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0,3,1
최종연구보고서 초록=0,4,1
요약문=i,5,6
Summary=vii,11,4
Contents=xi,15,2
Table=xiii,17,1
Figure=xiv,18,2
목차=xvi,20,2
표목차=xviii,22,1
그림목차=xix,23,2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25,1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1,25,3
제2절 추진배경 및 경위=3,27,3
제3절 연구개발 범위 및 내용=5,29,2
제4절 연구수행 방법=6,30,3
제5절 추진전략 및 방법=8,32,2
제6절 연구개발 추진체계=10,34,1
제2장 국내ㆍ외 기술개발현황=11,35,1
제1절 국내 원자력 산업=11,35,1
제2절 국제원자력산업=11,35,4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5,39,1
제1절 인문지리=15,39,8
제2절 일반지질=22,46,14
제3절 원자력개발=36,60,39
제4절 원전후보지역의 신기단층 예비 연구조사기술=74,98,19
제4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93,117,1
제1절 원전부지 안전성평가연구사례=93,117,3
제2절 베트남 및 인도네시아의 원전부지 향후 조사 방안=95,119,2
제3절 활용방안 토의=97,121,3
제5장 결론=100,124,2
참고문헌=102,126,1
부록=103,127,1
부록 1. 동남아 원전부지 지질조사를 위한 기술 협력 Workshop=1,128,214
부록 2. MOU=215,342,13
부록 3.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의 원전부지조사 기술 Presentation PPT=228,355,21
부록 4. 자원환경지질학회 발표 PPT=249,376,9
부록 5. 현장 기술 지도 초안 (2005.3.5-3.18, 5.28-6.8)=258,385,16
부록 6. GSA 초록=274,401,2
부록 7. 베트남ㆍ인도네시아 원전 건걸과 원전 후보지 조사 현황과 동향=276,403,28
그림 1-1. 원전건설 단계=4,28,1
그럼 1-2. DGGMR의 부청장 면담 후 기념촬영=6,30,1
그림 1-3. 베트남 하노이지질광물대학=7,31,1
그림 1-4. 기술세미나 PPT(왼쪽), 기술세미나를 듣고 있는 인도네시아 BATAN 연구진=7,31,1
그림 1-5. 국제워크숍 개최=8,32,1
그림 3-1. 베트남 행정구역도=16,40,1
그림 3-2, 베트남 지형구분도=20,44,1
그림 3-3. 베트남 원자력위원회 조직도=21,45,1
그림 3-4. 베트남의 지리부도=24,48,1
그림 3-5. 베트남 북부 광역지질도=25,49,1
그림 3-6. 베트남 남부 광역지질도=26,50,1
그림 3-7. 베트남의 주요 구조분할구=31,55,1
그림 3-8. 베트남 북동부 탄전지질도=32,56,1
그림 3-9. 베트남 지체구조도=35,59,1
그림 3-10. Vietnam 일반지도=74,98,1
그림 3-11. 원전 후보지 위치도=75,99,1
그림 3-12. 신기지구조운동 조사 장비=76,100,1
그림 3-13. 동남아시아 주변의 지형기복도=77,101,1
그림 3-14. 지구조 모델 비교(상)과 인도차이나 반도의 지구조도(아래)=78,102,1
그림 3-15. 남중국판과 인도차이나 판(좌측) 및 단층과 화산분포도=79,103,1
그림 3-16. 지진분포(우)와 지진분대(좌)=81,105,1
그림 3-17. JERS영상의 선구조=82,106,1
그림 3-18. 중앙부와 남부 지역의 주 암상 분대와 주단층 양상(Rangin Et Al. 1995)=83,107,1
그림 3-19. 중앙부지역의 상세 지질구조도(Rangin Et Al. 1995)=84,108,1
그림 3-20. 위성영상 선구조 양상 (Rangin Et Al. 1995) NS와 NNW 구조선 우세하게 발달=84,108,1
그림 3-21. Phan Rang 서쪽지역의 IRS 영상 선구조=85,109,1
그림 3-22. 나트랑 주변의 선구조도(Rangin Et Al. 1995)=85,109,1
그림 3-23. 나트랑지역과 그 이남지역의 지구조도(Rangin Et Al. 1995)=86,110,1
그림 3-24. Vinh Hai 지역의 IRS 영상의 선구조 분석=87,111,1
그림 3-25. Phouc Dinh 지역의 선구조 분석=87,111,1
그림 3-26. 원전후보지 주변의 지질도=88,112,1
그림 3-27. 원전후보지 주변의 단열계 하반구투영망=88,112,1
그림 3-28. Vinh Hai (Left) And Phouc Dinh (Right) 지역의 단열계 하반구 투영망=89,113,1
그림 3-29. Phouc Dinh 지역의 해안단구. 10m 이상의 사구층이 퇴적된 40m 단구=90,114,1
그림 3-30. 해수면 곡선과 해안단구의 대비=91,115,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