2. 상태평가=116,146,1
3.2.1. 개요=116,146,1
3.2.2. 평가기준=116,146,1
3.2.3. 상태평가 결과=117,147,2
3.3. 침투류 해석=119,149,1
3.3.1. 개요=119,149,1
3.3.2. 해석방법 및 모델링=119,149,3
3.3.3. 해석조건=122,152,2
3.3.4. 해석결과 및 분석=124,154,6
3.4. 사면안정해석=130,160,1
3.4.1. 개요=130,160,1
3.4.2. 해석프로그램의 개요=131,161,1
3.4.3. 해석조건=132,162,1
3.4.4. 해석결과=133,163,3
3.5. 변형거동해석=136,166,1
3.5.1. 구성방정식=136,166,2
3.5.2. 해석단면과 유한 요소망=138,168,2
3.5.3. 해석모델의 매개변수=140,170,3
3.5.4. 기존 보고서의 해석결과=142,172,3
3.5.5. 해석결과=144,174,7
3.6. 안전성 평가=151,181,1
3.6.1. 개요=151,181,1
3.6.2. 댐체 및 양안부=151,181,4
3.6.3. 종합평가=155,185,1
3.7. 보수ㆍ보강대책=156,186,1
3.7.1. 보수ㆍ보강의 범위=156,186,1
3.7.2. 보수ㆍ보강공법 선정시 착안사항=156,186,1
3.7.3. 차수성 확보를 위한 보수ㆍ보강 방안=156,186,2
3.7.4. 안계댐에 적용가능한 보수ㆍ보강 공법 검토[내용누락;p.167~170]=157,187,12
3.7.5. 전문가 자문 결과=172,199,1
3.7.6. 보수ㆍ보강공법 선정[내용누락;p.176~178]=173,200,8
3.7.7. 보수공사중 용수공급대책=183,208,2
제4장 여수로=185,210,2
4.1. 대상구조물의 현황=187,212,1
4.1.1. 개요=187,212,1
4.1.2. 현황사진 및 제원=187,212,7
4.2. 상세외관조사=194,219,1
4.2.1. 개요=194,219,1
4.2.2. 조사항목 및 방법=194,219,1
4.2.3. 결함 및 손상내용=195,220,4
4.2.4. 외관조사 결과분석=199,224,1
4.3. 내구성 조사=200,225,1
4.3.1. 개요=200,225,1
4.3.2. 조사항목=200,225,1
4.3.3. 콘크리트 강도시험=200,225,6
4.3.4. 철근탐사시험=206,231,3
4.3.5. 중성화시험=209,234,2
4.3.6. 염화물함유량시험=211,236,3
4.4. 종합평가=214,239,1
4.4.1. 외관조사=214,239,2
4.4.2. 내구성조사=215,240,1
4.4.3. 외관조사에 의한 상태평가=216,241,1
4.5. 보수ㆍ보강대책=217,242,1
4.5.1. 개요=217,242,1
4.5.2. 주요손상별 보수ㆍ보강공법 제안=218,243,1
4.5.3. 개략공사비 산정=219,244,1
4.5.4. 주요 보수ㆍ보강공법=220,245,5
제5장 결론 및 제언=225,250,3
5.1. 결론=227,252,4
5.2. 제언=231,256,1
(그림2.1-1) 안계댐 전체 평면도=13,43,1
(그림2.1-2) 안계댐 댐체 단면도=14,44,1
(그림2.1-3) 안계댐 종단면도=15,45,1
(그림2.3-1) 시추조사 위치 평면도=20,50,1
(그림2.3-2) 안계댐의 주입시공전 및 주입시공후 투수계수 분포도=29,59,1
(그림2.3-3) 시추조사 위치 평면도=31,61,1
(그림2.3-4) 지층분포 단면도(우안부)=31,61,1
(그림2.3-5) 코어부의 시추조사 지층분포도=31,61,1
(그림2.3-6) 전기비저항탐사 결과=39,69,1
(그림2.3-7) 반사법 탄성파 탐사 결과=41,71,2
(그림3.1-1) 안계댐 현장조사망도=46,76,1
(그림3.1-2) 하류사면 세굴 분포도=50,80,1
(그림3.1-3) 누수량측정장치 설치단면=58,88,1
(그림3.1-4) 시추조사위치 평면도=59,89,1
(그림3.1-5) 시추조사 결과(NH-1, NH-3)=62,92,1
(그림3.1-6) 시추조사결과=63,93,1
(그림3.1-7) 변위점 위치평면도=76,106,1
(그림3.1-8) 횡단측량 결과(1)=78,108,1
(그림3.1-9/3.1-8) 횡단측량 결과(2)=79,109,1
(그림3.1-10/3.1-8) 횡단측량 결과(3)=80,110,1
(그림3.1-11/3.1-9) 추적자 이동원리 : 연속주입(왼쪽) 및 순간주입(오른쪽)=83,113,1
(그림3.1-12/3.1-10) 추적자 농도 측정=89,119,1
(그림3.1-13/3.1-11) 이온선택성 전극과 Model 290A를 이용한 브롬이온(Br-) 농도측정(이미지참조)=90,120,1
(그림3.1-14/3.1-12) 추적자 주입 준비=92,122,1
(그림3.1-15/3.1-13) 추적자 주입 위치(종단면)=93,123,1
(그림3.1-16/3.1-14) 추적자 주입용 피트와 주입정=93,123,1
