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0,3,1

에너지ㆍ자원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초록=0,4,1

요약문=i,5,3

목차=iv,8,2

그림목차=vi,10,2

표목차=viii,12,1

제1장 서론=1,13,2

제2장 활성탄 제조 및 마이크로파 가열이론=3,15,1

제1절 활성탄 제조 이론=3,15,1

1. 활성탄 제조의 기초=3,15,6

2. 활성탄 제조공정기술[원문불량;p.14~15, p.18, p.20]=9,21,12

제2절 마이크로파 가열 원리 및 응용 특성=21,33,1

1. 마이크로파 기초특성=21,33,1

2. 마이크로파 가열원리 및 장치=21,33,4

3. 마이크로파 응용특성=25,37,2

제3장 회분식 마이크로파 고온 활성반응실험=27,39,1

제1절 시료의 준비=27,39,1

1. 원료의 선정=27,39,4

2. 시료의 탄화=31,43,3

제2절 기존 가열반응실험=34,46,3

제3절 회분식 마이크로파 반응실험=37,49,1

1. 실험장치=37,49,1

2. 실험방법=38,50,3

3. 결과 및 고찰=41,53,7

제4장 5kW급 연속 마이크로파 고온활성반응 장치개발=48,60,1

제1절 마이크로파 반응장치의 온도분포 모델링=48,60,1

1. 수직형 이동층 반응기=48,60,17

2. 회전형 이동층 반응기=65,77,4

제2절 연속 마이크로파 반응장치의 설계 및 제작=69,81,1

1. 수직형 이동층 반응장치=69,81,4

2. 회전형 이동층 반응장치=73,85,4

제5장 Hybrid 연속활성반응 및 Pilot Plant 운전시험=77,89,1

제1절 연속활성반응 운전시험=77,89,1

1. 장치의 구성=77,89,2

2. 장치의 운전=78,90,4

3. 부속 장치 실험=82,94,4

제2절 운전결과 및 고찰=86,98,1

1. 주요장치 운전결과=86,98,3

2. 부속장치 운전 결과=89,101,2

제6장 종합결론=91,103,2

참고문헌=93,105,2

서지정보양식=95,107,2

그림목차

[그림 2.1] 전형적인 입상 활성탄의 제조공정=10,22,1

[그림 2.2] 전형적인 섬유상 활성탄의 제조공정=12,24,1

[그림 2.3] 분말활성탄의 약품(염화아연) 활성화 제조공정[원문불량;p.14]=14,26,1

[그림 2.4] 활성화온도에 따른 세공경 분포곡선[원문불량;p.15]=15,27,1

[그림 2.5] KOH 활성화법에 의한 분말활성탄 제조공정도[원문불량;p.17]=17,29,1

[그림 2.6] 활성화방법에 따른 수율과 비표면적의 관계=18,30,1

[그림 2.7] 활성화방법에 따른 누적세공분포 비교[원문불량;p.20]=20,32,1

[그림 2.8] 활성화방법에 따른 평형흡착량 비교[원문불량;p.20]=20,32,1

[그림 3.1] 탄화시료의 탄화도에 따른 C와 H의 관계=30,42,1

[그림 3.2] 회분식 탄화장치의 개략도=31,43,1

[그림 3.3] 왕겨원료의 열중량분석결과=32,44,1

[그림 3.4] 전극용 수입활성탄과 제조활성탄의 세공부피 비교=35,47,1

[그림 3.5] MSC-30과 AA형의 세공경에 따른 세공부피=36,48,1

[그림 3.6] 마이크로파 실험장치=37,49,1

[그림 3.7] 고정층 마이크로파 활성반응실험결과=41,53,1

[그림 3.8] 마이크로파 조사시간에 따른 비표면적의 변화=42,54,1

[그림 3.9] 마이크로파 입사전력에 따른 비표면적의 변화=43,55,1

[그림 3.10] KOH/C의 중량비에 따른 비표면적의 변화=43,55,1

[그림 3.11] 입사전력에 따른 흡수율(W/g)=44,56,1

[그림 3.12] 시료의 공간속도에 따른 마이크로파 흡수율(W/g)=45,57,1

[그림 3.13] 시료의 높이에 따른 마이크로파 흡수율(W/g)=46,58,1

[그림 3.14] 시료의 이동거리에 따른 마이크로파 흡수율=47,59,1

[그림 4.1] 도파관과 반응기 모형=49,61,1

[그림 4.2] Resistivity와 온도와의 관계=51,63,1

[그림 4.3] 피가열체 길이 5cm에서의 온도분포=53,65,1

[그림 4.4] 피가열체 길이 10cm에서의 온도분포=54,66,1

[그림 4.5] 피가열체 길이 20cm에서의 온도분포=54,66,1

[그림 4.6] 피가열체 길이 50cm에서의 온도분포=55,67,1

