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1

최종보고서 초록=2,3,1

요약문=3,4,2

Summary=5,6,4

목차=9,10,6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5,16,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7,18,5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22,23,1

제1절 해조가공품=22,23,1

1. 해조가공품의 생산현황=22,23,1

가. 해조 원료생산 현황=22,23,2

나. 국내품종별 양식해조류생산량=23,24,1

다. 해조류의 소비변화=24,25,1

2. 해조가공품의 품질 및 상품규격=24,25,1

가. 상품의 품질 및 상품규격조사=24,25,6

3. 해조가공품의 가공기술 및 가공공정=29,30,1

가. 마른 김=29,30,26

나. 마른 미역의 제조 공정=55,56,11

다. 마른 다시마 제조 공정=66,67,1

라. 카라기난의 제조 공정=67,68,5

마. 한천의 제조=72,73,12

바. 알긴산 제조=84,85,13

제2절 수산물 통조림=97,98,1

1. 수산물 통조림의 생산 현황=97,98,1

가. 우리나라 수산물통조림 제조업=97,98,4

2. 수산물 통조림의 품질 및 상품 규격=101,102,1

가. 수산물 통조림의 품질 및 상품 규격조사=101,102,1

나. 관 마크법(Can Mark)=101,102,2

3. 수산물 통조림의 가공기술 및 가공공정=102,103,1

가. 통조림 제조기술의 변천=102,103,5

나. 수산물 보일드(Boiled) 통조림=107,108,37

다. 기름 담근 통조림=143,144,20

라. 가미 통조림=163,164,13

마. 기타 수산물 통조림=175,176,7

제3절 수산물 훈제품=182,183,1

1. 수산물 훈제품의 가공기술 및 가공공정=182,183,1

가. 훈제품의 개요=182,183,8

나. 훈제품의 제조공정=189,190,4

2. 각종 수산물 훈제품=192,193,1

가. 수산물 냉훈품=192,193,3

나. 수산물 온훈품=194,195,5

다. 자배건품(煮焙乾品)=198,199,10

제4절 염장품=208,209,1

1. 염장품의 가공기술 및 가공공정=208,209,1

가. 염장품 개요=208,209,1

나. 염장방법=208,209,2

2. 수산물 염장가공품의 종류 및 가공방법=209,210,1

가. 염장고등어=209,210,6

3. 기타 염장어류 제품=214,215,1

제5절 기능성제품=215,216,1

1. 기능성 제품의 가공기술 및 가공공정=215,216,1

가. 기능성 제품의 개요=215,216,1

2. 수산물 기능성 식품의 종류=215,216,1

가. 클로렐라=215,216,2

나. 비타민 D=216,217,2

다. 산성 글리코사미노글리칸=217,218,1

라. EPA와 DHA=218,219,1

마. 칼슘제제=218,219,2

바. 키틴, 키토산 및 올리고당=219,220,3

제6절 수산 건제품=222,223,1

1. 우리나라 수산건제품의 종류와 생산현황=222,223,1

가. 수산건제품의 종류=222,223,6

나. 우리나라 수산건제품의 생산현황=228,229,3

2. 수산물 식품의 건조 조작=230,231,1

가. 건조조작 중 공기의 성질=230,231,3

나. 건조 메커니즘(건조기구)=232,233,5

3. 수산물 식품의 대표적인 건조법=237,238,1

가. 천일건조법=237,238,1

나. 열풍건조법=237,238,1

다. 냉풍건조법=238,239,1

라. 동결건조법=238,239,3

마. 자연동건법=240,241,1

바. 배건법=241,242,1

4. 건제품 원료의 가공적성=242,243,1

가. 성분적인 특성=242,243,1

나. 각종 어패류의 건제품으로서의 이용=242,243,2

5. 건제품의 저장성=243,244,1

가. 어패류의 건조와 방부 효과=243,244,1

나. 수분활성과 저장성=244,245,1

6. 건제품의 변질=245,246,1

가. 미생물에 의한 변질=245,246,1

나. 지질산화에 의한 변질=245,246,2

다. 색조의 변화=246,247,1

7. 각종 수산건제품의 가공기술 및 가공공정=247,248,1

가. 자건품(煮乾品)의 가공기술 및 가공공정=247,248,26

나. 소건품의 가공기술 및 가공공정=272,273,2

다. 염건품의 가공기술 및 가공공정=274,275,16

라. 동건품의 가공기술 및 가공공정=290,291,10

제7절 조미가공품=300,301,1

1. 조미가공품 생산현황=300,301,1

가. 오징어 조미가공품 생산현황=300,301,2

2. 조미가공품의 가공기술 및 가공공정=301,302,1

가. 조미 오징어=301,302,8

나. 구이오징어=309,310,2

제8절 수산물 엑스분=311,312,1

