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머리말=0,3,1

연구요약=i,4,9

차례=x,13,2

표차례=xii,15,1

그림차례=xiii,16,1

I. 서론=1,17,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17,3

2. 연구 문제=3,19,1

3. 연구 내용 및 방법=3,19,1

가. 연구 내용=3,19,2

나. 연구 방법=4,20,2

다. 연구 추진 일정=5,21,1

II. 교과용도서 모니터링의 개념과 연구의 동향=6,22,1

1. 교과용도서 모니터링의 개념=6,22,3

2. 교과용도서 모니터링의 연구 동향 및 시사점=8,24,5

III. 현행 교과용도서 피드백의 현황 및 문제점=13,29,1

1. 현행 교과용도서 편찬ㆍ심의ㆍ수정ㆍ개편 제도=13,29,1

가. 현행 교과용도서 편찬 제도=14,30,6

나. 교과용도서 심의ㆍ수정 제도와 문제점=19,35,5

다. 교과용도서 현장 보급 후의 수정ㆍ보완 제도와 문제점=23,39,6

2. 현행 교과용도서 수정ㆍ보완 현황=28,44,2

가. 현행 교과용도서 수정ㆍ보완 건수=29,45,9

나. 교과용도서 수정ㆍ보완 내용=37,53,11

다. 수정ㆍ보완 현황을 통한 교과용도서 모니터링에 대한 시사점=47,63,2

IV. 교과용도서 피드백을 위한 모니터링제 도입 및 활성화 방안=49,65,1

1. 교과용도서 피드백을 위한 모니터링제의 도입=49,65,1

가. 교과용도서 모니터링제 도입의 선결 과제=49,65,3

나. 교과용도서 모니터링제 도입을 위한 종합관리체제 구축=51,67,2

1) 교과용도서 모니터링 종합관리체제 구축의 필요성=52,68,2

2) 교과용도서 모니터링 종합관리체제의 구축 방안=53,69,9

2. 교과용도서 모니터링제 활성화 방안=61,77,2

가. 교과용도서 모니터링의 전체적인 흐름=62,78,2

나. 교과용도서 모니터링제 운영의 주체=63,79,3

다. 교과용도서 모니터 요원의 구성과 활용=65,81,2

1) 교과용도서 모니터 요원의 구성 방안=66,82,3

2) 교과용도서 모니터 요원의 활용 방안=68,84,2

라. 교과용도서 모니터링의 방법=69,85,1

1) 교과용도서 모니터링의 범위=69,85,3

2) 교과용도서 모니터링의 관점=71,87,8

3) 교과용도서 모니터링의 시기와 방법=78,94,4

4) 교과용도서 모니터링 결과 처리=81,97,3

마. 교과용도서 모니터링의 운영 자금=83,99,2

V. 요약 및 결론=85,101,1

1. 요약=85,101,6

2. 결론=90,106,2

참고 문헌=92,108,2

표차례

(표1) 현행 교과용도서 연도별 총 수정ㆍ보완 건수=29,45,2

(표2) 국정도서의 연도별 수정ㆍ보완 건수=31,47,2

(표3) 국정도서의 출판사별 수정ㆍ보완 현황=33,49,2

(표4) 검정도서의 수정ㆍ보완 건수=35,51,1

(표5) 국정도서와 검정도서 수정ㆍ보완 건수 비교=36,52,1

(표6) 국어 교과용도서 수정ㆍ보완 내용=38,54,2

(표7) 도덕 교과용도서 수정ㆍ보완 내용=40,56,1

(표8) 과학 교과용도서 수정ㆍ보완 내용=41,57,1

(표9) 사회 교과용도서 수정ㆍ보완 내용=42,58,2

(표10) 수학 교과용도서 수정ㆍ보완 내용=43,59,1

(표11) 기술ㆍ가정 교과용도서 수정ㆍ보완 내용=44,60,1

(표12) 체육, 음악, 미술 교과용도서 수정ㆍ보완 내용=45,61,1

(표13) 상업경제ㆍ외국어 교과용도서 수정ㆍ보완 내용=46,62,1

(표14) 온라인 시스템 이용자 그룹 현황=55,71,1

(표15) 온라인 시스템의 관리자, 운영자, 이용자 권한 부여=60,76,1

(표16) 교과용도서 모니터링의 대상=70,86,2

(표17) 교과용도서 내적, 외적 측면의 모니터링 관점=72,88,2

(표18) 단순수정, 내용수정, 구조수정의 모니터링 관점=73,89,2

(표19) 교사, 학생 측면에 관한 모니터링의 관점=75,91,2

(표20) 지도서와 음반 및 영상자료에 대한 모니터링의 관점=77,93,1

그림차례

[그림1] 교과용도서 개발ㆍ공급ㆍ심의과정 관계도=14,30,1

[그림2] 국정도서 개발ㆍ공급 프로세스 맵 1=15,31,1

[그림3] 국정도서 개발ㆍ공급 프로세스 맵 2=16,32,1

[그림4] 국정도서 개발ㆍ공급 프로세스 맵 3=16,32,1

[그림5] 검정도서 개발ㆍ공급의 현 프로세스 맵 1=18,34,1

[그림6] 검정도서 개발ㆍ공급의 현 프로세스 맵 2=18,34,1

[그림7] 검정도서 개발ㆍ공급의 현 프로세스 맵 3=19,35,1

[그림8] 국정도서 개발 과정의 심의ㆍ수정 단계=20,36,1

[그림9] 검정도서 개발 과정의 심의ㆍ수정 단계=21,37,1

[그림10] 국정도서 현장 보급 후의 수정 체제=24,40,1

[그림11] 검ㆍ인정도서 현장 보급 후의 수정 체제=25,41,1

[그림12] 'CUTIS' 시스템 개발 체계=54,70,1

[그림13] 수시ㆍ보완 온라인 시스템의 이용자 그룹의 역할 분담=56,72,1

[그림14] 수시ㆍ보완 온라인 시스템의 메뉴와 기능 구성도=57,73,1

[그림15] 교과용도서 모니터링 종합관리체제의 흐름도=62,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