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i,3,1

보고서 초록=ii,4,1

요약문=iii,5,2

Summary=v,7,2

Contents=vii,9,1

목차=viii,10,1

표목차=ix,11,1

그림목차=x,12,2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14,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3,16,1

제1절 기존 유량계 특성 비교=3,16,3

제2절 시장 분석 및 검토=6,19,3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9,22,1

제1절 유량계 개발=9,22,1

1. 평균 양방향 유동 튜브의 설계요건 및 유량 계측 개념=9,22,3

2. 유량계의 기본 특성 실험=11,24,29

3. 설계 최적화를 위한 전산 유체 코드 해석=40,53,15

4. 유량계에 대한 구조 해석=55,68,5

제2절 시제품 설계 및 제작=60,73,1

1. 평균 양방향 유동 튜브의 시제품 설계 요건=60,73,1

2. 상용화 유량계 개발=61,74,3

3. 유량 연산용 컴퓨터 개발=64,77,6

4. 양방향 유동 튜브의 시제품에 대한 구조 해석=70,83,1

제3절 유량계 성능 시험=71,84,3

제4절 연구의 결론=74,87,1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75,88,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76,89,1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77,90,1

제7장 참고문헌=78,91,2

표목차

표 2-1.유량계의 특성 비교=5,18,1

표 3-1. Chcxal-LeIlouch Drift-Flux Model=19,32,1

표 3-2. 수직관에 적용 가능한 이상유동 모멘텀 교환인자 J=22,35,1

표 3-3. Chen & Spedding 상관식의 계수=32,45,1

표 3-4. 유량 연산용 컴퓨터의 기본 사양=66,79,1

표 3-5. 교정 커브 획득 실험 및 성능 실험 현황=71,84,1

표 4-1. 세부 연구 목표 및 달성도=75,88,1

그림목차

그림 2-1. 유량계의 세계 시장 점유율 추이=7,20,1

그림 2-2. 유령계의 시장 점유율 현황=7,20,1

그림 2-3. 배관 구경별 유량계의 상대가격 비교(Benard,1988)=8,21,1

그림 3-1. 국소 양방향 유동튜브의 개념도=11,24,1

그림 3-2. 평균 양방향 유동튜브의 개념도=11,24,1

그림 3-3. 물 공기 수직관 실험장치=13,26,1

그림 3-4. 물 공기 수평관 실험장치=14,27,1

그림 3-5. 물,공기 단상유동 교정커브=16,29,1

그림 3-6. Re 수에 따른 증배계수 K 변화=16,29,1

그림 3-7. Taitel-DuKler의 유동 양식 선도를 이용한 수직관실험에서의 유동 양식=17,30,1

그림 3-8. 계측값과 Chexal-Lellouche 모델에서 예측된 이상유동 변수비교=21,34,1

그림 3-9. 모멘텀 교환인자 J에 따른 이상유동 계측 값 비교=23,36,1

그림 3-10. 모멘텀 교환인자 비교=24,37,1

그림 3-11. 새로운 모멘텀 교환인자 J를 이용한 이상유동 계측 값 비교=25,38,1

그림 3-12. 수평관 성층류 유동에서 평균 양방향 유동 튜브 내의 압력 분포=27,40,1

그림 3-13. 성층류 유동에서의 Liquid Hold Up 인자=28,41,1

그림 3-14. 성층류 이상유동 유량 계측 결과 비교=29,42,1

그림 3-15. 수평관 모델을 이용한 성층류 이상유동 유량 계측 결과=39,52,1

그림 3-16. Liu 실험 해석을 위한 유로 및 양방향 유동 튜브의 개념도=41,54,1

그림 3-17. 계산에 사용된 Mesh 구조 및 전형적인 속도 분포도(튜브 직경 8.8mm)=41,54,1

그림 3-18. Liu 실험 결과와 FLUENT 계산 결과의 비교=42,55,1

그림 3-19. McCaffery 실험 해석을 위한 유로 및 양방향 유동 튜브의 개념도=43,56,1

그림 3-20. McCaffery 실험 결과와 FLUENT 계산 결과의 비교=43,56,1

그림 3-21. 단상 물유동 적용성 평가에 사용된 양방향 유동튜브의 개념도=45,58,1

그림 3-22. 전형적인 압력 및 속도 분포도=45,58,1

그림 3-23. 단상 물 유동에서 얻어진 속도, Re 수 및 압력 강하=46,59,1

그림 3-24. 단상 물 유동에서 유체 온도 및 압력 변화에 따른 계산 결과=46,59,1

그림 3-25. FLUENT 계산 결과에서 얻어진 압력 및 속도장=48,61,1

그림 3-26. 수직 단상 물 유동 실험 결과와 해석 결과의 비교=49,62,1

그림 3-27. 수직 단상 공기 유동 실험 결과와 해석 결과의 비교=49,62,1

그림 3-28. Re 수에 대한 수직 단상 물 및 공기 유동 실험 결과와 해석 결과의 비교=50,63,1

그림 3-29. 수평관 단상 공기 유동 실험 결과와 해석 결과의 비교=50,63,1

그림 3-30. 양방향 유동 튜브의 규격을 달리한 경우의 K 값의 변화=52,65,1

그림 3-31. CFX 해석 결과=54,67,1

그림 3-32. CFX 해석 결과와 실험 결과의 비교=54,67,1

그림 3-33. 기초구조해석을 위한 센서의 단순개념도=55,68,1

그림 3-34. 단순개념도의 L에 따른 응력=57,70,1

그림 3-35. 단순개념도에서 h에 따른 응력=57,70,1

그림 3-36. 상세개념도=58,71,1

그림 3-37. 상세개념도에서 L에 따른 응력=59,72,1

그림 3-38. 상세개념도에서 h에 따른 응력=59,72,1

그림 3-39. 유량계 계통 구성도 및 역할 분담=61,74,1

그림 3-40. 20mm 일체형 양방향 유동 튜브의 시제품 설계도 및 사진=62,75,1

그럼 3-41. 500mm 삽입형 양방향 유동 튜브의 설계도 및 시제품 사진=63,76,1

그럼 3-42. Flow Computer의 유량 연산 흐름도=64,77,1

그림 3-43. 유량 연산용 컴퓨터의 Hardware 구성도=67,80,1

그림 3-44. 유량 연산용 컴퓨터의 조작부 구성도=68,81,1

그림 3-45. 유량 연산용 컴퓨터의 제품 외양도=69,82,1

그림 3-46. 시제품 설계에 대한 응력해석(물 조건)=70,83,1

그림 3-47. 시제품 설계에 대한 응력해석(공기 조건)=70,83,1

그림 3-48. 단상 유동에 대한 80mm 교정 실험 결과=72,85,1

그림 3-49. 단상 유동에 대한 200mm 교정 실험 결과=73,86,1

그림 3-50. 단상 유동에 대한 500mm 교정 실험 결과=73,86,1

그림 3-51. 단상 유동에 대한 27mm 교정 실험 결과=73,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