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 등]=0,1,2
목차=i,3,2
표목차=iii,5,1
그림목차=iv,6,3
요약문=vii,9,1
Abstract=viii,10,1
제1장 서론=1,11,1
1.1. 연구 배경 및 목적=1,11,2
1.2. 연구 내용=2,12,3
제2장 국내외 신축이음 장치 적용 현황=5,15,1
2.1. 국내 적용 현황=5,15,4
2.2. 외국의 적용 현황=8,18,12
2.3. 소결론=19,29,2
제3장 교량의 신축량=21,31,1
3.1. 신축량 규정=21,31,3
3.2. 교량의 신축량 측정=23,33,14
3.3. 소결론=36,46,1
제4장 신형식 신축이음장치=37,47,1
4.1. 신형식 신축이음장치 특징=37,47,1
4.2. 탄성콘크리트=37,47,2
4.3. 탄성콘크리트의 요구 특성=39,49,6
4.4. 실리콘(Silicone)=44,54,4
4.5. 소결론=48,58,1
제5장 시험 시공=49,59,1
5.1. 배경=49,59,2
5.2. 신설 교량 시험시공=51,61,1
5.2.1. 교량 개요=51,61,3
5.2.2. 시험시공 순서=53,63,1
5.2.3. 시험시공 결과=53,63,3
5.3. 공용 교량의 시험시공=55,65,1
5.3.1. 교량 개요=55,65,2
5.3.2. 시공 순서=57,67,1
5.3.3. 시공 결과=57,67,3
5.3.4. 추적 조사=59,69,2
5.4. 소결론=60,70,1
제6장 결론=61,71,2
참고문헌=63,73,2
Appendix=65,75,28
도서정보=93,103,2
[판권지]=95,105,1
그림2.1. 신축이음 장치의 분류=6,16,1
그림2.2. Mono Cell 신축이음장치=7,17,1
그림2.3. NB 신축이음장치=7,17,1
그림2.4. 신축이음장치 이음부(Transflex와 Mono Cell 조인트)=8,18,1
그림2.5. Caltran's Type A Joint Detail(표준도면)=10,20,1
그림2.6. 표준 도면의 "a" 치수=10,20,1
그림2.7. Jointless Abutment의 개략도=11,21,1
그림2.8. Armorless Joint System의 개략도(NYSDOT BD-JT1)=12,22,1
그림2.9. Armorless Joint System의 상세도(NYSDOT BD-JT1)=13,23,1
그림2.10. Elastomeric Nose 상세(NYSDOT BD-JT1)=13,23,1
그림2.11. Armorless Joint System의 적용 기준(NYSDOT BD-JT1)=13,23,1
그림2.12. Asphalt Plug Joint(APJ)System=15,25,1
그림2.13. Elastomeric Concrete with Silicone Sealant=15,25,1
그림2.14. 영국의 매설조인트 상세=18,28,1
그림2.15. 영국의 APJ 상세=18,28,1
그림3.1. 삼승교의 신축이음장치 상태=25,35,1
그림3.2. 계측기 배치도=25,35,1
그림3.3. 삼승교 계측장치=26,36,1
그림3.4. 금당교 가동단의 정적 신축(2004년 6월 9일~10일)=27,37,1
그림3.5. 금당교 고정단의 정적 신축(2004년 6월 9일~10일)=27,37,1
그림3.6. 금당교 가동단의 정적 신축(2004년 12월 15일~16일)=28,38,1
그림3.7. 금당교 고정단의 정적 신축(2004년 12월 15일~16일)=29,39,1
그림3.8. 금당교 가동단의 정적 신축(2005년 8월 28일~29일)=29,39,1
그림3.9. 금당교 고정단의 정적 신축(2005년 8월 28일~29일)=30,40,1
그림3.10. 금당교 고정단의 동적 거동=30,40,1
그림3.11. 금당교 가동단의 동적 거동=30,40,1
그림3.12. 삼승교 고정단의 신축(2004년 6월 10일~11일)=31,41,1
그림3.13. 삼승교 가동단의 신축(2004년 6월 10일~11일)=32,42,1
그림3.14. 삼승교 고정단의 신축(2004년 12월 16일~17일)=32,42,1
그림3.15. 삼승교 가동단의 신축(2004년 12월 16일~17일)=33,43,1
그림3.16. 삼승교 고정단의 신축(2005년 8월 27일~28일)=33,43,1
그림3.17. 삼승교 가동단의 신축(2005년 8월 27일~28일)=34,44,1
그림3.18. 삼승교 가동단의 동적 거동=34,44,1
그림3.19. 삼승교 고정단의 동적 거동=34,44,1
그림3.20. 금당교 신축이음장치의 유간 변화=35,45,1
그림3.21. 삼승교 신축이음장치의 유간 변화=36,46,1
그림4.1. 신형식 신축이음장치 개략도=37,47,1
그림5.1. 탄성콘크리트+Neoprene Seal 신축이음장치=50,60,1
그림5.2. 덕운육교 종평면도=51,61,1
그림5.3. 덕운육교 횡단면도=51,61,1
그림5.4. Mono Cell 신축이음장치 설치를 위한 블록 아웃 상세=52,62,1
그림5.5. 탄성콘크리트 신축이음장치 블록아웃 상세=52,62,1
그림5.6. 블록아웃 면청소=54,64,1
그림5.7. 탄성콘크리트 혼합=54,64,1
그림5.8. 탄성콘크리트 타설=54,64,1
그림5.9. 탄성콘크리트 단면=54,64,1
그림5.10. Neoprene Seal 접착제 도포=55,65,1
그림5.11. Neoprene Seal 설치완료=55,65,1
그림5.12. Transflex 신축이음장치 단면도=56,66,1
그림5.13. 고무판 및 앵커볼트 상세도=56,66,1
그림5.14. 오산IC교 전경(서울방향)=56,66,1
그림5.15. 신축이음장치 상태(서울방향)=56,66,1
그림5.16. 무수축 콘크리트의 열화상태=58,68,1
그림5.17. 탄성콘크리트 타설=58,68,1
그림5.18. 실리콘 주입=58,68,1
그림5.19. 실리콘 충진 신축이음장치=59,69,1
그림5.20. Neoprene Seal 신축이음장치=59,69,1
그림5.21. 신축이음 상태(부산방향)=60,70,1
그림5.22. 신축이음 상태(갓길, 부산방향)=60,70,1
그림5.23. 신축이음 상태(서울방향)=60,70,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