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1,3,1

보고서 초록=2,4,1

요약문=3,5,4

Summary=7,9,4

Contents=11,13,2

목차=13,15,2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5,17,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7,19,1

제1절 국외현황=17,19,2

제2절 국내현황=18,20,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20,22,1

제1절 개요=20,22,1

제2절 지형 및 지질=21,23,1

1. 지형=21,23,3

2. 지질=24,26,1

제3절 구덕산지역 사면통합관리시스템 구축=25,27,1

1. 연구방법=25,27,1

가. 사면 고유코드번호 부여=25,27,2

나. 사면현장조사=26,28,3

다. 자연사면 산사태 발생가능성 예측=28,30,3

라. 절취사면 안정성평가=31,33,26

2. 현장조사 결과 분석 및 사면안정성 분류=56,58,1

가. 사면 분포현황 및 특성분석=56,58,42

나. 자연사면 산사태 가능성 분류=98,100,3

다. 절취사면 안정성해석=101,103,31

3. 대도시 사면통합관리시스템 구축=132,134,1

가. 기본주제도=132,134,2

나. 프로그램설계=133,135,12

다. 사면통합관리시스템 운영=144,146,14

제4절 다변량 수량화 기법을 응용한 사면안정성 평가기법 개발=158,160,1

1. 개요=158,160,2

2. 현장조사 방법=159,161,1

가. 연구지역=159,161,2

나. 불연속면 조사방법=161,163,1

3. RMR 분류=161,163,1

가. 분류인자 선택=161,163,2

나. 분류절차=162,164,1

다. 기존 암반분류법의 문제점=162,164,4

라. 조사지역의 RMR값 산정=165,167,3

4. 다변량 수량화 기법을 응용한 RMR분류 수정제안=168,170,1

가. 통계적 방법의 적용=168,170,1

나. 적용모형=168,170,2

다. 분석결과=169,171,4

5. 토의 및 결론=172,174,3

제5절 토층사면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FDR 시스템 적용 (위탁연구)=175,177,1

1. 개요=175,177,2

2. 지질공학적 측면에서 유전율 기술의 적용성 평가=176,178,2

가. 지반의 유전율 특성=177,179,4

나. 유전율 측정 기술=181,183,4

다. 고주파수 영역 유전율 측정 기술=185,187,4

3. FDR 시스템의 사면안정 모니터링 적용성 평가=188,190,1

가. 유전율 의존성=188,190,1

나. 강우 강도에 따른 사면 계측 기술 검토=189,191,4

다. 침윤전선 거동파악을 위한 유전율 적용성 평가=193,195,7

4. 고찰 및 결과=199,201,1

제6절 결론=200,202,2

제4장 목표달성도 및 대외기여도=202,204,1

제1절 연구개발 목표달성도=202,204,2

제2절 대외기여도=203,205,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205,207,1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206,208,5

제7장 참고문헌=211,213,3

칼라목차

jpg

그림 3.2.1. 연구지역의 지형도=22,24,1

그림 3.2.2. 3차원으로 구성한 연구지역의 지형=23,25,1

그림 3.2.4. 연구지역의 지질도 Kanb; 안산암질화각력암, Kan; 안삼암, Kts; 암회색 응회질퇴적암, Kbgr; 화가암, Kad; 산성맥암, Qa; 충적층(장태우 외, 1983)=24,26,1

그림 3.2.22. 연구지역 자연사면 토층의 건조밀도 분포도=77,79,1

그림 3.3.26. 연구지역 자연사면 토층의 투수계수 분포도=83,85,1

그림 3.3.40. 연구지역의 산사태예측도=99,101,1

그림 3.3.41. 산사태예측도 의한 등급별 산사태가능성 분류=100,102,1

그림 3.3.68. 사면 통합관리시스템에 사용될 기본주제도=133,1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