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발간사=0,2,1

총목차=0,3,1

I. 연수개요=1,4,4

II. 연수과제=5,8,2

미국 응급의료시스템 출동기록지에 관한 고찰=7,10,2

목차=9,12,2

I. 말머리=11,14,1

II. 응급의료시스템의 출동기록=11,14,1

1. 환자처치 문서기록의 필요성=11,14,2

2. 출동기록지의 형태=12,15,2

3. 출동기록지의 일반적 유의사항=14,17,1

1) 의료용어=14,17,1

2) 의료영어의 생략형(Abbreviations) 그리고 두문자어(Acronyms)=14,17,6

3) 시간=19,22,2

4) 통신=20,23,1

5) 환자의 표현=21,24,1

6) 구두진술(Oral Statements)=21,24,2

7) 부가적인 자원상황=22,25,1

4. 훌륭한 기록지를 위한 구성요소=22,25,1

1) 완결성과 정확성=22,25,2

2) 읽고 판독하기 쉬울 것=23,26,1

3) 적절한 시기=23,26,2

4) 기록지의 정정사항=25,28,2

5) 전문성=26,29,1

5. 서술체(Narrative Writing) 형식의 기술=26,29,2

1) Narrative Sections=27,30,3

2) 일반적인 형태=29,32,2

6. 추가기록이 요구되어지는 특별한 사항=30,33,1

1) 환자의 거부=30,33,5

2) 이송이 필요치 않은 경우=34,37,1

3) 대량(다수)환자 발생사고=34,37,2

III. 맺음말=36,39,1

참고=36,39,11

미국의 자동 체외 제세동기(AED) 보급 사업에 관한 연구 : 미네소타주 로체스터시 보급사업 중심으로=47,50,2

목차=49,52,2

I. 서론=51,54,2

II. 조기 AED에 관련된 의문점 풀기=53,56,2

III. 어떻게 AED가 생명을 구하는가?=54,57,5

IV. AED로 살아난 사람들(당신이나, 당신의 지인중 한명이 될 수 있습니다)=59,62,4

V. AED 소요예산=63,66,7

VI. 결론=70,73,2

참고문헌=72,75,1

AED 제조사들=72,75,3

미국의 Health Care System=75,78,2

목차=77,80,2

1. 서론=79,82,1

2. 본론=79,82,1

1. 의료기술과 제도=79,82,2

2. Health Care System이란(?)=80,83,1

가. Fee-For-Service=80,83,2

나. Managed Care=81,84,2

다. Managed Health Care의 종류=82,85,2

3. 정부의 의료보험 사업=83,86,2

가. 기원=84,87,1

나. Medicare=84,87,2

다. Medigap=85,88,2

라. Medicaid=86,89,2

4. Emergency와 Health Care System=87,90,3

5. Carve Out=89,92,3

6. 대체의료요법=91,94,1

가. 척추교정 요법=92,95,1

나. 침술사=92,95,1

다. 자연요법(Naturopathy)=92,95,1

7. UPMC=93,96,1

가. UPMC 조직=93,96,2

나. UPMC Health Plan=94,97,1

1) Enhanced Access Health Maintenance Organization=95,98,1

2) Enhanced Access Point-Of-Service=95,98,1

3) Enhanced Access Preferred Provider Organization=95,98,1

4) 정부수혜 의료서비스=95,98,1

5) Assist America=95,98,2

3. 결론=97,100,1

참고문헌=98,101,1

미국 CISD(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소개=99,102,2

목차=101,104,2

I. 서론=103,106,2

II. 용어정리=105,108,4

III. CISD의 발전역사=109,112,1

