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1,3,1

에너지ㆍ자원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초록=2,4,1

요약문=3,5,6

목차=9,11,4

제1장 서론=13,15,1

1절 연구의 필요성=13,15,4

2절/2. 연구의 목적=16,18,1

제2장 재료 및 실험 방법=17,19,1

1절 재료=17,19,1

2절 실험 방법=17,19,1

1. Lipase 생산균주의 선별방법=17,19,2

2. Lipase Activity 측정법=18,20,2

3. Silanlzation Yield의 측정법=19,21,2

4. Glutaraldehyde Binding Yield의 측정법=20,22,2

5. 단백질 농도의 측정법=21,23,2

6. 바이오디젤 전환율의 측정법=22,24,3

제3장 결과=25,27,1

1절 바이오디젤 생산에 적합한 Lipase 생산균주의 선별=25,27,1

1. Lipase 생산 균주의 선별=25,27,2

2. 선별된 균주의 배양=26,28,2

가. Burkholderia Multivorans의 배양=27,29,2

나. Candida Antarctica의 배양=28,30,2

다. Rhizopus Oryzae의 배양=29,31,2

라. Pseudomonas Fluorescens의 배양=30,32,2

마. Candida Rugosa의 배양=31,33,2

3. 배양액으로부터 생산된 Lipase의 부분 정제=33,35,1

가. 단백질 침전을 위한 Ammonium Sulfate 처리 농도의 결정=34,36,1

나. Ammonium Sulfate를 이용한 Lipase 농축 용액의 제조=34,36,2

다. Ultra-Filtration을 이용한 Lipase 농축용액의 제조=36,38,2

4. Lipase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전환반응을 통한 최종 균주의 선발=37,39,1

가. Lipase 용액 (5 U/ml)을 이용한 바이오디젤 전환반응=37,39,3

나. Lipase 용액 (15 U/ml)을 이용한 바이오디젤 전환반응=39,41,2

2절 Rhizopus Oryzae Lipase의 대량생산 기술 확립=40,42,1

1. Rhizopus Oryzae Lipase 생산을 위한 배양조건 확립=40,42,2

가. 최적 배양 온도의 확립=41,43,1

나. 최적 초기 pH의 확립=42,44,1

다. 최적 교반속의 확립=42,44,2

2. Rhizopus Oryzae Lipase 생산을 위한 배지 조성의 확립=43,45,2

가. 탄소원의 확립=44,46,3

나. 질소원의 확립=46,48,4

다. 인산원의 확립=49,51,3

3절 Lipase의 고정화=51,53,2

1. 흡착법을 이용한 Lipase의 고정화=52,54,2

2. Cross-Linking 방법을 이용한 Lipase의 고정화=54,56,1

가. 담체의 전처리=54,56,3

나. Silanization=57,59,3

다. Glutaraldehyde Modification=59,61,4

라. Glutaraldehyde를 이용한 Lipase의 고정화=63,65,1

마. 후처리=64,66,2

3. 고정화 Lipase의 재사용시 안정성=65,67,2

4. 고정화 Lipase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66,68,2

5. 고정화시 Lipase 첨가량이 고정화 Lipase의 Activity에 미치는 영향=67,69,2

6. Lipase 전처리 기술을 이용한 고정화 Lipase의 제조=68,70,2

가. Soybean Oil을 전처리 기질로 이용하였을 때 고정화 Lipase의 Activity에 미치는 영향=69,71,4

나. Fatty Acid를 전처리 기질로 이용하였을 때 고정화 Lipase의 Activity에 미치는 영향=72,74,1

(1) Linoleic Acid를 전처리 기질로 이용하였을 때 고정화 Lipase의 Activity에 미치는 영향=72,74,2

(2) Stearic Acid를 전처리 기질로 이용하였을 때 고정화 Lipase의 Activity에 미치는 영향=73,75,2

다. Glycerol을 전처리 기질로 이용하였을 때 고정화 Lipase의 Activity에 미치는 영향=74,76,2

라. 전처리후 제조한 고정화 Lipase의 재사용시 안정성=75,77,2

마. 전처리후 제조한 고정화 Lipase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76,78,2

4절 고정화 Lipase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77,79,1

1. Methanol과 Oil의 몰비 및 Methanol 첨가 회수의 최적화=77,79,5

2. 교반속도 및 반응온도의 최적화=82,84,2

3. 고정화 Lipase의 Activity가 바이오디젤 생산에 미치는 영향=83,85,3

4. 고정화 Lipase를 재사용하여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때 고정화 Lipase의 안정성=85,87,2

5. 폐유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86,88,1

가. 기질내 물의 양이 바이오디젤 생산에 미치는 영향=87,89,2

나. 기질내 Fatty Acid의 양이 바이오디젤 생산에 미치는 영향=88,90,2

다. 실제 폐유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89,91,2

6. 바이오디젤 생산 공정 Scale-Up=90,92,2

7.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신규한 공정의 개발=91,93,7

제4장 결론=98,100,2

제5장 참고문헌=100,102,3

부록=103,1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