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1,16,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16,2
2. 연구의 내용=2,17,2
3. 연구의 방법=3,18,3
4. 연구의 분담=6,21,1
5. 연구의 제한점=7,22,1
II. 이론적 기초=8,23,1
1. 교사교육과 교사론=8,23,12
2. 주요국의 교사교육 프로그램과 시사점=19,34,31
3. 교사론 교재 개발=49,64,19
III. 기초 조사 길과=68,83,1
1. 실태ㆍ문제점ㆍ요구 파악을 위한 질문지 조사 결과=68,83,34
2. 실태ㆍ문제점ㆍ요구 파악을 위한 심층 면담 결과=101,116,3
3. 현행 강의계획서 내용 분석 결과=104,119,18
4. 현행 강의교재 내용 분석 결과=121,136,19
5. 교재내용 영역 및 요소 선정을 위한 델파이 조사 결과=139,154,8
6. 각종 협의회 결과=147,162,2
IV. 강의안 총론(강의 요목) 개발=149,164,1
1. 강의안 개발 원칙=149,164,1
2. 강의안 개발의 구성 체제=150,165,2
3. 강의안 주제 영역 설정=151,166,2
4. 강의안 총론(강의 요목) 개발=153,168,6
V. 강의안 각론(강의 교재) 개발=159,174,1
1. 강의 개요=159,174,1
가. 제1강 초등교육과 교사=159,174,3
나. 제2강 초등교직의 성격과 역사적 변천=162,177,3
다. 제3강 교사상과 교직관=164,179,3
라. 제4강 교사의 자질과 교직윤리=167,182,3
마. 재5강 교사의 지위와 역할=169,184,4
바. 제6강 교사의 권리와 의무=173,188,4
사. 제7강 교사의 사회화와 발달=176,191,4
아. 제8강 교사의 생활과 교직문화=179,194,4
자. 제9강 교사의 인간관계와 리더십=182,197,4
차. 제10강 교원의 자격과 임용=185,200,4
카. 제11강 교원의 양성과 연수=188,203,4
타. 제12강 교원의 근무조건과 평가=192,207,3
파. 제13강 교직단체=194,209,4
하. 제14강 교육환경 변화와 교직의 미래=197,212,4
2. 강의 자료=201,216,1
가. 제1강 초등교육과 초등교사의 이해=201,216,21
나. 제2강 초등교직의 성격과 역사적 변천과정의 이해=222,237,19
다. 제3강 교사상과 교직관=241,256,27
라. 제4강 교사의 자질과 교직윤리=268,283,27
마. 제5강 교사의 지위와 역할=295,310,30
바. 제6강 교사의 권리와 의무=325,340,19
사. 제7강 교사의 사회화와 발달=344,359,43
아. 제8강 교사의 생활과 교직문화=387,402,22
자. 제9강 교사의 인간관계와 리더십=409,424,30
차. 제10강 교원의 자격과 임용=439,454,24
카. 제11강 교원의 양성과 연수=463,478,42
타. 제12강 교원의 근무조건과 평가=505,520,30
파. 제13강 교직단체=535,550,26
하. 제14강 교육환경 변화와 교직의 미래=561,576,18
VI. 결론=579,594,1
1. 요약 및 결론=579,594,3
2. 제언=581,596,1
표차례(표I-1) 연구 분담=6,21,1
(표II-1/II-2) 교사교육 패러다임=13,28,1
(표II-2/II-3) 전통적 교사교육과 새로운 교사교육=14,29,1
(표II-3/II-4) 교양교육=24,39,1
(표II-4/II-5) 교직교육=25,40,1
(표II-5/II-6) 교양 및 교과 과정=26,41,1
(표II-6/II-7) 교육학 및 교과 영역 과정=27,42,1
(표II-7/II-8) 독일의 교사양성 과정=29,44,1
(표II-8/II-9) 런던대학교 교육학부 교과관련 학과=35,50,1
(표II-9/II-10) 개방대학의 PGCE 초등학교 교육과정=36,51,1
(표II-10/II-11) 유ㆍ초등 교사교육과정=39,54,1