1. 수산물 엑스분의 개요=311,312,2

2. 수산물 엑스분의 생산 현황=312,313,1

가. 천연조미료=312,313,1

나. 어패류 엑스분의 용도=313,314,1

다. 유통=313,314,1

라. 생산현황=313,314,1

3. 가공 원리 및 제조방법=314,315,1

가. 어패류 엑스분(Extractives)=314,315,1

나. 유리아미노산(Free Amino Acid)=315,316,2

다. 올리고 펩티드(Oligopeptides)=316,317,1

라. 핵산관련물질=317,318,1

마. 기타 함질소성분=317,318,1

바. 무함질소성분=317,318,1

사. 맛의 발현=317,318,2

아. 가공원리=318,319,1

자. 수산물 엑스분의 추출방법=319,320,7

차. 수산물 엑스분의 원료적성=325,326,4

4. 시판 엑스분의 종류와 조성=329,330,1

가. 시판 엑스분의 종류=329,330,2

나. 시판 엑스분 제품의 조성=331,332,1

다. 게 농축엑스분 가공공정 조사=332,333,1

라. 게 분말엑기스=332,333,1

제9절 연제품=333,334,1

1. 연제품의 제조원리=333,334,1

가. 어육 가열 gel의 망상구조 형성에 관여하는 각종결합=333,334,4

나. 연제품의 겔형성=336,337,7

2. 동결 Surimi의 제조방법 및 원리=343,344,1

가. 동결 Surimi=343,344,1

나. 동결 Surimi의 제조원리=343,344,6

다. 동결 Surimi의 제조=348,349,5

라. 동결 Surimi의 동결저장=352,353,1

마. 동결 Surimi의 해동=352,353,1

바. 동결 Surimi의 품질판정=353,354,3

3. 연제품의 일반제법=356,357,1

가. 일반적인 제조방법=357,358,3

나. 연제품의 탄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360,361,8

다. 부원료 및 첨가물=368,369,12

라. 연제품의 변패와 방지=379,380,9

4. 연제품의 생산현황=387,388,1

가. 우리나라의 Surimi의 수급현황=387,388,2

나. 세계의 Surimi 및 수산 연제품 생산현환=388,389,10

5. 냉동연육의 주요 원료어종=398,399,1

가. 새꼬리민태ㆍ남방명태=398,399,1

나. 실꼬리돔=398,399,1

다. 정어리 등의 적색육어=398,399,2

라. 민대구류=399,400,2

6. 연제품의 품질 및 상품규격 조사=400,401,1

가. 볼ㆍ원형류=400,401,11

나. 찐어묵=411,412,3

다. 사각어묵류=414,415,9

라. 막대 어묵류=422,423,7

마. 종합 어묵류=428,429,4

7./6. 연제품의 가공기술 및 가공공정 조사=432,433,1

가. 어묵류=432,433,13

제10절 수산발효식품=445,446,1

1. 젓갈=445,446,1

가. 젓갈의 제조 원리=445,446,1

나. 젓갈의 제조법=445,446,2

다. 젓갈의 숙성=446,447,4

라. 젓갈 발효 시 관여하는 미생물=449,450,2

마. 재래식 젓갈의 정미성분=450,451,4

바. 저 식염 젓갈의 제조=453,454,2

사. 저염 젓갈의 위생안전성=454,455,1

2. 액젓(Fish Sauce)=454,455,1

가. 액젓의 제조법=454,455,4

나. 액젓의 숙성과 Protease=457,458,2

다. 숙성중의 성분변화=458,459,4

라. 속성발효=461,462,2

마. 액젓의 함유성분과 조미료로서의 기능=462,463,3

바. 액젓의 이용=465,466,1

3. 식해류=466,467,2

4. 우리나라 수산발효제품의 제조공정=468,469,1

가. 젓갈제조=468,469,69

나. 액젓(Fish Sauce)제조=537,538,3

다. 식해제조=540,541,3

제11절 조리냉동식품=543,544,1

1. 조리냉동식품의 정의와 종류 및 현황=543,544,4

가. 조리냉동식품의 제조기술과 실제=546,547,13

나. 조리냉동식품의 위생, 품질관리=558,559,4

2. 조리냉동식품의 품질 및 상품규격=562,563,1

가. 완자류의 품질 및 상품규격=562,563,5

나. 가스(Cuttlet)류의 품질 및 상품규격 조사=567,568,10

다. 버거류의 품질 및 상품규격=576,577,19

라. 기타 제품의 품질 및 상품 규격=594,595,16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610,611,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612,613,1

제6장 참고문헌=613,614,2

칼라목차

jpg

그림9-3-19. 게맛살 어묵의 동결저장=387,3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