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1,3,1

요약문=2,4,7

Summary=9,11,7

Contents=16,18,5

목차=21,23,5

제1장 서론=26,28,1

제1절 조사연구의 필요성=26,28,2

제2절 조사연구의 목적과 범위=27,29,1

1. 조사연구의 목적=27,29,2

2. 조사연구의 범위=28,30,3

제2장 국내외 연구현황=31,33,1

제1절 국내외 비점원오염에 관한 연구동향=31,33,3

제2절 국내의 유역모니터링 연구동향=33,35,1

제3절 도시비점오염원 모니터링의 현황=34,36,13

제4절 지하수 수질 모니터링=46,48,2

제5절 농업용 저수지 수질 모니터링=47,49,1

제6절 농경지(논과 밭)의 비점오염부하 모니터링=47,49,2

제7절 비점오염원의 측정방법=48,50,1

1. 실ㆍ내외 유출시험포 실험=48,50,3

2. 경지단위의 유출시험포 실험=50,52,2

3. 오염저감시설의 효과 실험=51,53,2

4. 유역의 모니터링 실험=52,54,2

제3장 조사연구 수행내용 및 결과=54,56,1

제1절 비점원오염부하의 모니터링 방법=54,56,1

1. 비점원오염물질의 특성=54,56,1

가. 비점원오염의 정의와 구분=54,56,4

나. 비점원오염물질의 배출원리=57,59,2

(1) 토양유실의 원리=58,60,1

(가) 토양유실과 부유물질의 환경영향=58,60,2

(나) 토양유실과 유사의 발생원리=59,61,2

(다) 토양유실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61,63,3

(2) 유출수의 운반능과 유사의 발생원리=63,65,2

2. 비점원오염의 일반적인 관리방법=64,66,3

가. 정책적 관리방법=66,68,4

나. 발생원 관리방법=69,71,2

(1) 경운방법=70,72,1

(2) 지표피복 방법=71,73,3

(3) 초생수로=73,75,1

(가) 초생수로의 정의와 목적=73,75,2

(나) 초생수로의 식생활착방법=74,76,2

(다) 초생수로의 규모와 형태=75,77,2

(라) 초생수로 식생과 유지관리방법=76,78,2

(4) 식생 밭두렁=77,79,2

(5) 비료와 농약관리방법=78,80,2

(6) 지피식물의 재배(Winter Cover Crop)=79,81,2

다. 중간지 관리방법=80,82,1

(1) 테라스 침사지=80,82,4

(2) 우회수로(숭수로)=83,85,2

(3) 배수로=84,86,5

(4) 초생대와 수변구역=88,90,3

(5) 인공습지=90,92,2

(6) 야자매트의 활용방법=91,93,1

라. 교육 및 홍보방법=91,93,4

3. 비점원오염부하의 모니터링 방법=94,96,1

가. 실ㆍ내외 유출시험포 실험=94,96,7

나. 경지단위의 유출시험포 실험=100,102,4

다. 오염저감시설의 효과 실험=103,105,3

라. 유역의 모니터링 실험=105,107,1

(1) 유역모니터링의 개념=105,107,3

(2) 유역모니터링의 설계방법=107,109,2

(3) 유역모니터링 조사자료=108,110,2

(가) 수계환경자료 조사=109,111,1

① 유역구분=109,111,2

② 기상자료=110,112,1

③ 수자원 자료=110,112,2

④ 하천자료=111,113,2

⑤ 호소자료=112,114,3

⑥ 수질조사=114,116,1

⑦ 유량조사=114,116,3

(나) 유역의 오염원 분류=116,118,1

(다) 유역의 오염원 조사=116,118,3

① 생활계 오염원 조사=118,120,1

㉮ 행정구역별 인구 현황 및 전망=118,120,1

㉯ 배출원별 인구 현황 및 전망=119,121,2

㉰ 행정구역별 생활계 사용유량 현황 및 전망=120,122,1

㉱ 배출원별 생활계 사용유량 현황 및 전망=120,122,2

② 축산계 오염원 조사=121,123,1

㉮ 행정구역별 축산 현황 및 전망=121,123,2

㉯ 배출원별 축산 현황 및 전망=122,124,2

③ 산업계 오염원조사=123,125,1

㉮ 행정구역별 산업 현황 및 전망=123,125,1

㉯ 배출원별 산업 현황 및 전망=123,125,2

④ 양식계 오염원 조사=124,126,1