(그림3.1-17/3.1-15) 추적자 주입=94,124,1
(그림3.1-18/3.1-16) 추적자 및 수위 관측 위치=95,125,1
(그림3.1-19/3.1-17) 관측용 피트(Pit) 설치=95,125,1
(그림3.1-20/3.1-18) 채수병 준비(코닝튜브)=95,125,1
(그림3.1-21/3.1-19) 지하수 시료 채수=96,126,1
(그림3.1-22/3.1-20) 수직 관측정 추적자 농도 이력 곡선=99,129,1
(그림3.1-23/3.1-21) 수평 관측정 추적자 농도 이력 곡선=99,129,1
(그림3.1-24/3.1-22) 관측피트 추적자 농도 이력 곡선=100,130,1
(그림3.1-25/3.1-23) 관측피트 추적자 농도 이력 곡선(21일간)=101,131,1
(그림3.1-26/3.1-24) 추적자 주입 위치=103,133,1
(그림3.1-27/3.1-25) 가배수 터널 내부와 누수지점=105,135,1
(그림3.1-28/3.1-26) 추적자 관측 위치=105,135,1
(그림3.1-29/3.1-27) 수직 관측정 추적자 농도이력곡선(로다민WT)=109,139,1
(그림3.1-30/3.1-28) 수직 관측정 추적자 농도이력곡선(브롬이온)=109,139,1
(그림3.1-31/3.1-29) 수평관측정 추적자 농도이력곡선(로다민WT)=110,140,1
(그림3.1-32/3.1-30) 수평관측정 추적자 농도이력곡선(브롬이온)=110,140,1
(그림3.1-33/3.1-31) 관측피트 추적자 농도이력곡선(로다민WT)=111,141,1
(그립3.1-34/3.1-32) 관측피트 추적자 농도이력곡선(브롬이온)=111,141,1
(그림3.1-35/3.1-33) 관측피트와 가배수터널 입구의 추적자 농도 이력곡선(로다민WT, 18일간)=113,143,1
(그림3.1-36/3.1-34) 관측피트와 가배수터널 입구의 추적자 농도 이력곡선(브롬이온, 18일간)=113,143,1
(그림3.2-1) 댐체의 각 부재별 상태평가 결과=118,148,1
(그림3.3-1) 해석모델링 단면=121,151,1
(그림3.3-2) 침윤선 및 흐름벡터(Case-1)=125,155,1
(그림3.3-3) 침투력도(Case-1)=125,155,1
(그림3.3-4) 간극수압도(Case-1)=126,156,1
(그림3.3-5) 전수압분포도(Case-1)=126,156,1
(그림3.3-6) 침윤선 및 침투흐름벡터(Case-2)=127,157,1
(그림3.3-7) 침투력도(Case-2)=127,157,1
(그림3.3-8) 간극수압도(Case-2)=128,158,1
(그림3.3-9) 전수압분포도(Case-2)=128,158,1
(그림3.3-10) 침투류 해석(Case-2) 결과와 투수위측정결과의 비교=129,159,1
(그림3.4-1) 상류사면 - 만수위시 - 평상시=134,164,1
(그림3.4-2) 상류사면 - 만수위시 - 지진시 - 0.132g=134,164,1
(그림3.4-3) 하류사면 - 만수위시 - 평상시=135,165,1
(그림3.4-4) 하류사면 - 만수위시 - 지진시 - 0.132g=135,165,1
(그림3.5-1) 비선형 응력 - 변형률 곡선의 선형으로의 근사화=137,167,1
(그림3.5-2) 유한요소망=139,169,1
(그림3.5-3) 정수압 미고려시의 수직변위=145,175,1
(그림3.5-4) 상시만수위시의 수직변위 및 흐름벡터=145,175,1
(그림3.5-5) 상시만수위시의 수평변위=146,176,1
(그림3.5-6) 정수압 미작용시 주응력도=147,177,1
(그림3.5-7) 정수압 미작용시 주응력벡터=147,177,1
(그림3.5-8) 정수압 작용시 주응력도=148,178,1
(그림3.5-9) 정수압 작용시 주응력벡터=148,178,1
(그림3.5-10) 정수압 미작용시 Failure Rate=149,179,1
(그림3.5-11) 안계댐의 수압할렬 가능성=150,180,1
(그림4.3-1) RC-Rader 원리=207,232,1
jpg
(그림2.3-6) 전기비저항탐사 결과=39,69,1
(그림2.3-7) 반사법 탄성파 탐사 결과=42,72,1
(사진3.1-1) 댐마루 시공상태=47,77,1
(그림3.3-4) 간극수압도(Case-1)=126,156,1
(그림3.3-5) 전수압분포도(Case-1)=126,156,1
(그림3.3-8) 간극수압도(Case-2)=128,158,1
(그림3.3-9) 전수압분포도(Case-2)=128,158,1
(그림3.5-3) 정수압 미고려시의 수직변위=145,175,1
(그림3.5-4) 상시만수위시의 수직변위 및 흐름벡터=145,175,1
(그림3.5-5) 상시만수위시의 수평변위=146,176,1
(그림3.5-6) 정수압 미작용시 주응력도=147,177,1
(그림3.5-8) 정수압 작용시 주응력도=148,178,1
(그림3.5-10) 정수압 미작용시 Failure Rate=149,179,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