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서론=1,2,2

Contents=3,4,1

1. 식품과 토양 내 항생제 내성 세균 검출법=4,5,1

2. 샘플준비=5,6,1

2.1. 대상 검체의 종류=5,6,1

2.2. 검체의 수송=5,6,1

2.3. 세균의 증균=5,6,1

3. 세균의 분리 및 동정=6,7,1

3.1. Aeromonas=6,7,1

3.2. Bacillus Cereus=7,8,1

3.3. Campylobacter=8,9,1

3.4. Clostridium Perfringens=9,10,1

3.5. Enterococci=10,11,1

3.6. Escherichia Coli=11,12,2

3.7. Listeria=13,14,2

3.8. Salmonella=15,16,1

3.9. Shigella=16,17,1

3.10. Staphylococcus Aureus=17,18,2

3.11. Vibrio Cholera=19,20,1

3.12. Vibrio Parahaemolyticus=20,21,2

3.13. Yersinia Enterocolitica 와 Yersinia Pseudotuberculosis=22,23,2

4. 세균별 대상 항생제=24,25,2

5. 항생제 보존 용액 준비용 용매와 희석액=26,27,2

6. 항생제 감수성 검사=28,29,1

6.1. 디스크 확산법의 실험 및 판독=29,30,1

디스크 확산법 해석 기준=30,31,16

6.2. 희석법의 실험 및 판독=46,47,1

6.2.1. 고체배지 희석법=46,47,2

6.2.2. 액체배지 희석법=48,49,2

희석법에 의한 MIC해석 기준=50,51,18

7. 항생제 내성 경향 및 전파경로 연구=68,69,1

7.1. Plasmid Profile 분석=68,69,1

7.2. PCR=69,70,1

7.3. Ribotyping=70,71,1

7.4. PFGE=71,72,1

7.5. MLST (Multilocus Sequence Typing)=72,73,2

8. 결과의 보고=74,75,1

8.1. 결과의 보고 및 보관=74,75,1

8.2. 보관 자료 항목=74,75,1

9. 균주의 보관=75,76,1

9.1. 동결건조 보관=75,76,1

9.2. 초저온 냉동 보관=75,76,1

9.3. 액체질소 보관=75,76,2

칼라목차

jpg

그림1. 혈액배지에서 자란 A. hydrophila 집락=6,7,1

그림2. A. hydrophila 그람염색(×1000)=6,7,1

그림3. AM 고체배지에서 자란 A. hydrophila 집락(왼쪽)과 실물 현미경으로 관찰한 집락의 모습(오른쪽, ×6.5)=6,7,1

그림4. BHI(Brain heart infusion) 고체 배지에서 자란 B. cereus 집락(왼쪽)과 실물현미경으로 관찰한 집락의 모습(오른쪽, ×6.5)=7,8,1

그림5. B. cereus 그람염색(왼쪽)과 포자염색(오른쪽)(×1000)=7,8,1

그림6. CCDA 고체배지에서 자란 C. jejuni 집락(왼쪽)과 실물현미경으로 관찰한 집락의 모습(오른쪽, ×6.5)=8,9,1

그림7. C. jejuni 그람염색(×1000)=8,9,1

그림8. 혈액이 첨가된 Columbia 고체배지에서 자란 C. perfringens 집락(왼쪽)과 실물현미경으로 관찰한 집락의 모습(오른쪽, ×6.5)=9,10,1

그림9. C. perfringens 그람염색(×1000)=9,10,1

그림10. Enterococcosel 고체배지에서 자란 E. faecalis 집락(왼쪽)과 실물현미경으로 관찰한 집락의 모습(오른쪽, ×6.5)=10,11,1

그림11. E. faecalis 그람염색(×1000)=10,11,1

그림12. MacConkey 고체배지에서 자란 E. coli 집락(왼쪽)과 실물현미경으로 관찰한 집락의 모습(오른쪽, ×6.5)=12,13,1

그림13. E. coli 그람염색(×1000)=12,13,1

그림16. PALCAM 고체배지에서 자란 L. monocytogenes 집락(왼쪽)과 실물현미경으로 관찰한 집락의 모습(오른쪽, ×6.5)=14,15,1

그림17. L. monocytogenes 그람염색(×1000)=14,15,1

그림18. XLD 고체배지에서 자란 S. enteritidis 집락(왼쪽)과 실물현미경으로 관찰한 집락의 모습(오른쪽, ×6.5)=15,16,1

그림19. S. enteritidis 그람염색(×1000)=15,16,1

그림20. MacConkey 고체배지에서 자란 S. flexneri 집락(왼쪽)과 실물현미경으로 관찰한 집락의 모습(오른쪽, ×6.5)=16,17,1

그림21. S. flexneri 그람염색(×1000)=16,17,1

그림22. Mannitol salt 고체배지에서 자란 S. aureus 집락(왼쪽)과 실물현미경으로 관찰한 집락의 모습(오른쪽, ×6.5)=18,19,1

그림23. S. aureus 그람염색(×1000)=18,19,1

그림24. TCBS 고체배지에서 자란 V. parahaemolyticus 집락(왼쪽)과 실물현미경으로 관찰한 집락의 모습(오른쪽, ×6.5)=21,22,1

그림25. V. parahaemolyticus 그람염색(×1000)=21,22,1

그림26. CIN 고체배지에서 자란 Y. enterocolitica 집락(왼쪽)과 실물현미경으로 관찰한 집락의 모습(오른쪽, ×6.5)=23,24,1

그림27. Y. enterocolitica 그람염색(×1000)=23,24,1

그림34. 미량 희석법=49,50,1

그림35. 액체배지 희석법의 결과 해석, 시험 균주의 MIC는 1.6㎕/㎖이다=49,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