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i,2,2
보고서 초록=iii,4,2
요약문=v,6,2
Summary=vii,8,2
Contents=ix,10,2
목차=xi,12,2
표목차=xiii,14,2
그림목차=xv,16,1
제1장 서론=1,17,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1,17,3
2. 선행연구 고찰=3,19,2
3. 기술혁신의 전주기적 과정에 대한 고찰=4,20,11
제2장 환경변화 및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역할 방향=15,31,1
1. 국내외 기술혁신 환경변화=15,31,13
2. 환경변화에 따른 정부의 정책대응 : 기술혁신 관점=27,43,5
3. 정부의 연구개발 정책ㆍ사업 변천=31,47,5
4. 시사점 및 과학기술부 연구개발사업의 역할 설정=36,52,7
제3장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현황=43,59,1
1.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시대적 변천=43,59,5
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주요 부처별/사업별 추진현황=48,64,35
제4장 선진국들에서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구성=83,99,1
1. 미국의 국가연구개발사업 구성=83,99,5
2. 일본의 국가연구개발사업 구성=88,104,6
3. EU의 국가연구개발사업 구성 : Framework Program=93,109,5
4. 독일의 국가연구개발사업 구성=97,113,2
5. 선진국 국가연구개발사업 구성에서의 시사점=98,114,2
제5장 과학기술부 사업구조 및 추진체계 개선 방향=100,116,1
1. 과학기술행정체제 개편에 따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구조변화=100,116,3
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영역 및 추진 방향=102,118,3
3. 과학기술부 연구개발사업의 담당 영역=104,120,6
4. 과학기술부 연구개발사업구조의 개선 방향=110,126,5
제6장 과학기술부 사업구조 및 추진체계 개선을 위한 전략적 기획 로드맵=115,131,1
1. 과학기술부 투자모형(MOST Investment Model)=115,131,4
2. 과학기술부 연구개발사업의 개선을 위한 전략적 기획=118,134,2
3. 과학기술부 연구개발사업의 개선을 위한 로드맵=120,136,2
제7장 결론 및 제언=122,138,2
참고문헌=124,140,3
부록 1 : 2004년 부처별/기능별 연구개발예산분포=127,143,1
부록 2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산 추이=128,144,4
부록 3 : 각 부처의 연구개발사업 목록=132,148,32
[그림1-1] 본 연구의 흐름도=2,18,1
[그림1-2] 선형혁신과정으로서 지식의 변환 과정=6,22,1
[그림1-3] 지식의 가치화 변환=12,28,1
[그림1-4] 점진적 기술진보를 위한 제품 혁신주기=13,29,1
[그림2-1] 파스퇴르형 연구 육성=38,54,1
[그림2-2] 국가전략적 대형 시즈(seeds) 연구 담당=40,56,1
[그림2-3] 첨단기술융합 연구 역할 강화=41,57,1
[그림3-1] 주요 4대 부처의 국가연구개발 사업구조=81,97,1
[그림4-1] 미국의 부처별 혹은 자금배분기관별 담당영역=84,100,1
[그림4-2] 문부과학성 소관의 과학연구비보조금의 지원프로그램의 구성=90,106,1
[그림4-3] 과학기술시책연대군 창설의 추진상황=91,107,1
[그림5-1] 아이디어에서 혁신까지 단계별 장벽=105,121,1
[그림5-2] 아이디어에서 혁신으로의 단계별 연구=106,122,1
[그림5-3] 순수기초연구과 목적기초연구의 차이=106,122,1
[그림5-4] 액정의 발견부터 실용화 사례=107,123,1
[그림5-5] 레이저의 원리에서부터 실용화=108,124,1
[그림5-6] 과학기술부 연구개발사업구조의 개선방향=112,128,1
[그림5-7]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지원 가능한 범위=113,129,1
[그림6-1] 과학기술부의 연구개발투자모형=115,131,1
[그림6-2] 신규프로그램 기획과 운영을 위한 로드맵=118,134,1
[그림6-3] 향후 연구개발사업 포트폴리오 변환을 위한 로드맵=121,137,1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7
Summary=vii,8,2
Contents=ix,10,7
I. Introduction=1,17,1
1.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1,17,3
2. Existing Studies=3,19,2
3. Review On The Theory Of Technological Innovation Process=4,20,11
II. Environmental Changes And Reestablishing The Role Of The National R&D Program=15,31,1
1. Environmental Changes=15,31,13
2. Review On The Policy Response To Environmental Changes=27,43,5
3. A History Of The National R&D Policy=31,47,5
4. Reestablishing The Role Of MOST R&D Program=36,52,7
III. Current State Of The National R&D Program=43,59,1
1. A History Of The National R&D Program=43,59,5
2. Current State Of The National R&D Program By Ministry & Program=48,64,35
IV. Structure Of The National R&D Program In The Developed Countries=83,99,1
1. Us Case=83,99,5
2. Japan Case=88,104,6
3. EU Case=93,109,5
4. German Case=97,113,2
5. Implications=98,114,2
V. New Direction In Improving The MOST R&D Program=100,116,1
1. Structural Change Of The National R&D Program Due To S&T-Administration Reform=100,116,3
2. Area And Direction Of The National R&D Program=102,118,3
3. Area Of The MOST R&D Program=104,120,6
4. New Direction In Improving The MOST R&D Program=110,126,5
VI. Strategic Planning Road-Map For Improving MOST R&D Program=115,131,1
1. MOST R&D Investment Model=115,131,4
2. Strategic Planning For Improving The MOST R&D Program=118,134,2
3. Road-Map For Improving The MOST R&D Program=120,136,2
VII. Policy Recommendations=122,138,2
Reference=124,140,3
Appendix=127,143,3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