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1,3,1

보고서 초록=2,4,1

요약문=3,5,3

Summary=6,8,3

Contents=9,11,2

목차=11,13,2

제1장 서론=13,15,1

1.1. 연구 배경=13,15,2

1.2. 연구 범위=14,16,2

1.3. 연구 내용=15,17,3

제2장 국내외 지열 연구 현황=18,20,1

2.1. 국내의 지열 연구 현황=18,20,2

2.2. 국외의 지열 연구 현황=20,22,5

제3장 연구 수행 내용 및 결과=25,27,1

3.1. 우리나라의 지열류량 분포=25,27,1

3.1.1. 연구 개요=25,27,3

3.2. 이론적 배경=28,30,1

3.2.1. 지열류량=28,30,3

3.2.2. 지열류량과 암석의 열전도도=30,32,8

3.2.3. 우리나라의 지열류량 분포도=37,39,3

3.3. 지열특성 분석=39,41,2

3.3.1. GIS의 이용 배경=40,42,2

3.3.2. 암상과 지열류량의 관계=42,44,2

3.3.3. 시대별 지층과 지열류량의 관계=43,45,3

3.3.4. 모호면과 지열류량의 관계=46,48,2

3.3.5. 가중치 설정 및 지열류량 이상대 분석=47,49,4

3.3.6. 선구조밀도 주제도=51,53,3

3.4. 지중 열교환기 성능분석을 위한 지반 열물성 조사=53,55,3

3.4.1. 지열 모니터링=55,57,2

3.4.2. 지열류량 측정=56,58,1

3.4.3. 불연속면 해석=56,58,7

3.4.4. 현장 원위치 열전도도 실험=62,64,4

3.5. 지하수 유동에 의한 지중 열거동 시뮬레이션=65,67,2

3.5.1. 지열거동 모델링 이론=67,69,2

3.5.2. 경계조건=68,70,3

3.5.3. 입력변수=71,73,1

3.5.4. 수리경사에 따른 열적 거동=71,73,4

3.5.5. 지하수 분포 및 모니터링=74,76,3

3.5.6.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76,78,2

3.6. 국내 지중온도 관측자료를 이용한 토양 열물성 분석=77,79,1

3.6.1. 기상관측소 관측 자료를 이용한 연평균 지표면 온도분포도 작성=77,79,8

3.6.2. 기상관측소 토양의 열확산계수 분석=84,86,3

3.6.3. 국가지하수관측망 관측 자료 분석=86,88,4

3.6.4. 기상청 및 수자원공사 관측망 자료를 이용한 분석 결과의 종합적 고찰=89,91,3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92,94,2

제5장 연구 수행 결과의 활용계획=94,96,2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96,98,2

제7장 참고문헌=98,100,4

칼라목차

jpg

그림 2.2.1. 미국의 수치지형도를 이요한 지형고도밀도 분포도(SMU Geothermal Lab,2004)=20,22,1

그림 2.2.2. 지하수 수온을 측정하여 작성한 지표온도 분포도(Gass,1982)=21,23,1

그림 2.2.3. 미국 전역의 지온경사 분포도=22,24,1

그림 2.2.4. 1992년도 GSA에서 작성한 미국 전역의 지열류량 분포도=22,24,1

그림 2.2.5. 2004년도 DOE에서 수행하여 작성한 미국의 지열류량 분포도=23,25,1

그림 3.2.8. 지열류량 측정 위치 및 전년도 총 248개 지열류량 자료를 이용한 지열류량 분포(좌)와 2005년도 111개 추가되어 총 359의 지열류량 자료를 이용한 지열류량 분포(우)=39,41,1

그림 3.3.4. 암종별 지열류량 예상 분포도=49,51,1

그림 3.3.5. 지질시대별 지열류량 예상 분포도=49,51,1

그림 3.3.6. 모호면 심도별 예상 지열류량 분포도=50,52,1

그림 3.3.7. 암종, 지질지대, 모호면을 종합한 예상 지열류량 분포도=50,52,1

그림 3.3.8. 한반도 조구조선밀도 주제도(한국자원연구소,1995,수정)=52,54,1

그림 3.3.9. 지열류량 예상분포와 조구조선밀도 주제도를 종합한 예상 지열개발 최적지 분석 주제도=52,54,1

그림 3.6.3. 평균지표대기온도 분포도(a)와 평균지표온도 분포도(b)=81,83,1

그림 3.6.5. 추정온도와 관측온도의 차를 나타낸 등온선도(a)MSAT,(b)MGST=83,85,1

그림 3.6.9. 171개의 국가 지하수 관층망으로부터 얻어진 (a) 암반지하수의 온도 분포도와 (b) 충적지하수의 온도 분포도=89,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