IV. 오레곤주 CISD Team 형성의 실례=110,113,1

1. 시작단계=110,113,1

2. 조직적 발달=110,113,2

3. 채용과 훈련=111,114,2

4. 서비스 제공=112,115,2

5. 예산=113,116,1

V. CISD의 장점=114,117,1

VI. 실제 방법=115,118,1

1. Stress=115,118,5

2. Demobilization=119,122,4

3. CMB(Crisis Management Briefing)=122,125,2

4. Defusing=123,126,3

5. CISD(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126,129,6

VII. CISD 정보 소개=131,134,2

참고문헌=133,136,2

응급구조사 해외연수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135,138,2

목차=137,140,2

[요약]=139,142,2

I. 여는 글=141,144,1

1. EMT-I 미 국립표준교과 과정=141,144,1

가. EMT-I 표준교과과정의 변천=141,144,2

1) I-99의 목표=143,146,1

2) I-99의 교육시간 배정=143,146,1

3) I-99의 교과목 구성=143,146,2

2. 피츠버그 의과대학 응급의료센터=145,148,1

가. 피츠버그 의과대학 응급의료센터 EMT-I 과정=145,148,1

1) 응급구조사 초급(EMT-B)=145,148,2

2) 응급구조사 중급(EMT-I)=146,149,2

3) I-99과 응급의료센터 EMT-I 과정 비교=147,150,1

4) 펜실베니아 주의 EMT-I=147,150,2

3. 기존 EMT-I 과정의 재고=148,151,1

가. 현 EMT-I 과정의 장점=148,151,1

1) 피츠버그 의과대학=148,151,1

2) 응급의료센터=148,151,1

3) 피츠버그 시=148,151,2

나. 현 EMT-I 과정의 취약점=149,152,1

1) 연수의 시간적 한계=149,152,1

2) 펜실베니아주의 EMT-I 자격 불인정=149,152,1

3) 별도교육에 따른 문제점=149,152,1

4) 특별교육운영에 따른 문제점=150,153,1

II. 바탕글=151,154,1

1. 미 국립자격 동향 및 EMT-I 과정 고찰=151,154,1

가. 미 국립 응급구조사 협회 2004년 연차보고서=151,154,1

1) 년도별 응시인원=152,155,1

2) 년도별 자격갱신 인원=152,155,2

3) EMT-I 자격의 과거와 미래=153,156,2

2. 미국 내의 EMT-I 운용 실태조사=154,157,1

가. 미국 50개 주 별 조사현황=154,157,12

나. 50개 주별 현황 분석=165,168,1

1) EMT-I 자격 채택여부=165,168,1

2) 기도삽관 등 고급인명소생술 해당여부=165,168,1

3) I-99 국립표준교과과정 채택 여부=165,168,2

4) 약물처치 범위=166,169,1

5) 심전도 등 고급인명소생술 해당여부=166,169,1

6) 기타 명칭 등 특이사항=166,169,2

3. 현황 분석에 따른 벤치마킹=167,170,1

가. 조지 워싱턴 의과대학=167,170,1

1) 조지 워싱턴 의과대학 EMT-I 자격과정=167,170,2

2) 특이사항=169,172,1

나. 허드슨 벨리 대학=169,172,1

1) 허드슨 벨리 대학 EMT-I 과정=169,172,3

4. Paramedic 자격과정=171,174,2

III. 맺는 말=173,176,2

참고문헌=175,178,2

미국 응급의료체계의 발전사(發展史)=177,180,2

목차=179,182,2

1966년 이전=181,184,5

1966년 : 전환기=185,188,5

1966년에서 1973년 사이=189,192,4

1973 : 응급의료서비스시스템에 관한 법률(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Act)=192,195,4

