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목차=i,3,6

표목차=vii,9,2

그림목차=ix,11,4

제1장 서론=1,15,2

제2장 기존의 지진 모니터링 시스템 설치 현황=3,17,1

제1절 국외의 지진 모니터링 시스템 설치 사례=3,17,1

1. 미국=3,17,1

가. 노스리지 지진 이후의 계측기 자료 수집 현황=3,17,1

(1) 일반사항=3,17,2

(2) 지진응답계측기에 관한 규범=4,18,1

(3) 기준에 따라 설치된 계측기로부터 수집한 노스리지 지진기록=5,19,3

나. 노스리지 지진응답계측기 관련 기준의 개선=8,22,1

(1) 규범=8,22,2

(2) 계측기의 유지 관리=9,23,1

(3) 계측기의 성능향상=9,23,1

(4) 규범의 관련규정=9,23,1

다. 노스리지 지진 이후의 지진자료 수집 현황=9,23,1

(1) 강진기록=9,23,1

(2) Sylmar - County Hospital=9,23,2

(3) San Fernando Valley Buildings=10,24,1

(4) Parking Structures Records=10,24,1

(5) Downtown Los Angeles Records=10,24,1

(6) Base-Isolated Building Recorders=11,25,1

(7) Hospital Building Records=11,25,2

라. US Nation Strong-Motion Program=12,26,1

(1) 일반사항=12,26,1

(2) NSMP의 참여기관=12,26,2

(3) CSMIP와의 협력관계=13,27,1

(4) National Strong-Motion Network(NSMN)=13,27,2

(5) NSMP의 앞으로의 계획=14,28,3

(6) 구조공학 연구에 대한 계측기의 필요성=16,30,1

마. USGS 최근 수행 프로젝트=17,31,3

바. TriNet=19,33,1

(1) 일반사항=19,33,6

사. 계측기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범 및 보고서=24,38,1

(1) 1997 Uniform Building Code=24,38,2

(2) 1996 Los Angeles Building Code=25,39,2

(3) 연구보고서=27,41,2

2. 대만=28,42,1

가. 중앙기상국=28,42,4

나. 지구과학연구소=32,46,1

(1) BATS(Broadband Array In Taiwan For Seismology)=32,46,2

(2) SMART-II=33,47,1

(3) PANDA-II=34,48,1

(4) Downhole Array In The Taipei Basin=35,49,1

3. 일본=36,50,1

가. 강진관측 현황=36,50,1

(1) 강진 관측의 흐름=36,50,2

(2) 강진관측의 연관과 강진계의 배치=37,51,5

나. 주요관측기관이 지진계측 현황=42,56,1

(1) 개요=42,56,1

(2) 기상청=42,56,2

(3) 방재과학기술연구소=43,57,3

(4) 토목연구소=46,60,6

(5) 철도종합기술연구소=51,65,3

(6) 항만연구소=53,67,10

(7) 건축연구소=63,77,4

(8) 전력중앙연구소=67,81,12

제2절 국내의 지진모니터링 시스템 설치 사례=79,93,1

1. 전력연구원=79,93,1

가. 전력연구원 지진관측망=79,93,1

(1) Seismic Data Acquisition=79,93,1

(2) Real Time Data Monitoring And Data Sharing=80,94,1

(3) Relational Data Management=80,94,1

(4) Automatic Processing And Interpretation Of Seismic Data=80,94,1

(5) Interactive Data Analysis=80,94,1

(6) Data Archiving=80,94,1

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H/W And S/W)=80,94,1

(1) 하드웨어 사양=80,94,3

(2) 소프트웨어 사양=83,97,1

(3)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84,98,1

(4) 보조 소프트웨어 설명=85,99,1

(5) 지진관측망 구성 및 관리=86,100,7

2. 수자원공사=93,107,1

가. 개요=93,107,1

(1) 건명=93,107,1

(2) 검토 요청=93,107,1

(3) 검토 내용=93,107,1

나. 자료검토 및 분석=93,107,1

(1) ○○댐 지진계 시방('91. 7의 추가시방서)=93,107,2

(2) 지진계 설치 수량 및 위치=94,108,1

다. 검토결과 및 대책=94,108,1

(1) 지진계 설치 사례=94,108,6

(2) 지진계 설치 수량 및 위치=99,113,1

(3) 최근의 지진계 특성을 고려한 시방(안)=100,114,3

라. 결론 및 향후검토=103,117,2

제3장 항만구조물 지진모니터링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기법=105,119,1

