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요약문=i,3,2

SUMMARY=iii,5,1

CONTENTS=iv,6,1

목차=v,7,1

표목차=vi,8,1

그림목차=vii,9,1

제1장 서론=1,10,1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1,10,1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2,11,2

제3절 연구의 범위=4,13,3

제2장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7,16,1

제1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7,16,2

제2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9,18,7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16,25,1

제1절 재료 및 방법=16,25,7

제2절 연구 결과=23,32,20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43,52,1

제1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43,52,3

제2절 대외기여도=46,55,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47,56,1

제1절 연구성과=47,56,3

제2절 활용계획=49,58,2

제6장 참고문헌=51,60,1

서지정보양식=52,61,2

영문목차

[title page]=0,1,4

Summary=iii,5,1

Contents=iv,6,4

Chapter 1. Introduction=1,10,1

Section 1. Purpose=1,10,1

Section 2. Importance=2,11,2

Section 3. Scope=4,13,3

Chapter 2. Technology States Of Affairs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7,16,1

Section 1. Technology States Of Affairs In The Country=7,16,2

Section 2. Technology States Of Affairs Out Of Country=9,18,7

Chapter 3. Methods And Results=16,25,1

Section 1. Materials And Methods=16,25,7

Section 2. Results And Discussion=23,32,20

Chapter 4. The Rate Of Attaining Research Purpose And External Contribution=43,52,1

Section 1. Achievement=43,52,3

Section 2. Contribution=46,55,1

Chapter 5. Application Projects=47,56,1

Section 1. Research Products=47,56,3

Section 2. Application Plan=49,58,2

Chapter 6. Literature Cited=51,60,3

표목차

표1. 종자에 대한 이온빔조사에 의하여 M1 개체의 생존율이 저하하기 시작하는 선량=12,21,1

표2. 일본 원자력연구소 다카사키연구소의 AVF Cyclotron의 이온빔 특성=14,23,1

표3. 일본 이화학연구소 Ring Cyclotron의 이온빔 특성=15,24,1

표4. 양성자 빔의 조사 선량에 따른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담자포자의 발아율(Germination Rate)=25,34,1

표5. 양성자 빔 조사 선량에 따른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균사체의 생존율(Survival Rate)=26,35,1

표6. 느타리 버섯(Pleurotus Ostreatus) 균사체(Mycelium)에 양성자 빔 조사 후 선량에 따른 생장한 균사체의 직경(Diameter)=30,39,1

표7. 분석에 사용된 Adapter와 Primers의 염기서열=36,45,1

표8.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에서 다형성 분석을 위하여 조합된 36개 Primer 중에서 다형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어 선발된 Primer 조합=37,46,1

표9.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에 양성자 빔 조사 후 유발된 돌연변이 자실체의 형태적 특성=41,50,1

그림목차

그림1. 연구개발 내용 모식도=5,14,1

그림2. 연구참여기관의 구성=6,15,1

그림3. 양성자 빔 조사에 이용한 MC-50 Cyclotron=17,26,1

그림4. 균사체를 생장시킨 Petri Dish에 양성자 빔을 조사하는 장면=19,28,1

그림5. 버섯 재배사의 자동제어판과 병재배모습=22,31,1

그림6. 양성자 빔 조사 선량에 따른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의 담자포자(Basidiospore) 발아율(Germination Rate)에 대한 회귀곡선=27,36,1

그림7. 양성자 빔 조사 선량에 따른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의 균사체(Mycelium) 생존율(Survival Rate)에 대한 회귀곡선=28,37,1

그림8. 느타리버섯의 양성자 빔 조사 선량에 따른 PDA 배지에서의 균사체(Mycelium) 생장 모습=31,40,1

그림9. 느타리 버섯(Pleurotus Ostreatus)의 담자포자에 양성자 빔 조사 후 3일 배양한 결과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으로 대조구의 경우 균사가 뻗어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 조사 선량이 높아질수록 발아하지 못하고 담자포자로 남아있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33,42,1

그림10.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의 균사가 발달하는 형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34,43,1

그림11. 양성자 빔 조사 후 선발된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계통들의 AFLP Profile=38,47,1

그림12. 느타리 버섯(Pleurotus Ostreatus)의 발이한 모습=40,49,1

그림13. 양성자 빔 조사에 의해 유발된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의 갓 모양과 색상 변이 양상=42,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