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 등]=0,1,2
위성영상을 이용한 3차원 산림재해 지도 제작 기법 개발=0,3,1
제출문=0,4,1
요약문=I,5,3
Summary=IV,8,1
Contents=V,9,3
The List Of Figures=VIII,12,2
The List Of Tables=X,14,1
목차=XI,15,3
그림 목차=XIV,18,2
표 목차=XVI,20,1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21,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3,23,1
제3장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4,24,1
1절 산림재해 지도제작을 위한 영상처리기법 개발=4,24,1
1. 연구 대상지=4,24,1
2. 위성영상의 해상도별 위치보정 및 정합기법 개발=5,25,1
가. 원격탐사의 개요=5,25,1
나. 위성영상 자료 처리=6,26,1
(1) 원격탐사 데이터의 기하학적 보정=6,26,4
(2) 이미지 정규화(Image Normalization)=9,29,2
3. 정사영상지도 제작을 위한 주제도 통합기법 개발=11,31,1
가. 주제도 통합을 위한 정사영상지도 제작=11,31,1
(1) RPC파일을 이용한 정사보정=11,31,5
(2) 정사영상 지도를 이용한 주제도 통합=16,36,1
2절 위성영상기반의 산림재해 분포도 작성 연구=17,37,1
1. 고해상 위성영상 기반의 산사태 공간 분포도 작성 연구=17,37,2
2. 중해상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불피해 분포도 작성기법 개발=19,39,1
가. 현지조사 자료를 이용한 산불피해지도 GIS DB 구축=19,39,2
나.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식생활력 분포도 작성=21,41,4
다. 식생활력 분포도를 이용한 산불피해지도 작성=24,44,3
3. GIS분석 기법을 활용한 산불 피해지 특성 분석=26,46,1
가. 산불 발생지 지형 특성 분석=26,46,3
나.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한 산불 발생지의 지표온도 분포도 작성=28,48,1
(1) 열적외선의 특성=28,48,4
(2)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한 산불피해지 지표온도 분포도 작성=32,52,3
4. 산림재해 지 역의 위성영상 자료의 분광특성=35,55,3
5. 산림재해 정보 구현을 위한 위성영상 표출기법 개발=38,58,1
가. 토지피복 분류=38,58,3
(1) 감독분류(Supervised Classification)=40,60,1
(가)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Classification ; MLC)=41,61,1
(나) 최단거리분류기법(Minimum Distance Classification ; MDC)=42,62,1
(다) Mahalanobis Distance Classification=42,62,2
(라) 평행육면체분류(Parallelepiped Classification)=43,63,1
(2) 무감독분류(Unsupervised Classification)=43,63,1
(가) ISODATA기법(Iterative Self Organizing Data Analysis Technique)=44,64,1
나. 감독분류를 이용한 울진군 토지피복 분류도 작성=45,65,5
다. 토지피복분류 정확도 평가=50,70,1
(1) 표본추출방법=50,70,1
(가) Simple Random Sampling=50,70,2
(나) Systematic Sampling=51,71,1
(다) Stratified Sampling=51,71,1
(2) 오차분석=51,71,2
(가) 전체정확도(Overall Accuracy)=52,72,1
(나) Kappa 계수=53,73,5
6. 산사태 발생 가능 위험지역 분포도 작성=58,78,1
가. 산사태 발생 가능 위혐지역 분포도 작성을 위한 GIS DB구축=58,78,1
(1) 사면방향=58,78,2
(2) 토양도=60,80,1
(3) 지질도=61,81,1
(4) NDVI(식생활력)=62,82,1
(5) 강우량 자료=63,83,2
나. GIS와 RS 분석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발생 가능 위험지역 분포도 작성=65,85,2
3절 산림재해 지도제작을 위한 영상처리기법 개발=67,87,1
1. 3차원 구현을 위한 해상도별 영상 Fusion 기법 개발=67,87,3
2. 산림재해별 공간정보의 3차원 구현기법 개발=70,90,2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72,92,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73,93,5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의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78,98,1
제7장 참고문헌=79,99,6
[그림 3-1] 연구 대상지=4,24,1
[그림 3-2] 원격탐사, 지도학, GIS 사이의 3방향 상호작용 모델(Dahlberg And Jenson(1986)=5,25,1
[그림 3-3] 위성영상 전처리 영상=9,29,1
[그림 3-4] 정사보정 수행 전과 수행 후 영상=15,35,1
[그림 3-5] 정사영상 지도를 이용한 주제도 통합=16,36,1
[그림 3-6] IKONOS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사태 공간 분포도=18,38,1
[그림 3-7] GIS DB 구축과정=19,39,1
[그림 3-8] 현지조사 자료를 이용한 등급별 산불피해 지도=20,40,1
[그림 3-9] 다양한 식생지수식을 이용한 산불피해지의 식생활력 분포도=23,43,1
[그림 3-10] 식생지수별 DN Value의 분포특성 분석=24,44,1
[그림 3-11] 등급별 산불피해 분포도=25,45,1
[그림 3-12] 산불피해지역의 지형 및 공간특성 분석=27,47,1
[그림 3-13] 원격탐사의 전자파 파장대 (※출처 : 김영섭 외, 1998)=28,48,1
[그림 3-14] 흑체 복사율 (※출처 : 이용식, 1990)=30,50,1
[그림 3-15] 분광 방사성과 복사 흐름도 (※출처 : 김영섭 외, 1998)=31,51,1
[그림 3-16] 산불피해전과 후의 지표온도 분포도=33,53,1
[그림 3-17] 산불 피해지 및 미 피해지의 분광 특성 그래프=37,57,1
[그림 3-18] 무감독 분류 흐름도(ISODATA 방법)=44,64,1
[그림 3-19] Landsat TM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도(1985.10.23)=46,66,1
[그림 3-20] 토지피복별 면적(1985.10.23)=46,66,1
[그림 3-21] Landsat TM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도(1994.5.9)=47,67,1
[그림 3-22] 토지피복별 면적(1994.5.9)=47,67,1
[그림 3-23] Landsat ETM+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도(2002.10.14)=48,68,1
[그림 3-24] 토지피복별 면적(2002.10.14)=48,68,1
[그림 3-25] 경년에 따른 울진군 토지피복 변화=49,69,1
[그림 3-26] 경년에 따른 울진군 토지피복 변화 그래프=49,69,1
[그림 3-27] 산사태 위험지도 제작을 위한 사면방향 주제도=59,79,1
[그림 3-28] 산사태 위험지도 제작을 위한 수치 정밀토양도=60,80,1
[그림 3-29] 산사태 위험지도 제작을 위한 수치 지질도=61,81,1
[그림 3-30] 산사태 위험지도 제작을 위한 NDVI 주제도=62,82,1
[그림 3-31] 산사태 위험지도 제작을 위한 사면방향 주제도=64,84,1
[그림 3-32] 산사태 발생 위험지역 분포도 작성=66,86,1
[그림 3-33] RGB와 IHS 색 체계를 이용한 영상융합=68,88,1
[그림 3-34] 영상강조 기법을 이용한 영상융합=69,89,1
[그림 3-35] IKONOS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한 3차원 산사태 피해지도 작성=70,90,1
[그림 3-36] Landsat TM자료를 이용한 3차원 산불피해지도 작성=71,91,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