(표II-11/II-12) IUFM의 중등 교사교육과정=40,55,1
(표II-12/II-13) 동경 대학 학예 대학 소학교 교원양성 과정=42,57,1
(표II-13/II-14) 3년제 중등사범학교 시수=47,62,1
(표III-1) 설문지 배포 회수율=69,84,1
(표III-2) 초등교사론의 우선되어야 할 목표(교수)=70,85,1
(표III-3) 초등교사론 강좌 운영의 충실성(교수)=70,85,1
(표III-4) 초등교사론의 강좌 내용의 유용성(교수)=71,86,1
(표III-5) 초등교사론 교재 내용에 대한 만족도(교수)=71,86,1
(표III-6) 초등교사론 강좌의 학습에 적절한 학년(교수)=72,87,1
(표III-7) 초등교사론 강좌의 학점 비중(교수)=72,87,1
(표III-8) 초등교사론 강좌의 바람직한 수업 진행 방식(교수)=73,88,1
(표III-9) 초등교사론 강좌의 바람직한 평가 방법(교수)=74,89,1
(표III-10) 초등교사론 강좌의 운영과 관련한 문제점(교수 : 중복 응답)=74,89,1
(표III-11) 초등교사론 강좌 운영과 관련한 개선점(교수)=75,90,1
(표III-12) 강의평가 결과 학생들의 반응 요약(교수 : 부분 중복 응답)=76,91,1
(표III-13)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한 전문가(교수)들의 제언(부분 중복 응답)=77,92,1
(표III-14) 초등교사론 강좌의 필요성 정도에 대한 인식(학생)=78,93,1
(표III-15) 초등교사론 강좌 운영의 충실성(학생)=78,93,1
(표III-16) 초등교사론의 강좌 내용의 유용성(학생)=79,94,1
(표III-17) 초등교사의 교직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것(학생)=79,94,1
(표III-18) 초등교사론 교재 내용에 대한 만족도(학생)=80,95,1
(표III-19) 초등교사론 강좌의 학점 비중(학생)=81,96,1
(표III-20) 초등교사론 강좌의 강의계획서와의 일치 정도(학생)=81,96,1
(표III-21) 초등교사론 강좌에서 더욱 강조하여 다룰 필요가 있는 영역(학생)=82,97,1
(표III-22) 초등교사론 강좌에서 가장 기억에 남거나 유익했던 주제(학생)=83,98,1
(표III-23) 초등교사론 강좌의 바람직한 수업 진행 방식(학생)=84,99,1
(표III-24) 초등교사론 강좌의 바람직한 평가 방법(학생)=84,99,1
(표III-25) 초등교사론 강좌의 운영과 관련하여 가장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점(학생)=85,100,1
(표III-26) 초등교사론 강좌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학생)=86,101,1
(표III-27) 초등교사론 강좌 운영의 불만족 요인(학생, 중복 응답)=86,101,1
(표III-28) 초등교사론 강좌의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학생, 부분 미응답)=87,102,1
(표III-29) 초등교사론 강좌의 필요성 정도에 대한 인식(교사)=88,103,1
(표III-30) 초등교사론 강좌 운영의 충실성(교사)=88,103,1
(표III-31) 초등교사론의 강좌 내용의 유용성(교사)=89,104,1
(표III-32) 초등교사의 교직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것(교사)=90,105,1
(표III-33) 초등교사론 교재 내용에 대한 만족도(교사)=90,105,1
(표III-34) 초등교사론 강좌의 학점 비중(교사)=91,106,1
(표III-35) 초등교사론 강좌의 강의계획서와의 일치 정도(교사)=91,106,1
(표III-36) 초등교사론 강좌에서 더욱 강조하여 다룰 필요가 있는 영역(교사)=92,107,1