㉮ 행정구역별 양식현황 및 전망=124,126,2

㉯ 배출원별 양식현황 및 전망=125,127,1

⑤ 토지계 오염원 조사=126,128,1

㉮ 행정구역별 토지 현황 및 전망=126,128,2

㉯ 배출원별 토지현황 및 전망=127,129,2

⑥ 매립계 오염원조사=128,130,1

⑦ 환경기초시설 조사=129,131,4

(라) 유역의 오폐수 발생유량의 산정=132,134,1

① 생활계 오폐수 발생유량의 산정=132,134,3

② 축산계 오폐수 발생유량의 산정=134,136,1

③ 기타 오폐수 발생유량의 산정=134,136,1

(마) 유역의 오염발생부하량 산정=134,136,1

① 생활계 오염발생부하량 산정=135,137,3

② 축산계 오염발생부하량 산장=137,139,2

③ 산업계 오염발생부하량 산정=138,140,4

④ 양식계 오염발생부하량 산정=142,144,1

⑤ 토지계 오염발생부하량 산정=143,145,3

⑥ 매립계 오발부하량 산정=145,147,1

4. 비점원오염부하량 산정 방법=145,147,1

가. 오염부하량 산정=145,147,3

나. 오염부하량 산정 프로그램=147,149,1

(1) Numeric Integration=147,149,3

(2) Regression Approach=149,151,5

(3) Ratio Approach=153,155,2

5. 제2차년도의과제=155,157,2

제2절 농경지(논과 밭) 유역의 비점오염부하 측정=157,159,1

1. 농경지 유역의 선정=157,159,1

2. 농경지 유역의 수문 및 수질 모니터링=157,159,1

가. 논 시험포의 수문 및 수질 모니터렁 방법=157,159,1

나. 밭 시험포의 수문 및 수질 모니터링 방법=158,160,1

(1) 밭 시험포 1=158,160,1

(2) 밭 시험포 2=158,160,2

3. 농경지 유역의 비점오염부하 문헌조사=159,161,1

가. 논의 비점오염부하 문헌조사=159,161,4

나. 밭의 비점오염부하 문헌조사=162,164,7

4. 논의 비점오염부하 유출량 조사=168,170,6

5. 밭의 비점오염부하 유출량 조사=173,175,1

가. 밭 시험포 1=173,175,4

나. 밭 시험포 2=176,178,4

제3절 농경지 소하천의 비점오염부하 측정=180,182,1

1. 농경지 유역의 선정=180,182,2

2. 농경지 유역의 오염부하 조사=181,183,1

가. 유포리 농경지 유역의 오염부하 조사 방법과 내용=181,183,2

나. 유포리 농경지 유역의 수위-유량 관계식 도출과 유량산정=182,184,2

3. 농경지 유역의 수문 및 수질 모니터링=183,185,19

제4절 산림유역의 비점오염부하 측정=202,204,1

1. 산림유역의 선정=202,204,1

2. 산림유역의 오염부하 조사=203,205,1

가. 학술림 산림유역의 오염부하 조사 방법과 내용=203,205,2

나. 학술림 산림유역의 수위-유량 관계식 도출과 유량산정=204,206,3

3. 산림유역의 수문 및 수질 모니터링=206,208,26

제5절 도시유역 비점오염 부하량 측정=232,234,1

1. 조사지점 선정=232,234,1

2. 조사 유역의 특성=232,234,2

3. 현장조사방법=234,236,1

가. 유량측정=234,236,2

나. 수질 조사 및 분석방법=236,238,3

4. 조사결과=239,241,1

가. 건기시 유량 및 수질 분석 결과=239,241,1

(1) C-1 조사지점=239,241,7

(2)/나. C-2 조사지점=245,247,7

나./(2) 강우시 유량 및 수질 조사결과=251,253,1

(1)/(가) C-1 조사지점=251,253,8

(2)/(나) C-2 조사지점=259,261,6

다. 조사지점별 오염부하량 산정=265,267,2

(1) 건기시 오염부하량=266,268,1

(2) 강우시 오염부하량=266,268,6

제4장 조사연구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272,274,3

제5장 조사 연구결과의 활용방안=275,277,1

제6장 참고문헌=276,27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