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목차=0,3,3
(표차례)=0,6,3
(그림차례)=0,9,2
I부 과업의 개요=1,11,1
제1장 과업의 개요=1,11,1
1. 배경 및 목적=1,11,1
II부 국제철도에 대한 시각의 정립과 운영필요성 확인=2,12,1
제2장 역사적 측면에서 본 한국철도의 국제적 성격=2,12,1
1. 머리말=2,12,1
2. 국제역학의 영항을 받아 형성된 간선철도망=2,12,21
3. 철도경영에서 강조된 국제간선으로서의 역할=23,33,21
제3장 동북아 철도망의 전략자원 수급 및 지역 외교 파급효과=44,54,1
1. 동북아 전략자원 수급 현황=44,54,12
2. 동북아 철도망과 한국의 전략자원 수급=55,65,11
제4장 정치 사회 측면에서의 동북아 철도망의 기회와 과제=66,76,1
1. 시베리아 횡단 교통로에 대한 사적 고찰=66,76,1
2. TSR-TKR 연결과 관련된 러시아의 정책=66,76,2
3. TSR-TKR 연결과 관련된 중국의 정책=67,77,1
4. TSR-TKR 연결과 관련된 북한의 정책=67,77,1
5. TSR-TKR 연결과 관련된 한국의 정책=67,77,2
제5장 북미지역 대륙철도운송과 복합운송의 현황과 시사점=69,79,1
1. 철도운송의 지형적 여건=69,79,1
2. 철도 복합운송의 발전과정=69,79,3
3. 북미지역의 랜드브리지(Landbridge) 현황=71,81,1
4. 북미지역의 철도회사 현황=72,82,1
5. 북미지역의 대륙철도운송에서의 시사점=72,82,1
제6장 최근의 대륙철도추진상황=73,83,1
1. 주요 관련연구=73,83,4
2. 철도연결을 위한 한국측의 준비상황=76,86,2
3. 국제철도 관련한 주목할만한 발전들=77,87,2
4. 남북철도 연결의 문제점=79,89,1
5. 주요 고려사항=80,90,2
제7장 북한의 철도시설 현황 및 남북한 철도 비교=82,92,1
1. 북한내 철도=82,92,5
2. 남북한 철도 비교=87,97,3
3. 남북한 연결철도 현황 및 시설능력 분석=89,99,3
제8장 러시아 철도현황=92,102,1
1. 철도개관=92,102,5
2. 철도조직=97,107,4
3. 여객 및 화물운송=100,110,5
4. 신선건설 및 기존선 개량=104,114,2
5. 러시아 구조개혁=106,116,2
6. 러시아 철도운송의 구조개혁 중요성=107,117,1
7. 러시아 철도산업의 구조개혁의 주요 선결사항, 목적과 문제점=108,118,2
8. 철도산업에 있어서 구조개혁의 주요 경향=109,119,2
9. 러시아 철도개혁에 있어서 조직적 단계=110,120,2
10. 철도구조개혁 실행을 위한 원칙들=111,121,2
11. 러시아철도부(MPS)의 구조조정 및 사유화=112,122,5
12. 최근 러시아와 동유럽 국가간의 철도이용 활성화 논의=116,126,4
제9장 중국 및 우리나라의 철도구조개혁=120,130,1
1. 중국 철도는 시설운영 분리에 의한 주요 구조개혁을 고려=120,130,2
III부 수요검토=122,132,1
제10장 동북아 철도망의 화물 수요(기존 예측의 종합화)=122,132,1
1. 통일대비 남북한 종합교통망 구축 계획, 교통개발연구원(KOTI), 1998=122,132,4
2. 남북한 교통망연결을 위한기초조사, 교통개발연구원(KOTI), 2000년=126,136,8
3. 남북한간 교통ㆍ물류체계 정비 확충방안(1단계) 교통개발연구원, 2001년=134,144,6
4. TAR 활용을 통한 국제복합운송망 구축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8년=139,149,6
5. TAR연구보고를 근거로 한 철도기술연구원의 추정, 2001=145,155,2
6. 기존 국제철도의 수요예측에 관한 연구결과에(4건) 대한 검토=147,157,1
IV부 추진방향=148,158,1
제11장 수도권지역의 간선철도 연계망 개선방안=148,158,1
1. 서론=148,158,1
2. 수도권 철도망 관련 상위계획 검토=149,159,10
3. 국가 간선 여객철도의 수도권역사와 연계망=158,168,4
4. 연계망 구축 기본방향=161,171,14
5. 수도권 기간 여객철도 연계망 관련 향후 정책방향=174,184,3
6. 향후 보완 내용=176,186,1
제12장 지역간 철도 시설 향후 정책방향=177,187,2
제13장 국제철도시대에 대비한 기술적 대응전략=179,189,1
1. 서론=179,189,1
2. 궤간에 대한 검토=179,189,8
3. 기타 시설에 관한 검토=186,196,9
4. 단계별 기술적ㆍ운영적 대응전략=194,204,4
제14장 국제철도망 연결과 철도운영=198,208,1
