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차례)=i,2,6
제1장 서론=1,8,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1,8,1
1. 정보화ㆍ지식기반사회에 따른 도서관의 역할 증대=1,8,1
2. 지식관리(Knowledge Management;KM) 핵심분야로서 도서관의 역할 증대=1,8,2
3. 사서직 업무의 전문화ㆍ다양화에 따른 개인역량제고의 필요성=2,9,1
4. 사서직의 전문성ㆍ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육훈련의 중요성=2,9,2
제2절 연구의 목적=4,11,2
제3절 연구의 내용=6,13,1
1. 도서관 환경변화 분석 및 사서직 교육훈련시스템의 새로운 패러다임 설정=6,13,1
2. 국내ㆍ외 현행 사서직 교육훈련 시스템 조사ㆍ분석=6,13,1
3. 사서직 교육훈련 수요분석 및 미래 수요예측(향후 10년간)=6,13,1
4. 중장기 사서직 교육훈련시스템 발전방안=7,14,1
제4절 연주수행방법=8,15,1
1. 문헌조사 및 사례연구=8,15,1
2. 전문가그룹 의견조사=8,15,1
3. 현장근무사서 및 교육운영자 의견조사=9,16,1
4. 자문회의 개최=9,16,1
제2장 도서관의 환경변화와 사서직 교육훈련의 새로운 패러다임=10,17,1
제1절 도서관의 환경 및 패러다임의 변화=10,17,1
1. 지식정보화 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10,17,2
2. 지식ㆍ정보에 관한 시민의 수요변화=11,18,2
3. 도서관의 패러다임 변화=12,19,1
가. 정보기술 변화의 도서관에 대한 영향=12,19,3
나. 도서관의 본질적 기능에 대한 재음미=14,21,2
다. 도서관 패러다임의 변화=15,22,3
라. 장서 패러다임의 변화=18,25,4
제2절 사서의 새로운 역할과 핵심역량=21,28,1
1. 사서의 새로운 역할 기대=21,28,3
2. 새롭게 요구되는 인재와 역량=23,30,1
가. 바람직한 인재상=23,30,2
나. 요구되는 역량=24,31,5
제3절 새로운 교육훈련시스템의 패러다임=29,36,1
1. 사서직 인적자원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29,36,10
2. 사서직 인적자원개발시스템의 핵심적 구성요소=38,45,1
가. 구조적 요소=39,46,5
나. 과정적 요소=43,50,7
다. 프로그램적, 기법적 요소=49,56,2
라. 문화적 요소=50,57,3
제3장 국내ㆍ외 현행 사서직 교육훈련시스템 조사ㆍ분석=53,60,1
제1절 국내 사서직 교육훈련시스템 조사ㆍ분석=53,60,1
1. 교육훈련시스템=53,60,1
가. 국립중앙도서관=53,60,73
제2절 외국의 사서직 교육훈련시스템 조사ㆍ분석=126,133,1
1. 미국의 사서직 교육훈련시스템=126,133,1
가. 미국 의회 도서관=126,133,1
나. 미국 주요 대학도서관=127,134,5
2. 영국 국립도서관=132,139,1
3. 일본의 국립국회도서관=133,140,1
4. 호주 국립도서관=134,141,1
제3절 현행 사서직 교육훈련시스템의 문제점 도출=135,142,1
1. 현행 시스템, 프로그램 및 운영상의 문제점=135,142,1
2. 현행 시스템에 대한 인식조사=136,143,2
가. 전문적이고 수준 높은 사서교육훈련기관 부재=138,145,1
나. 사서 교육훈련 담당 전문인력의 부족=139,146,1
다. 사서 교육훈련 담당자에 대한 인센티브 부족=140,147,1
라. 사서 교육훈련 예산(투자)의 부족=141,148,1
마. 사서 교육훈련 시설의 부족=142,149,1
바. 사서 교육훈련 장비ㆍ기자재의 부족=143,150,1
사. 사서 교육훈련 과정(직급별, 직종별)의 다양성 부족=144,151,1
아. 사서 교육훈련 교과목(커리큘럼)의 다양성 부족=145,152,1
자. 사서 교육훈련 시간수의 불충분=146,153,1
차. 교육훈련 기법의 효과성 및 다양성 부족=147,154,1
카. 사서 교육훈련 담당강사의 자질 부족=148,155,1
타. 교육훈련 수요자의 참여의욕 부족=149,156,1
파. 교육훈련 이수자에 대한 인센티브 부족=150,157,1
하. 사서 교육훈련에 대한 미래비전 및 중장기 계획 부재=151,158,1
거. 대학, 민간기구, 해외교육훈련기관 등과의 교류ㆍ협력 부족=152,159,1
너. 교육훈련 대상 인원의 부족=153,160,1
제4절 정부의 공무원 교육훈련제도 및 정책방향 조사ㆍ분석=154,161,1
1. 교육훈련프로그램의 재설계=154,161,1
가. 교육훈련대상별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부합하는 교육훈련프로그램=154,161,2
나. 조직발전 및 혁신능력제고를 위한 교육훈련프로그램=155,162,4
다. 글로벌스탠다드수준의 행정ㆍ정책능력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158,165,1
라.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 극대화를 위한 적정 교육훈련방식의 활용=158,165,3
2. 교육훈련시설의 선진화=160,167,1
가. 첨단강의 기자재 및 시설의 확충=160,167,1