제1절 지진모니터링 시스템=105,119,1

1. 지진모니터링 시스템 사양=105,119,1

가. 기록계 사양=105,119,2

2. 지진모니터링 시스템 설치방법=106,120,1

가. 설치 범위=106,120,1

나. 설치 목적=106,120,2

다. 계측기 위치와 소요개수=107,121,1

제2절 지진모니터링 센서=108,122,1

1. 지진모니터링 센서 사양=108,122,2

2. 지진모니터링 센서 설치위치 및 설치방법=109,123,1

가. 계측기 설치 위치=109,123,1

(1) 자유장 계측기=109,123,1

(2) 기초부 계측기=109,123,1

(3) 항만시설물의 계측=110,124,1

(4) 액상화 계측=110,124,1

(5) 지진응답계측기 센서 성분=110,124,1

(6) 지진응답계측기 센서와 기록계 연결방법=111,125,2

제4장 해양구조물 안전성 평가 프로그램=113,127,1

제1절 자료취득 프로그램=113,127,1

1. 지진계측기 입력 초기화=113,127,1

2. Gain 설정기능=113,127,1

3. Pre-Trigger Time 설정기능=113,127,1

4. 데이터 측정기능=114,128,1

5. 지진발생 감시 기능=114,128,1

6. 자료 저장 기능=114,128,1

7. Online Monitoring 기능=114,128,1

8. Communication 기능=114,128,1

제2절 자료분석 프로그램=115,129,1

1. Time-History Analysis=115,129,2

가. Time History Window의 생성 및 저장=116,130,2

나. 축소, 확대, 스크롤 기능=117,131,3

다. 위치 지정자를 통한 분석 기능의 사용=119,133,3

2. Fast Fourier Transform Analysis=121,135,4

3. Response Spectrum Analysis=124,138,1

가. Response Spectrum Window의 생성=125,139,1

나. Response Spectrum Window의 표현 방법=125,139,1

다. Slice Size=126,140,1

라. Frequency Scale=126,140,1

마. Amplitude Scale=126,140,1

바. Response Spectrum 분석 화면=127,141,2

제5장 국내 주요항만 지진 모니터링 설치(안)=129,143,1

제1절 개요=129,143,1

제2절 일반적인 지진계 설치 위치=129,143,2

1. 자유장(Free-Field Motions)=130,144,1

2. 구조물 기초=130,144,1

3. 항만시설물의 계측=130,144,1

제3절 국내 대표적 무역항에서의 지진계 설치 위치=131,145,1

1. 인천항=131,145,2

2. 부산항=133,147,2

3. 동해항=134,148,2

제4절 시스템 구성 방안=136,150,1

1. 무역항별 구성방안=136,150,2

2. 해양수산부 산하 지진감시설비 설치 필요 항=137,151,2

3. 무역항과 통합 센터의 자료 처리=138,152,1

4. 통합센터 구축 시스템사양=139,153,1

가. DBS=139,153,3

나. IWS=142,156,1

다. CCS=142,156,2

라. EWS=143,157,2

마. 통신장치=144,158,3

5. 무역항 설치 시스템 구축 사양=146,160,1

가. IWS=146,160,2

나. EWS=147,161,2

다. 통신장치=148,162,3

6. 구축비용=150,164,1

표목차

표2.1.1. 규범에 의해 계측기가 설치된 건축물(Code-Instrumented Building)의 지진응답=6,20,1

표2.1.2. CSMIP의 계측기 설치 건축물의 지진응답=7,21,1

표2.1.3. NSMP의 참여기관=13,27,1

표2.1.4. U.S. Geological Survey의 National Strong-Motion Program 계측기 현황=15,29,1

표2.1.5. List Of Strong Motion Seismometer Array In Japan=41,55,1

표2.1.6. 일본시설물별 지진관측기관=42,56,1

표2.1.7. 일반 강진관측의 관측점 수와 강진계 형식=47,61,1

표2.2.1. Realtime Data Acquisition System : EMSAUTO=81,95,1

표2.2.2. Data Analysis System : EMSSRV=82,96,1

표2.2.3. Data Archiving System : EMSGONG=82,96,1

표2.2.4. 지진감시시스템 소프트웨어 목록=83,97,1

표2.2.5. 전력연구원 지진관측소 위치=86,100,1

표3.2.1. 가속도 센서의 규격=108,122,1

표3.2.2. 장주기 속도센서의 규격=109,123,1

그림목차

그림2.1.1. Millikan Library=17,31,1

그림2.1.2. Factor Building=17,31,1

그림2.1.3. Millikan Library(Caltech)의 계측기 설치=18,32,1

그림2.1.4. Factor Building의 계측기 설치=19,33,1

그림2.1.5. TriNet의 운영=21,35,1

그림2.1.6. Force Balanced Accelerometers와 Seismometer와 Communications Equipment로 구성된 K2 Datalogger=22,36,1

