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요약문=i,3,4

본문차례=v,7,3

표차례=viii,10,1

그림차례=ix,11,2

I. 서론=1,13,1

1. 연구 배경=1,13,2

2. 연구 추진 내용 및 범위=2,14,2

3. 연구 추진 방법=3,15,2

II. 아크 방전의 물리적 특성=5,17,1

1. 아크방전의 특징과 구성=5,17,1

가. 아크방전의 특성=5,17,2

나. 아크방전의 구성=6,18,2

2. 활선작업에서의 아크방전=7,19,1

가. 전력선로=7,19,5

나. 밀폐 아크=12,24,2

다. 한류 아크=13,25,2

라. 차단 아크=14,26,3

III. 난연성 작업복의 사용 및 제조실태=17,29,1

1. 난연성 작업복 관련 국내외 실태=17,29,1

가. 작업복 제조 또는 유통업체 실태=17,29,3

나. 원료/원사 제조업체=19,31,1

다. 각 회사별 물질의 특성=19,31,13

2. 난연성 작업복 사용 실태조사 : 부분위탁=31,43,1

가. 개요=31,43,2

나. 결과 분석=32,44,2

IV. 관련규격의 현황 및 장ㆍ단점 분석=34,46,1

1. 관련규격의 현황=34,46,1

가. KS 규격=34,46,1

나. IEC 규격=34,46,1

다. ISO 규격=35,47,1

라. ASTM 규격=35,47,2

마. EN 규격=37,49,2

바. 기타 규격=38,50,1

2. 시험방법의 비교 및 분석=38,50,1

가. 주요 분석내용=38,50,1

나. 시험규격의 비교표=39,51,8

3. 시험장비의 벤치마킹 : 부분위탁=47,59,1

가. 국내 성능평가 방법=47,59,1

나. 국내 시험기기=47,59,2

다. 국외 성능평가 방법=48,60,1

라. 국외 시험기기=48,60,3

V. 성능검정 규격(안)=51,63,1

1. 성능검정 규격(안)=51,63,1

가. 성능검정 규격(안)의 작성 배경=51,63,1

나. 성능검정 규격(안)의 구성=51,63,2

다. 성능검정 규격(안)의 특징=52,64,1

2. 검정 도입시의 제반 문제점=53,65,1

가. 도입시의 제반 문제점=53,65,2

나. 시험에 관련된 기술 사항=55,67,2

다. 시험시 안전조치 사항=56,68,2

VI. 사용전압별 및 작업환경별 위험기준 : 부분위탁=58,70,1

1. 국내 기준=58,70,1

2. 국외 기준=58,70,3

VII. 결론=61,73,2

참고문헌=63,75,4

부록1. 전문가 자문회의 내용=67,79,6

부록2. 전기 작업자용 난연성 작업복의 성능검정 규격(안)=73,85,44

부록3. 부분위탁 연구 최종보고서 - 전문=117,129,4

차례=121,133,2

I. 서론=123,135,1

1. 연구 배경=123,135,3

2. 연구 추진 내용 및 범위=125,137,1

II. 전기작업자용 난연성 작업복의 사용실태조사=126,138,1

1. 국내 실태 조사=126,138,1

가. 전기공사업체 설문조사=127,139,8

나. 국내 전력회사 협력 업체=134,146,8

다. 송배전관련 업체 방문 조사=141,153,4

2. 국외 실태 조사=144,156,1

가. OSHA(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144,156,2

나. 미국의 전력 및 공사업체=145,157,2

다. 미국 샘프라 에너지 회사=146,158,2

III. 사용전압별 및 작업환경별 위험기준의 비교 및 분석=148,160,1

1. 국내 규정=148,160,7

2. 국외 규정=155,167,1

가. OSHA(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155,167,1

나. NFPA(The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156,168,18

IV. 성능시험 방법 및 분석=174,186,1

1. 국내 성능평가 방법=174,186,1

가. 시험방법=174,186,3

나. 시험기기=176,188,3

2. 국외 성능평가 방법=179,191,1

가. 수직화염 시험법(화염 저항)(Vertical Flame Test)=179,191,4

나. 열적보호수행 시험법(TPP;Thermal Protective Performance Test)=182,194,5

다. Thermo-man 시험법=186,198,5

라. 전기아크 시험법(Electric Arc Test, Arc Resistance)=190,202,3

V. 결론=193,205,3

참고문헌=196,208,1

부록 : "난연성 작업복의 성능 기준 연구" 설문지=197,209,5

Abstract=202,214,1

[판권지]=203,215,1

표차례

(표III-1) 난연성 작업복 제조업체 목록=17,29,1

(표III-2) 난연성 작업복 원료/원사 제조업체 목록=19,31,1

(표III-3) 난연성 시험결과=23,35,1

(표III-4) 일반적인 물적 특성=30,42,1

(표IV-1) 위험카테고리 분류=59,71,1

(표IV-2) 위험도에 따른 최소 아크정격=60,72,1

그림차례

(그림II-1) 아크방전의 구성=7,19,1

(그림II-2) 교류 아크에 의한 금속의 용손=8,20,1

(그림II-3) 공기 중 교류아크의 이동 특성=9,21,1

(그림II-4) 수직 수선 배치의 봉전극에 발생된 교류 아크의 아크 체 길이=10,22,1

(그림II-5) 아크 소호후의 절연회복 특성에 미치는 전극배치의 영향=11,23,1

(그림II-6) 대전류 아크 소호후의 절연회복 특성=11,23,1

(그림II-7) 공기 중 대전류 아크의 에너지 변환 효율의 전류 의존성=12,24,1

(그림II-8) SF6이 봉입된 밀폐용기내의 교류 대전류 아크에 의한 압력상승(이미지참조)=13,25,1

(그림II-9) 아크 주행특성을 이용한 한류기의 다단 분기식 전류소자의 형식과 동작원리=14,26,1

(그림II-10) 절연재료에 의한 절연파괴전압 회복특성=16,28,1

(그림III-1) 난연성 작업복 - 여름용=18,30,1

(그림III-2) 난연성 작업복 - 겨울용=18,30,1

(그림III-3) 난연성 작업복 - 방한용=19,31,1

(그림III-4) 난연성 시험사진-1=21,33,1

(그림III-5) 난연성 시험사진-2=22,34,1

(그림III-6) 난연성 시험결과 그래프=23,35,1

(그림III-7) 난연성 시험사진-3=24,36,1

(그림III-8) 제전 방염복 - 예=26,38,1

(그림III-9) 폭발대비용 작업복 - 예=27,39,1

(그림III-10) 방화 방염 작업복 - 예=28,40,1

(그림III-11) Arc FIash Protective CIothing - 예=28,40,1

(그림III-12) Arc FIash Protective CIothing - 예=29,41,1

(그림IV-1) 연소시험기(45˚법)=48,60,1

(그림IV-2) 수직화염 시험장치=49,61,1

(그림IV-3) TPP Tester=49,61,1

(그림IV-4) Thermo-man을 이용한 시험장치=50,62,1

(그림IV-5) 전기아크 시험장치=50,62,1

(그림V-1) 서멀 마네킹 외형 및 내부=56,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