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1

요약문=2,3,12

Summary=14,15,4

Contents=18,19,1

목차=19,20,4

제1장 서론=23,24,3

제2장 어류 종묘생산 기술개발=26,27,1

제1절 서론=26,27,2

제2절 재료 및 방법=27,28,1

1. 말쥐치=27,28,1

가. 산란유도 방법 개발=27,28,2

나. 환경조절에 의한 조기 성 성숙 유도=28,29,1

다. 수정난 대량 확보기술개발=28,29,1

라. 노지에서 자, 치어의 초기먹이 선호도 조사=28,29,2

마. 육상 수조 및 노지에서 종묘생산=29,30,1

1) 육상수조를 활용한 종묘생산=29,30,1

2) 노지를 활용한 종묘생산=29,30,2

바. 친어의 시험구와 대조구간 성숙비교=30,31,2

사. 종묘생산성 평가=31,32,1

아. 어체 일반성분 분석=31,32,1

2. 참돔=31,32,1

가. 육상수조 및 노지에서 종묘생산=31,32,1

나. 육상수조 및 노지종묘의 기형률 조사=31,32,2

다. 어체일반 성분 분석=32,33,1

라. 노지를 활용한 대량종묘생산=32,33,1

마. 종묘생산성 평가=32,33,1

3. 노지양식장을 이용한 말쥐치 및 참돔의 대량종묘생산 기술 구축=32,33,2

제3절 결과 및 고찰=33,34,1

1. 말쥐치=33,34,1

가. 산란유도 방법 개발=33,34,1

1) 산란유도 호르몬 처리=33,34,2

2) 자연산란유도=34,35,2

3) 부화 및 종묘생산=35,36,4

4) 양식생물학적 기초연구=38,39,1

가) 동물플랑크톤(해수노지에서 양수, 우점종 : 요각류)=38,39,1

나) 규조 및 클로렐라로 조성된 사육환경=39,40,1

다) 클로렐라 + Rotifer=39,40,3

나. 환경조절에 의한 조기 성 성숙 유도=41,42,2

다. 수정난 대량확보 기술개발=43,44,1

라. 노지에서 자, 치어의 초기 먹이 선호도 조사=43,44,2

마. 육상 수조 및 노지에서 종묘생산=44,45,1

1) 육상수조에서의 종묘생산=44,45,5

2) 노지를 활용한 대량종묘생산=49,50,2

바. 친어의 시험구와 대조구간 성숙비교=50,51,4

사. 종묘생산성 평가=53,54,2

아. 어체 일반성분 분석=54,55,1

2. 참돔=54,55,1

가. 육상수조 및 노지에서 종묘생산=54,55,2

나. 육상수조 및 노지종묘의 기형률 조사=55,56,2

다. 어체일반 성분 분석=56,57,3

라. 노지를 활용한 대량 종묘 생산=58,59,3

마. 종묘생산성 평가=61,62,1

3. 노지양식장을 이용한 말쥐치 및 참돔의 대량종묘생산 기술 구축=61,62,5

제3장 생태학적 조사 및 환경친화적 노지양식 시스템 개발=66,67,1

제1절 서론=66,67,2

제2절 재료 및 방법=68,69,2

1. 양식장 수질 및 저서환경 조사=69,70,1

가. 연안수 및 양식장 수질환경조사=69,70,1

나. 양식장 내 저서동물의 종조성, 출현량 및 우점종 조사=69,70,1

다. 수질 및 저서환경 변화조사=69,70,2

2. 유기질 비료 시비에 따른 환경 변화 조사=70,71,1

가. 유기질 및 화학비료 시비에 따른 동,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 출현량 및 우점종 조사=70,71,2

나. 동,식물 플랑크톤의 변화 조사=71,72,2

다. 유기질비료의 시비방법 및 적정 처리농도 구명=72,73,1

라. 최적 유기질 비료 시비에 따른 생산성 평가=72,73,1

3. 환경친화적 노지양식 시스템 개발=72,73,1

가. 생산성 증대를 위한 환경 친화적 시스템 개발=72,73,1

나. 노지 양식장의 생태학적 관리모델 구축=72,73,2

제3절 결과 및 고찰=74,75,1

1. 양식장 수질 및 저서환경 조사=74,75,1

가. 연안수 및 양식장 수질환경조사=74,75,1

1) 수온변화=74,75,2

2) pH, DO, Salinity 및 염양염 변화=75,76,12

나. 양식장 내 저서동물의 종조성, 출현량 및 우점종 조사=86,87,2

다. 수질 및 저서환경 변화조사=87,88,1

2. 유기질 비료 시비에 따른 환경 변화 조사=88,89,1

가. 유기질 및 화학비료 시비에 따른 동,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 출현량 및 우점종 조사=88,89,1

1) 동물플랑크톤의 개체밀도 분포=88,89,6

2) 실험기간 출현한 Copepods 및 Copepods Nauplius 변동량=94,95,2

3) 동물플랑크톤의 개체밀도 분포=95,96,1

4) 말쥐치 종묘생산 노지(A, E, F)=96,97,2

5) 참돔 종묘생산 노지(1-A, B, C, E, F)=98,99,5

6) 식물플랑크톤의 출현종 및 밀도=102,103,1

나. 동, 식물플랑크톤의 변화조사=102,103,2

다. 유기질 비료의 시비방법 및 적정 처리농도 구명=103,104,2

라. 최적 유기질 비료 시비에 따른 생산성 평가=104,105,2

3. 환경친화적 노지양식 시스템 개발=106,107,1

가. 생산성 증대를 위한 환경 친화적 시스템 개발=106,107,1

나. 노지 양식장의 생태학적 관리모델 구축=106,107,2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기대효과=108,109,1

1. 연도별 연구개발 목표 및 달성도=108,109,1

2. 기대효과=109,110,1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110,111,1

1. 활용방안=110,111,1

2. 연구성과 활용=110,111,2

3. 활용계획=111,112,1

제6장 참고문헌=112,113,2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14

Summary=14,15,4

Contents=18,19,5

Chapter1. Introduction=23,24,3

Chapter2. Development Of Seed Production Techniques Of Filefish And Red Seabream=26,27,1

1. Introduction=26,27,2

2. Materials And Methods=27,28,7

3. Results And Discussion=33,34,33

Chapter3. Ecological Analysis Of Experimental Ponds And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Friendly Pond Culture System=66,67,1

1. Introduction=66,67,2

2. Materials And Methods=68,69,6

3. Results And Discussion=74,75,34

Chapter4. Achievement And Expectable Effects Of The Research=108,109,2

Chapter5. Application Plans Of The Results=110,111,2

Chapter6. References=112,1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