1. 북한 철도수송 현황=198,208,4
2. 경의선 운행현황=202,212,2
3. 남북한 철도 연결효과 및 TSR/TCR 연계시 운영방향=203,213,8
4. TKR의 TSRㆍTCR 연결시 장단점=210,220,5
5. 대륙철도운영시 고려사항=214,224,6
6. 철도역 운영 방안=219,229,4
7. 대륙철도 연결시 광궤화 추진의 문제점=222,232,3
제15장 국제철도기구와 협약내용검토=225,235,1
1. 국제철도기구=225,235,8
2. 대륙철도화물수송에 있어 화물협약=232,242,12
3. 화물협정과 관련한 우리의 전략=243,253,2
4. TCR관련내용=244,254,5
제V부 운영의 기대효과=249,259,1
제16장 기대효과=249,259,1
1. 남북간/한러간 경제협력을 촉진=249,259,1
2. 유라시아 대륙철도망 구축의 주도권 획득=249,259,2
제17장 추가 연구사항=251,261,1
1. 중간보고 후 추가적인 연구 항목=251,261,2
(부록) SMGS(국제화물 운송협정)=253,263,121
(그림2-1) 일제강점 말기까지 한국철도망의 확산과정=22,32,1
(그림2-2) 산형유붕의 한국종관철도부설 구상도(1911년)=28,38,1
(그림2-3) 일본과 러시아의 철도수송에 의한 병력집중 비교도=29,39,1
(그림2-4) 주요간선철도의 수송능력(1943년 3월 현재)=42,52,1
(그림5-1) 미국의 2단적열차(DST) 노선도=70,80,1
(그림5-2) 북미지역 랜드브리지=71,81,1
(그림6-1) 중국의 철도 부설 계획=78,88,1
(그림7-1) 북한내 주요 철도망=82,92,1
(그림7-2) 남북한간 단절구간 철도연결 추진 현황(2001년 11월말 현재)=90,100,1
(그림8-1) 대륙철도 노선망도=93,103,1
(그림8-2) 러시아 일반 운송수단에서 철도 분담율=94,104,1
(그림8-3) 러시아 철도의 화물 운송추이 및 비중 (단위 : 백만톤)=103,113,1
(그림8-4) 동유럽 국가와 러시아의 철도협력=117,127,1
(그림8-5) 러시아의 철도=118,128,1
(그림11-1) 수도권 전철망계획(안)=153,163,1
(그림11-2) 제3기 지하철 노선도=154,164,1
(그림11-3) 경기 순환철도망 계획(안)=155,165,1
(그림11-4) 고속철도 노선망 개요=159,169,1
(그림11-5) 고속철도 강남분산역 검토(안)=160,170,1
(그림11-6) 수도권 전철 노선현황과 계획=164,174,1
(그림11-7) 1호선 선로추가 대안=166,176,1
(그림11-8) 1호선 계획당시 계획배선(복복선을 예상하고 설계)=167,177,1
(그림11-9) 1호선 계획당시 복복선을 고려한 정거장 단면도=167,177,1
(그림11-10) 지하철 1호선 복복선을 위한 청량리 정거장 설치방안=169,179,1
(그림11-11) 남대문 구간 통과 안=170,180,1
(그림11-12) 동대문 구간 통과 방안=170,180,1
(그림12-1) 동해선 활용을 위한 교통축 및 환적지점 제안=178,188,1
(그림13-1) 이중궤간(복합궤간)=182,192,1
(그림13-2) 환적시설=183,193,1
(그림13-3) 대차교환시설=183,193,1
(그림13-4) 대차교환설비=184,194,1
(그림13-5) 스페인에서 개발된 화차용 궤간가변시스템=185,195,1
(그림13-6) Talgo의 궤간가변 시험 모습=185,195,1
(그림13-7) 일본의 궤간가변시스템 메카니즘=186,196,1
(그림13-8) 중국의 적재한계=189,199,1
(그림13-9) 러시아의 적재한계=189,199,1
(그림13-10) 남한의 적재한계=190,200,1
(그림13-11) 러시아의 제동호스=191,201,1
(그림13-12) 중국화차 연결기 모양(국내연결기와 형상이 유사함)=192,202,1
(그림13-13) 러시아화차 연결기 모양=192,202,1
(그림13-14) 중국과 러시아 화차 연결시 필요한 어댑터=193,203,1
(그림14-1) 북한철도 노선현황=199,209,1
(그림14-2) 북한의 국제열차 운행 노선=200,210,1
(그림14-3) 북/중, 북/러 국제열차 운행노선=200,210,1
(그림14-4) 경의선 노선 개략도=202,212,1
(그림14-5) 경의선 연결시 대륙철도와의 연계노선=204,214,1
jpg
(그림8-2) 러시아 일반 운송수단에서 철도 분담율=94,108,1
(그림11-1) 수도권 전철망계획(안)=153,167,1
(그림11-4) 고속철도 노선망 개요=159,173,1
(그림12-1) 동해선 활용을 위한 교통축 및 환적지점 제안=178,192,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