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1
요약문=2,3,3
Summary=5,6,2
Contents=7,8,3
목차=10,11,4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4,15,1
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14,15,1
1. 기술적 측면=14,15,1
2. 경제ㆍ산업적 측면=14,15,2
3. 사회ㆍ문화적 측면=15,16,1
제2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15,16,1
1. 최종목표=15,16,1
2.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15,16,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7,18,1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8,19,1
제1절 연구수행의 방법=18,19,1
1. 동, 서, 남해의 부착규조류 발생 특성=18,19,1
가. 실험설치 및 Sampling=18,19,2
나. 실험 지역 해수의 계절별 환경조사=19,20,2
다. 부착 규조류 발생조사=20,21,1
라. 부착미세조류의 색소분석=20,21,2
마. 부착 규조류 영양분석=21,22,1
2. 부착 규조류의 분리와 유전자 분석=21,22,2
가. Genomic DNA 분리=22,23,1
나. RAPD-PCR=22,23,2
다. 유사도 측정=23,24,1
3. 부착규조류의 부착률과 성장률 조사=23,24,2
4. Tigriopus Japonicus를 대상으로 한 부착 규조류의 먹이효율 분석=25,26,2
5. 참전복 유생 및 치패 실험=26,27,6
6. 부착 규조류 대량 배양 개발=31,32,1
가. 배양환경에 따른 부착 규조의 성장실험=31,32,1
(1) 온도와 염분에 따른 부착규조의 성장실험=31,32,2
(2) 온도와 조도에 따른 부착규조의 성장실험=32,33,1
나. 부착 기질에 따른 부착 규조의 부착력 조사=32,33,2
다. 부착 기질의 면적에 따른 부착 규조의 부착률 조사=33,34,1
라. 부착 규조의 혼합 배양 시 종간 경쟁 및 천이 조사 실험=33,34,2
마. CO₂ 공급 여부와 공급 시간에 따른 부착 규조의 성장조사=34,35,2
바. 농업비료를 이용한 경제적 배지 개발=35,36,1
사. 부착생태에 따른 재 부착률=35,36,2
7. 부착미세조류의 농축 및 저장기술 개발=36,37,1
가. 미세조류의 농축기술 개발=36,37,1
나. 농축 미세조류의 저장기술 개발=36,37,2
다. 저장한 미세조류의 재접종을 통한 성장 조사=37,38,1
라. 농축미세조류의 시제품 개발=38,39,1
8. 기술 이전 및 산업화를 위한 Pilot 규모의 전복종묘 생산=38,39,2
9. 통계처리=39,40,1
제2절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39,40,1
1. 동서남해의 부착규조류 발생 특성=39,40,1
가. 해수의 계절별 환경조사=39,40,1
(1) 수온, 염분, pH=39,40,2
(2) 영양염=40,41,2
나. 부착규조류 발생조사=42,43,1
(1) 부착규조류 정성분석=42,43,3
(2) 부착규조류 정량분석=44,45,3
(3) 우점종의 크기별 분포=46,47,4
다. 색소분석=49,50,1
(1) 각 계절별, 지역별 전체 색소량 비교=49,50,2
(2) 수온과 각 계절별, 지역별 색소량의 비교=51,52,1
(3) 색소별 색소량의 계절별, 지역별 비교=52,53,2
라. 부착규조류 영양분석=53,54,1
(1) 부착규조류 아미노산분석=53,54,6
(2) 부착규조류 지방산 분석=58,59,6
2. 부착 규조류의 분리와 유전자 분석=63,64,11
3. 부착규조류의 부착률과 성장률 조사=73,74,6
4. Tigriopus Japonicus를 대상으로 한 부착 규조류의 먹이효율 분석=79,80,4
5. 참전복 유생 및 치패 실험=82,83,1
가. 참전복 유생의 부착률, 변태율, 생존율 및 성장률=82,83,24
6. 부착규조류의 대량 배양을 위한 실험=105,106,1
가. 부착규조류의 배양환경에 따른 부착 실험=105,106,1
(1) 온도와 염분, 조도에 따른 부착규조의 성장 실험=105,106,7
나. 부착 규조의 부착 기질에 따른 부착력 조사=111,112,3
다. 부착 기질의 면적에 따른 부착 규조의 부착률 조사=113,114,1
라. 부착 규조의 혼합 배양 시 종간 경쟁 및 천이 조사 실험=114,115,3
마. CO₂ 공급 여부에 따른 부착 규조의 성장조사=117,118,2
바. 농업비료를 이용한 경제적 배지개발=118,119,2
사. 미세조류의 부착생태 및 수확 기술 개발=120,121,1
7. 미세조류의 농축 및 저장기술 개발=120,121,1
가. 미세조류의 농축기술 개발=120,121,4
나. 농축된 미세조류의 저장기술 개발=123,124,1
(1) Caloneis Schroederi=123,124,3
(2) Raphoneis sp.=125,126,1
(3) Tetraselmis Suecica=125,126,6
다. 저장한 미세조류의 재접종을 통한 성장 조사=130,131,4
라. 농축미세조류의 시제품 개발=133,134,1
8. 기술 이전 및 산업화를 위한 Pilot 규모의 전복종묘 생산=133,134,1
가. 참전복 유생 및 치패의 생존 및 성장=133,134,9
나. 생물 종조성=141,142,11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152,153,1
제1절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152,153,1
제2절 관련분야에의 기여도=152,153,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154,155,1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155,156,1
제7장 참고문헌=156,157,2
Appendix 1. Occurrence Of Benthic Microalgae By Area And Season=158,159,29
Appendix 2. Occurrence Of Organism From Plastic Plate And Bottom And Surface Water In The Culture Tank Of Abalone Larvae And Spats=187,188,26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2
Abstract=2,3,3
Summary=5,6,2
Contents=7,8,7
Chapter 1. Introduction Of The Research=14,15,1
