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1,3,1
보고서 초록=2,4,1
요약문=3,5,2
Summary=5,7,4
Contents=9,11,2
목차=11,13,4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5,17,1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15,17,1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15,17,2
제3절 연구개발의 범위=16,18,4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20,22,1
제1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20,22,1
1. 휴ㆍ폐금속광산 및 토양오염실태 조사=20,22,1
2. 광산주변지역 피해방지 및 복원사업=20,22,2
3. 휴ㆍ폐금속광산 및 주변 오염토양 복윈기술 현황=21,23,1
가. 광산피해 현황=21,23,2
나. 복원기술=22,24,4
제2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26,28,1
1. 중금속재해 관련 선진국 연구 동향=26,28,2
2. 토양복원기술 동향=27,29,2
제3절 국내ㆍ외 주요 기술사항 및 기술수준의 분석평가=29,31,1
1. 국내외 관련분야 환경변화=29,31,2
2. 국내 기술사항=30,32,1
3. 국외 기술사항=30,32,2
제4절 향후전망=31,33,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33,35,1
제1절 지구화학적재해 DB 구축 및 NPL 선정기술=33,35,1
1. GIS 이용 DB구축기술=33,35,1
가. 연구목적=33,35,1
나. 연구방법 및 재료=33,35,1
다. 연구내용=33,35,10
라. 결론 및 향후연구=43,45,1
2. NPL 선정을 위한 기반기술=43,45,1
가. 국내 폐금속광산 현황조사=43,45,6
나. 폐광산 오염도 평가=48,50,26
다. 국가우선순위(National Priority List) 도출=74,76,4
3. 정밀조사=77,79,1
가. 도별 정밀조사 대상광산 도출=77,79,3
나. 정밀조사 기술 표준화 방안=79,81,6
다. 선정광산에 대한 정밀조사=84,86,14
제2절 주요 금속광화대 집수유역 단위 중금속 재해=98,100,1
1. 전국 규모 집수유역 구분=98,100,2
2. 집수유역별 폐금속광산 분포 현황=99,101,3
3. 집중관리대상 집수유역 도출=101,103,2
4. 집중관리대상 집수유역 오염특성=102,104,7
제3절 집중관리대상 집수유역 중금속 오염원 추적기술=108,110,1
1. 적용대상 집수유역의 하천수계 퇴적물 중금속 오염도=109,111,5
2. Pb 동위원소 이용 오염원 추적기술=113,115,1
가. 시료 채취 및 분석 방법=113,115,2
나. Pb 동위원소 이용 오염원 추적기술 적용=114,116,4
3. 황(S) 동위원소 이용기술=117,119,2
가. 시료 채취 및 분석 방법=119,121,1
나. S 동위원소 이용 오염원 추적기술 적용=119,121,5
4. 수소 및 산소 동위원소=123,125,1
가. 시료 채취 및 분석 방법=123,125,2
나. 분석결과 및 특성=124,126,5
5. 해석 및 결론=129,131,2
제4절 전국 5대 광화대 중금속재해 전과정 평가 기반기술=130,132,1
1. 중금속의 존재형태 규명 기술=130,132,1
가. 비소 산화작용 및 자연제어에 관한 SEM/EPMA 적용기술=130,132,5
나. 연속추출방법 이용기술=135,137,8
다. 중금속의 현장 자연안정화(결론)=142,144,1
2. 중금속의 용출특성 평가=143,145,2
가. pH 변화에 따른 지표수-오염물질(폐광석, 광미) 용출 평가기술=144,146,18
나. 지구화학적 모델링을 이용한 용출특성 평가 기술=161,163,41
다. 시간변화에 따른 중금속 용출특성=201,203,9
3. 주요 황화광물의 용출특성=209,211,1
가. pH 변화에 따른 용출특성=209,211,14
나. 시간변화에 따른 용출특성=223,225,18
4. 주요 집수유역의 수질오염=241,243,1
가. 주요 집수유역의 수질오염=241,243,4
나. 주요 정밀조사 대상광산 주변지역의 지표수 및 침출수 수질오염=244,246,22
제5절 자연저감 증진기술 실내실험 모형 개발=265,267,1
1. RMB 이용 중금속 오염 지질체의 자연안정화 연구=265,267,1
가. 연구개발의 목적=265,267,2
나. 연구개발의 필요성과 범위=266,268,2
다. 연구내용 및 결과=267,269,20
2. 영가철과 제강슬래그에 의한 광산배수의 중화 실내 실험=286,288,1
가. 서론=286,288,4
나. 이론적 배경=289,291,44
다. 결론=333,335,3
제6절 오염원 차폐저장 시스템 디자인=335,337,2
1. 하드팬 형성을 통한 오염물질 차폐=336,338,2
2. 황산염 환원 및 중금속 침전 유도=338,340,1
3. 투수성 반응벽체 공법 적용=339,341,2
4. 차폐저장 시스템 디자인=340,342,1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341,343,1
제1절 연도별 연구목표 및 펑가착안점에 입각한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341,343,1
1. 연구목표의 달성도=341,343,1
2. 평가의 착안점에 따른 목표달성도에 대한 자체평가=342,344,1
제2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에의 기여도=343,345,1
1. 기대성과=343,345,1
2. 활용방안=343,345,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344,346,1
제1절 추가연구의 필요성=344,346,2
제2절 타 연구에의 응용ㆍ기업화 추진방안=345,347,1
1. 기술적 측면=345,347,2
2. 경제ㆍ산업적 측면=346,348,2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348,350,5
제7장 참고문헌=353,355,1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