1974년에서 1981년까지=195,198,8

1978 : EMS의 과도기=202,205,5

1982년에서 1993년 사이=206,209,6

참고자료=212,215,1

미국의 일반적인 EMS SOP 가이드 라인=213,216,2

목차=215,218,2

I. 서론=217,220,3

II. 본론=220,223,1

1. EMS SOP 100.01 일반환자처치(General Patient Care)=220,223,2

2. EMS SOP 100.02 사망자(Deceased Persons)=221,224,2

3. EMS SOP 100.03 말기질병환자(Terminally III Patients)=223,226,2

4. EMS SOP 100.04 대량재해사고(Mass-Casualty Incident)=224,227,4

5. EMS SOP 101.01 환자이송(Patients Transport)=227,230,2

6. EMS SOP 101.02 응급이동(Emergency Transfers)=228,231,3

7. EMS SOP 101.03 헬리콥터 이송(Transport By Helicopter)=230,233,4

8. EMS SOP 102.01 감염통제프로그램(Infection Control Program)=233,236,4

9. EMS SOP 102.02 소독(Decontamination)=236,239,3

10. EMS SOP 102.03 보호피복(Protective Clothing)=238,241,2

III. 결론=240,243,3

EMS의 법적측면에 대한 고찰 : 응급구조사의 의무와 과실측면에서=243,246,2

목차=245,248,2

1. 서론=247,250,2

2. 본론=249,252,1

1) 응급구조사의 의무=249,252,1

① 자신에 대한 의무=249,252,2

② 동료에 대한 의무=250,253,1

③ 장비를 책임져야할 의무=250,253,1

④ 환자에 대한 의무=250,253,2

⑤ 사례연구=251,254,3

2) 과실=253,256,1

① 태만한 불법행위의 구성요소=253,256,3

② 입증의 부담(Burden Of Proof)=255,258,1

③ 변호=256,259,2

④ 중과실(Gross Negligence)과 과실그자체(Negligence Per Se)=257,260,2

⑤ 과실추정칙(過失推定則, Res Lpsa Loquitor)=258,261,1

⑥ 과실의 이론 하에 있는 소송의 원인들=258,261,2

⑦ 대리책무(Vicarious Liability)=259,262,2

⑧ 사례연구=260,263,2

3. 결론=262,265,1

참고문헌=262,265,1

중증도 분류(Triage) 활용의 실태와 평가=263,266,2

목차=265,268,2

I. 서론=267,270,1

II. 본론=268,271,1

1. 중증도 분류(Triage) 개관=268,271,1

2. 중증도 분류(Triage)의 목표=268,271,2

3. 중증도 분류(Triage)의 운영=269,272,1

(1) 일반적인 응급실 Triage의 구분=269,272,3

(2) 재난시의 Triage=271,274,1

(3) 외상환자의 Triage=271,274,3

4. 중증도 분류(Triage)의 실무=273,276,2

5. 재분류의 중요성=274,277,3

6. 응급실 중증도 분류(Triage)=277,280,2

7. 전화 중증도 분류=278,281,2

III. 결론=280,283,2

참고문헌=281,284,2

미국 응급구조사(EMT)의 응급처치 프로토콜(Protocol)에 관한 고찰=283,286,2

목차=285,288,2

제1장 응급처치 프로토콜=287,290,1

제1절 일반개요=287,290,1

제2절 응급처치와 프로토콜=288,291,1

제2장 미국 응급구조사(EMT) 제도=289,292,1

제1절 일반개요=289,292,1

제2절 조직 및 구성=289,292,1

제3절 프로토콜의(Protocol)의 구분=290,293,1

제1. 기본응급처치(BLS)=290,293,1

제2. 전문응급처치(ALS)=290,293,1

제3. 전문응급처치(ALS)와 의료지도(Medical Directors)=290,293,1

제3장 미국 응급구조사(EMT)의 응급처치 프로토콜=291,294,1

제1절 개요=291,294,1

제2절 운영시스템=291,294,4

제3절 전문응급처치(ALS) 프로토콜(Protocol)=295,298,1

제1. 초기처치(Initial Care) 프로토콜=295,298,1

제2. 심정지(Cardiac Arrest) 프로토콜=295,298,1

제3. 심부정맥(Cardiac Arrhythmia) 프로토콜=295,298,1

제4. 일반내과환자(General Medical) 프로토콜=295,298,2

제5. 외상환자(Trauma) 프로토콜=296,299,1

제6. 대량파괴무기(Weapons Of Mass Destruction) 프로토콜=296,299,1

제7. 특별처치(Special Care) 프로토콜=297,300,1

제8. 부록(Appendices)=297,300,1

제4장 맺음말=298,301,1

참고문헌=299,302,2

미 피츠버그시의 Protocol에 관한 연구 : ALS 외상처치술 중심으로=301,304,2

목차=303,306,2

I. 서론=305,308,1

II. 본론=305,308,1

1. 피츠버그의 응급의료 체계=305,308,2

2. 피츠버그의 Protocol=306,309,1

1) BLS Protocol=306,309,3

2) ALS Protocol=308,311,3

3. ALS프로토콜의 실례=311,314,1

1) Protocol 001(최초환자대응)=311,314,1

2) Protocol 401(고위험 외상)=312,315,2

3) Protocol 402(두부 외상)=313,316,2

4) Protocol 403(척추 손상)=315,318,2

III. 결론=316,319,2

참고문헌=317,320,1

부록=318,321,2

편집후기=320,323,1

미국 EMS구급차의 재원조달에 대한 고찰=321,324,2

목차=323,326,2

1. 서론=325,328,1

1.1. 피츠버그시의 EMS 현황=325,328,1

1.2. 미국의 의료보험제도 개요=326,329,1

1.3. 응급의료비용 등의 납부 방법=326,329,1

2. 본론=327,330,1

2.1. 구급차의 운영기관 및 방법=327,330,1

2.1.1. 구급차의 운영기관=327,330,3

2.1.2. 구급차의 운영방법=329,332,3

2.2. 응급의료서비스의 재원=331,334,2

2.2.1. 의료보험 제도의 본인부담금=332,335,2

2.2.2. 각종 기금 및 세금 등=333,336,1

3. 결론=334,337,5

미국 EMS 통신시스템의 소개=339,342,2

목차=341,344,2

I. 훈련개요=343,346,1

II. 여는 글=344,347,1

III. 911시스템의 소개=344,347,1

1. 911의 역사=344,347,2

2. 911의 운영=345,348,1

3. 지령센터(Dispatch Center)=345,348,2

4. 지령간 생명유지(Dispatch Life Support)=346,349,2

5. 응급의료지령(Emergency Medical Dispatch)=347,350,1

6. 비응급 접속번호(Nonemergency Access Numbers)=348,351,1

IV. EMS 통신시스템=349,352,1

1. EMS 통신시스템의 운영=349,352,1

2. EMS 통신기기=350,353,1

V. 맺는 글=350,353,1

수집자료 및 참고문헌=351,354,1

[판권지]=352,3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