1. Necessity Of The Research=14,15,1
Technical Aspects=14,15,1
Economic And Industrial Aspects=14,15,2
Social And Cultural Aspects=15,16,1
2. Purpose Of The Research=15,16,1
Final Purpose=15,16,1
Content And Scope=15,16,2
Chapter 2. Present Status Of Home And Abroad Technique=17,18,1
Chapter 3. Contents And Results Of The Research=18,19,1
1. Method And Materials=18,19,1
(1) Faeture Of Benthic Diatom Bloom In East, West And South-West=18,19,1
Sampling=18,19,2
Water Quality Analysis=19,20,2
Occurrence Of Benthic Diatom=20,21,1
Pigment Analysis=20,21,2
Nutrient(Amino Acids And Fatty Acids) Analysis=21,22,1
(2) Isolation Of Benthic Diatom And DNA Analysis=21,22,2
Genomic DNA=22,23,1
RAPD-PCR=22,23,2
Similarity=23,24,1
(3) Adhesion And Growth Of Benthic Diatom=23,24,2
(4) Reproductive Rate Of Tigriopus Japonicus=25,26,2
(5) Larvae And Spat Culture Of Abalone=26,27,6
(6) Developement For Mass Culture Of Benthic Diatom=31,32,1
Optimum Environmental Factors For Growth Of The Diatom=31,32,2
Adhesion By The Material Of Subtratum=32,33,2
Adhesion By The Dimension Of Subtratum=33,34,1
Interspecific Succession In Mixed Culture Of The Diatom=33,34,2
Growth With CO₂ Supply=34,35,2
Media With Agricultural Fertilizer=35,36,1
Adhesion By Pre-Adhesion Feature=35,36,2
(7) Concentration And Storage Of Benthic Diatom=36,37,1
Concentration Of The Diatom=36,37,1
Storage Of Concentrated Diatom=36,37,2
Growth Of Concentrated Diatom=37,38,1
Development Of Commercial Concentrated Diatom=38,39,1
(8) Technology Transfer For Industrialization=38,39,2
(9) Statistisal Analysis=39,40,1
2. Results And Discussion=39,40,1
(1) Faeture Of Benthic Diatom Bloom In East, West And South-West Coast=39,40,1
Water Quality Analysis=39,40,3
Occurrence Of Benthic Diatom=42,43,8
Pigment Analysis=49,50,5
Nutrient(Amino Acids And Fatty Acids) Analysis=53,54,11
(2) Isolation Of Benthic Diatom And DNA Analysis=63,64,11
(3) Adhesion And Growth Of Benthic Diatom=73,74,6
(4) Reproductive Rate Of Tigriopus Japonicus=79,80,4
(5) Larvae And Spat Culture Of Abalone=82,83,24
(6) Developement For Mass Culture Of Benthic Diatom=105,106,1
Optimum Environmental Factors For Growth Of The Diatom=105,106,7
Adhesion By The Material Of Subtratum=111,112,3
Adhesion By The Dimension Of Subtratum=113,114,1
Interspecific Succession In Mixed Culture Of The Diatom=114,115,3
Growth With CO₂ Supply=117,118,2
Media With Agricultural Fertilizer=118,119,2
Adhesion By Pre Adhesion Feature=120,121,1
(7) Concentration And Storage Of Benthic Diatom=120,121,1
Concentration Of The Diatom=120,121,4
Storage Of Concentrated Diatom=123,124,8
Growth Of Concentrated Diatom=130,131,4
Development Of Commercial Concentrated Diatom=133,134,1
(8) Technology Transfer For Industrialization=133,134,1
Survival And Growth Of Abalone Larvae And Spat=133,134,9
Composition Of Benthic Diatom=141,142,11
Chapter 4. Purpose Achievement And Contribution In Related Field=152,153,1
1. Purpose Achievement=152,153,1
2. Contribution In Related Field=152,153,2
Chapter 5. Application Plan Of The Results=154,155,1
Chapter 6. Collected Technical Informations From Abroad=155,156,1
Chapter 7. References=156,157,2
Appendix 1. Occurrence Of Benthic Microalgae By Area And Season=158,159,29
Appendix 2. Occurrence Of Organism From Plastic Plate And Bottom And Surface Water In The Culture Tank Of Abalone Larvae And Spats=187,188,2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