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0,3,1
서문=0,4,2
요약문=i,6,4
Summary=v,10,2
Contents=vii,12,2
(목차)=ix,14,2
(표목차)=xi,16,1
(그림목차)=xii,17,2
1. 서론=1,19,1
1.1. 연구의 배경=1,19,3
1.2. 연구목적 및 수행내용=3,21,2
1.3.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4,22,2
2. 레지스트리 및 Catalog 관련 웹 서비스 기술 현황=6,24,1
2.1. 지리정보서비스 개념 및 모델=6,24,11
2.2. ebXML Registry Information Model 3.0=16,34,5
2.3. UDDI와 ebXML Registry=20,38,6
2.4. 전자카탈로그 현황=25,43,4
3. GIS 웹 서비스 레지스트리 구현 현황 분석=29,47,1
3.1. GIS 레지스트리 기반의 지리정보서비스 네트워크 현황=29,47,9
3.2. GIS 레지스트리 구현 시스템 현황=37,55,8
4. GIS 웹 서비스 레지스트리 표준 분석=45,63,1
4.1. 카탈로그서비스 표준화 핵심내용=45,63,12
4.2. CSW-ebRlM 응용프로파일의 핵심내용=56,74,7
4.3. CSW-ISO 19115/19119 응용프로파일 핵심내용=62,80,5
5. 조직 및 구현관점의 GIS 레지스트리 구축 방안=67,85,1
5.1. 조직/구성 관점의 GIS레지스트리 구축 방안=67,85,10
5.2. 구현관점의 GIS 웹 서비스 레지스트리의 구축 방안=76,94,6
5.3. GIS 레지스트리를 이용한 공간 카탈로그 포털의 구축 방안=81,99,5
6. 레지스트리의 비즈니스 모델과 구축 전략=86,104,1
6.1. 레지스트리 비즈니스 모델=86,104,13
6.2. 조직 및 구현 관점의 GIS 레지스트리 전략 선택 기준=98,116,6
6.3. 비즈니스 유형 별 구축 전략=103,121,6
7. 결론=109,127,1
[부록. A] 약어=110,128,2
(참고문헌, 웹 사이트)=112,130,2
연구책임자=114,132,1
[판권지]=114,132,1
(그림 1) 서비스와, 인터페이스, 오퍼레이션의 관계=7,25,1
(그림 2) OWS 프레임워크 컴포넌트들=11,29,1
(그림 3) EOSE 서비스 분류=14,32,1
(그림 4) OGC 서비스 분류=15,33,1
(그림 5) ebRlM 주요 클래스 및 Has-A 관계=17,35,1
(그림 6) ebRIM 주요 클래스의 상속관계=18,36,1
(그림 7) UDDI 레지스트리 서비스의 예=21,39,1
(그림 8) UDDl 레지스트리의 타입=22,40,1
(그림 9) ebXML Registry 아키텍처=23,41,1
(그림 10) ebXML RS 모델 구조=24,42,1
(그림 11) ebXML과 UDDl 모델의 구현 관점에서의 비교=24,42,1
(그림 12) CANRl 모델 구조=30,48,1
(그림 13) Geospatial One-Stop 프레임워크=32,50,1
(그림 14) GSDl 분산 카탈로그 구현모델=33,51,1
(그림 15) RedSpider Catalog2 실행화면=38,56,1
(그림 16) Degree의 공간 웹 서비스 실행구조=39,57,1
(그림 17) GeoNetwork의 실행 화면=41,59,1
(그림 18) LATIS Catalog Service의 구조=42,60,1
(그림 19) 일반 OGC카탈로그 UML 정적모델=50,68,1
(그림 20) 일반모델과 프로토콜바인딩 및 응용프로파일 관계=56,74,1
(그림 21) 주요 ebRlM 클래스=59,77,1
(그림 22) ebRlM 프로파일 인터페이스 구조=62,80,1
(그림 23) CSW 지원 클래스=63,81,1
(그림 24) ISO 19119:2003에 대한 CSW 확장 클래스=64,82,1
(그림 25) 분산 카탈로그 모델 구조 및 주요 액터=69,87,1
(그림 26) 분산 카탈로그 환경에서의 게이트웨이와 사용자인터페이스 구성=73,91,1
(그림 27) 분산 카달로그 서비스의 구현 뷰=78,96,1
(그림 28) GIS 네트워크상에서의 GIS 카탈로그 포털(출처: ESRl)=82,100,1
(그림 29) GIS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출처: ESRI)=83,101,1
(그림 30) GIS 카달로그 포털의 역할(출처: ESRI)=84,102,1
(그림 31) GIS 카탈로그 포털의 인터페이스(출처: ESRI)=84,102,1
(그림 32) GIS 카달로그 포털의 사용 예(출처: ESRI)=85,103,1
(그림 33) GIS 레지스트리의 비즈니스 네트워크=88,106,1
(그림 34) GIS웹서비스 비즈니스 유형별 구축유형 관계=97,115,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