나. 다양한 교육훈련방식의 적용이 가능한 기자재 및 시설의 확보=160,167,1
다. 교육이수자중심의 편의성을 갖춘 교육훈련시설 확보=160,167,2
라. 사이버교육시스템 및 정보ㆍ지식의 공유ㆍ유통시스템 구축=161,168,1
3. 자기주도적 학습체계 구축방안=161,168,1
가. 수요자 중심의 교육훈련=161,168,2
나. 참여적 교육훈련의 활성화=162,169,2
다. 학습사회의 정착을 위한 교육훈련체계 구축=163,170,1
라. 조직차원의 부처별 교육훈련예산 및 개인별 교육훈련계좌(시간 및 예산) 자율적 운영=163,170,1
4. 성과중심의 교육훈련체제 구축방안=163,170,1
가. 교육훈련의 전이효과 증진 방안=163,170,1
나. 교육훈련에 대한 평가시스템 구축=164,171,1
제4장 사서직 교육훈련 수요분석 및 미래의 수요 예측=165,172,1
제1절 향후 10년간 사서직 교육훈련 수요분석=165,172,1
1. 현행 도서관 현황=165,172,3
2. 관종별 도서관수 증가 예측=167,174,1
가. 국립도서관=167,174,1
나. 공공도서관=167,174,1
3. 사서직 인력수요 증가 예측=168,175,1
가. 공공도서관=168,175,1
나. 대학도서관=169,176,1
다. 전문ㆍ특수도서관=170,177,1
제5장 중장기 사서직 교육훈련시스템 발전방안=171,178,1
제1절 사서 능력발전의 비전(Vision) 제시=171,178,1
1. 환경적 변화=171,178,1
가. 지식정보화 사회=171,178,2
나. 세계화 시대=172,179,1
다. 무한경쟁의 시대=172,179,2
라. 지역공동체 중심사회 : 세방화(Glocalization)=173,180,2
마. 문화ㆍ예술ㆍ복지 추구시대=174,181,2
2. 지식ㆍ정보에 대한 수요변화=175,182,2
3. 도서관의 역할 정립=176,183,5
가. 역사기록물 보존센터로서의 역할=180,187,1
나. 지식ㆍ정보 제공센터로서의 역할=180,187,2
다. 평생학습센터로서의 역할=181,188,1
라. 지역공동체의 서비스센터로서의 역할=182,189,1
마. 시민문화복지센터로서의 역할=182,189,2
4. 비전의 제시=183,190,1
가. 대안 1 : 국가 지식ㆍ정보의 보고(寶庫)=183,190,1
나. 대안 2 : 국가지식센터=183,190,1
다. 대안 3 : 지식문화의 광장=184,191,1
라. 대안 4 : 지식ㆍ역사의 장(場)=184,191,1
마. 대안 5 : 지식과 지혜의 보고(寶庫)=184,191,1
바. 대안 6 : 시민을 위한 지적 인프라=184,191,1
사. 대안 7 : 지식종합서비스센터=184,191,2
5. 사서 미션(Mission)의 정립=185,192,1
가. 인류역사기록의 수호자로서의 임무=185,192,1
나. 국가지식ㆍ정보 보유자로서의 임무=185,192,1
다. 시민에 대한 지식ㆍ정보 제공자로서의 임무=185,192,1
라. 평생학습 지원자로서의 임무=186,193,1
마. 지역공동체 형성 지원자 및 서비스 제공자로서의 임무=186,193,1
바. 문화ㆍ복지의 광장 조성자로서의 임무=186,193,1
6. 사서가 지향해야 할 전문가 유형=187,194,1
7. 사서 교육훈련의 지향점=188,195,1
제2절 사서직 역량강화를 위한 미래지향적 교육훈련 프로그램 제시=189,196,1
1. 미래지향적 프로그램의 설계방안=189,196,1
가. 역량수요별 프로그램 설계=189,196,33
나. 직종별, 직급별, 직무유형별 교육과정 설계=222,229,4
2. 교육기법의 변화ㆍ발전 방안=225,232,1
가. 교육훈련기법의 일반적 유형=225,232,9
나. 교육훈련기법에 대한 사서직의 선호도=234,241,1
다. 커리큘럼별 적합한 기법의 제시=235,242,13
제3절 국립중앙도서관의 교육훈련지원시스템 재설계방안=248,255,1
1. 조직 및 기구 재구축 방안=248,255,1
가. 사서직 인적자원개발기구로서의 역할체계 구축의 방향성=248,255,2
나. 사서직 인적자원개발기구의 재구축=250,257,4
2. 인력 확보 및 능력발전 방안=253,260,1
가. 인력규모의 적정성 확보=253,260,2
나. 인적자원개발인력의 전문성 제고=254,261,1
다. 인적자원개발인력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254,261,2
라. 우수한 교수인력의 확보 및 동기부여=255,262,2
3. 재정자원 확보방안=256,263,4
4. 시설ㆍ장비 확충방안=259,266,1
가. 수요자중심의 편의성을 갖춘 교육훈련시설 확보=259,266,1
나. 첨단강의 기자재 및 시설의 확충=259,266,2
다. 다양한 교육훈련방식의 적용이 가능한 기자재 및 시설의 확보=260,267,1
라. 사이버교육시스템 및 정보ㆍ지식의 공유ㆍ유통시스템 구축=260,267,1
제4절 외부기관과의 협력체제 도입방안=261,268,1
1. 민간교육훈련기관에서의 교육훈련 이수결과의 인정제=261,268,1
2. 학위과정의 신설을 통한 대학교와의 경쟁 촉진 및 정부내 학습사회화의 촉진=262,269,1
3. 민간ㆍ외국 교육훈련기관과의 상호교환교육의 활성화 및 공동교육훈련프로그램의 운영=262,269,2
제6장 결론=264,271,7
참고문헌=271,278,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