[그림 4.7] 피가열체 길이 80cm에서의 온도분포=55,67,1

[그림 4.8] 피가열체 길이 100cm에서의 온도분포=56,68,1

[그림 4.9] 500W, 2cm/min 조건에서 이동층에서의 온도분포=58,70,1

[그림 4.10] 1kW, 5cm/min 조건에서 이동층에서의 온도분포=59,71,1

[그림 4.111 1.5kW, 10cm/min 조건에서 이동층에서의 온도분포=59,71,1

[그림 4.12] 2kW, 15cm/min 조건에서 이동층에서의 온도분포=60,72,1

[그림 4.13] MISO에서의 온도 증가 현상=62,74,1

[그림 4.14] 피가열체 온도 유지 위한 마이크로파 인가 위치 측정=63,75,1

[그림 4.15] SISO 도파관 모형 및 마이크로파 인가 위치=66,78,1

[그림 4.16] MISO 도파관 모형 및 마이크로파 인가 위치=66,78,1

[그림 4.17] 피가열체 온도 분포 (1kW SISO 모델)=67,79,1

[그림 4.18] 피가열체 온도 분포 (2kW MISO 모델)=68,80,1

[그림 4.19] 수직형 이동층 마이크로파 반응장치=71,83,1

[그림 4.20] 회전형 이동층 마이크로파 반응장치=74,86,1

[그림 4.21] 회전형 이동층 마이크로파 장치운전 순서도=75,87,1

[그림 5.1] 연속 제조공정도=78,90,1

[그림 5.2] Mixing을 위한 Twin Screw=79,91,1

[그림 5.3] 조각용 회전 연마기를 이용한 시료 분리=82,94,1

[그림 5.4] 홀 커터용 파쇄장비를 이용한 시료 분리=82,94,1

[그림 5.5] 다양한 크기의 그라인더를 이용한 시료 분리=83,95,1

[그림 5.6] 송곳을 이용한 시료 분리=83,95,1

[그림 5.7] 여러 가지 모양의 연마재를 이요한 시료 분리=84,96,1

[그림 5.8] 드릴을 이용한 시료 분리=84,96,1

[그림 5.9] Washing System=85,97,1

[그림 5.10] 시료 파쇄 이송장치=89,101,1

[그림 5.11] 시료 세정장치=90,102,1

표목차

(표 2.1) 활성가스 종류에 따른 상대적 반응속도비 (800℃, 0.1atm)=8,20,1

(표 2.2) 탄소-수증기반응에 있어서 금속산화물의 영향=8,20,1

(표 2.3) 염화아연 활성화법의 활성온도에 따른 수율 및 세공특성변화=15,27,1

(표 2.4) 인산 활성화법의 활성온도에 따른 수율 및 세공특성변화=16,28,1

(표 3.1) 탄화시료의 공업분석 (wt%)=28,40,1

(표 3.2) 탄화시료의 원소분석=28,40,1

(표 3.3) 동일 탄화조건에서 입도에 따른 세공발달 특성=33,45,1

(표 3.4) 전극용 수입활성탄과 제조활성탄의 물리적 특성비교=35,47,1

(표 3.5) 이동거리 12cm인 Sample의 Data=39,51,1

(표 3.6) 이동거리 24cm인 Sample의 Data=39,51,1

(표 4.1) 도파관 크기=49,61,1

(표 4.2) 물성값=51,63,1

(표 4.3) 피가열체 길이와 시간에 따른 피가열체의 최대온도분포(°C)=56,68,1

(표 4.4) 이동층에서의 시간, 속도에 따른 최고온도 및 출구평균온도(°C)=57,69,1

(표 4.5) 이동층에서의 세기를 달리하였을 때의 온도분포(°C)=57,69,1

(표 4.6) WR284 도파관 이동층에서의 온도분포(°C)=60,72,1

(표 4.7) WR430 도파관 이동층에서의 온도분포(°C)=61,73,1

(표 4.8) 1kW SISO 모델에 의한 피가열체 온도 분포=67,79,1

(표 4.9) 2kW MISO 모델에 의한 피가열체 온도 분포=68,80,1

(표 4.10) 3-Stub Tuner 구성=70,82,1

(표 4.11) Circulator 구성=70,82,1

(표 4.12) Water Cooling Adaqter=70,82,1

(표 4.13) Sliding Tuner=71,83,1

(표 4.14) 회전형 마이크로파반응 장치구성=73,85,1

(표 4.15) 회전형 이동층 마이크로파 장치의 운전속도에 따른 시료처리량=76,88,1

(표 5.1) Twin Screw의 운전 속도에 따른 시료상태=86,98,1

(표 5.2) Twin Screw의 운전 온도에 따른 시료상태=87,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