(표III-37) 초등교사론 강좌에서 가장 기억에 남거나 유익했던 주제(교사)=93,108,1
(표III-38) 초등교사론 강좌의 바람직한 수업 진행 방식(교사)=94,109,1
(표III-39) 초등교사론 강좌의 바람직한 평가 방법(교사)=95,110,1
(표III-40) 초등교사론 강좌의 운영과 관련하여 가장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점(교사)=95,110,1
(표III-41) 초등교사론 강좌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교사)=96,111,1
(표III-42) 초등교사론 강좌 운영의 불만족 요인(교사, 중복 응답)=96,111,1
(표III-43) 초등교사론 강좌의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교사, 부분 중복 응답)=97,112,1
(표III-44) 연구대상 현황=105,120,1
(표III-45) 강의계획서 기본사항 분석(실수, %)=106,121,1
(표III-46) 강의요목 빈도 분석=111,126,1
(표III-47) 강의내용 강도 분석(실수, %)=113,128,1
(표III-48) 강의방법 분석(주단위수, %)=116,131,1
(표III-49) 과제물의 유형과 내용=118,133,1
(표III-50) 평가내용의 비율(%)=119,134,1
(표III-51) 델파이 조사 응답자 현황=140,155,1
(표III-52) 2차 델파이 조사 결과=146,161,1
(표IV-1) 교재 내용 구성 주제 영역과 개발 연구진=152,167,1
(표IV-2) 주별 강의 주제와 내용 및 방법=156,171,1
(표V-1) 초등교사의 자질 모형=277,292,1
(표V-2) 직업범주의 구성=300,315,1
(표V-3) 직업 위세(권력, 돈, 명예 종합) 평균=301,316,1
(표V-4) 부모와 자신이 바라는 직업=305,320,1
(표V-5) 정교사 및 준교사 자격 기준(제21조제2항 관련)=441,456,1
(표V-6) 초등학교 교원자격증 발급 현황(2004.3.1-2005.2.29)=446,461,1
(표V-7) 초등학교 교원자격별 교원수=446,461,1
(표V-8) 초등학교 교원 연령별 교원수=447,462,1
(표V-9) 초등학교 교사 출신학교별 교원수=448,463,1
(표V-10) 교사의 근무평정사항ㆍ요소ㆍ내용=451,466,1
(표V-11) 2004년도 초등교원 임용시험 경쟁률=453,468,1
(표V-12) 최근 4년간 초등교원 양성 및 임용 현황=453,468,1
(표V-13) 최근 4년간 중등교원 양성 및 임용 현황=454,469,1
(표V-14) 최근 10년간 초중등교원 임용시험 경쟁률 동향=454,469,1
(표V-15) 2005년도 강원도교육연수원 자격연수 및 직무연수 내용=487,502,1
(표V-16) 국민학교 교감ㆍ교장 자격연수 교육과정(전체구조)=490,505,1
(표V-17) 국민학교 1급정교사 자격연수 표준교육과정=491,506,1
(표V-18) 세계 각국의 교원양성체제 비교=503,518,1
(표V-19) 특정직공무원 월평균 보수 비교(2002년)(단위:천원, %)=506,521,1
(표V-20) 외국의 상위 학위 소지 교원에 대한 보수 우대 내용=507,522,1
(표V-21) 교육단계별, 기관유형별 학급당 학생수(2003)(단위:명)=510,525,1
(표V-22) 교원 1인당 학생 수 국제 비교(2003)(단위:명)=510,525,1
(표V-23) 교직단체 이원화 이후 회원 수 및 비율=539,554,1
(표V-24) 한국교총의 연도별ㆍ영역별 교섭ㆍ협의사항 실적=540,555,1
(표V-25) 교원노조와 일반노조간의 차이 비교=545,560,1
(표V-26) 교원노조와 교원단체간의 비교=553,5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