그림2.1.7. Seismometer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 금속 프레임=22,36,1

그림2.1.8. K2 Accelerograph의 내부=23,37,1

그림2.1.9. 데이터 저장 시스템=23,37,1

그림2.1.10. 디지털 지진관측 Station=24,38,1

그림2.1.11. 대만 기상청 지진관측망(CWBSN)분포도 (a)전체관측소분포 (b)지진발표 및 대규모 지진의 조기 경보 목적으로 운영되는 75개의 속도 및 가속도 관측소 분포=29,43,1

그림2.1.12. WBSN 가속도 관측소=30,44,1

그림2.1.13. 대만의 Building-Array 가속도 관측소 분포도=31,45,1

그림2.1.14. BATS 광대역 관측망 분포도=32,46,1

그림2.1.15. SAMRT-II 관측망 분포도=33,47,1

그림2.1.16. PANDA II 관측망 분포도=34,48,1

그림2.1.17. 타이페이 분지의 시추공 관측망 (a)관측소분포도, (b)시추공 프로파일=35,49,1

그림2.1.18. 초기의 SMAC형 강진계=37,51,1

그림2.1.19. 일본에 등록된 가속도계의 수=39,53,1

그림2.1.20. 일본에 설치된 강진계의 분포=39,53,1

그림2.1.21. 기상청의 지진 관측시설 배치도=43,57,1

그림2.1.22. K-Net의 강진관측지점=45,59,1

그림2.1.23. 교량의 표준 강진관측 형태=47,61,1

그림2.1.24. 하천제방의 표준 강진관측 형태=48,62,1

그림2.1.25. 댐의 표준 강진관측 형태=48,62,1

그림2.1.26. 관측망과 지반조건(상량지역)=50,64,1

그림2.1.27. JR의 경보 지진계의 배치상황=52,66,1

그림2.1.28. 신간선에 설치ㆍ운영중인 UrEDAS=53,67,1

그림2.1.29. 일본 전국의 항만ㆍ공항에 있어서 강진계측의 상황=54,68,1

그림2.1.30. 지진계가 설치된 항만의 위치=55,69,1

그림2.1.31. 공항의 지진계 배치 패턴=57,71,1

그림2.1.32. 미야자키 공항에 대한 강진계의 배치=58,72,1

그림2.1.33. 구시로공항 성토지반상의 강진 관측지점=59,73,1

그림2.1.34. 하네다공항의 고밀도강진관측=60,74,1

그림2.1.35. 간사이공항의 강진계 배치=61,75,1

그림2.1.36. 간사이공항 4층과 지붕 트러스 위의 지진계 설치 상황=62,76,1

그림2.1.37. 도시방재 연구센터 건물의 관측 예=63,77,1

그림2.1.38. 건축연구소의 강진 관측지점의 배치=64,78,1

그림2.1.39. 센다이시 고밀도 강진관측=65,79,1

그림2.1.40. 도쿄 수도권의 고밀도 지진관측망=66,80,1

그림2.1.41. 전력중앙 연구소의 강진 관측점=68,82,1

그림2.1.42. 도쿄전력의 지진관측 지점=69,83,1

그림2.1.43. 수력발전용 대형댐의 지진계 설치 상황=70,84,1

그림2.1.44. LNG화력 발전소에 대한 지진계 설치 현황=71,85,1

그림2.1.45. 변전소의 지진계 설치 상황=72,86,1

그림2.1.46. 도쿄전력의 지진관측 시스템=73,87,1

그림2.1.47. 원자력발전소의 지진계 설치상황 및 지진관측장치=74,88,1

그림2.1.48. 도쿄가스의 가스공급 시스템=75,89,1

그림2.1.49. SI치와 최대가속도의 관계=76,90,1

그림2.1.50. 가스관의 피해율과 SI치의 관계=77,91,1

그림2.1.51. 지진계 설치현황(동경가스)=78,92,1

그림2.2.1. 지진감시설비 구성=84,98,1

그림2.2.2. KEPRI 원전부지 주변 지진관측소 위치도=87,101,1

그림2.2.3. 지진관측소 설치과정 및 전경=89,103,1

그림2.2.4. 원전부지 지진관측망 운영체제=90,104,1

그림2.2.5. 전력연구원 지진관측망 구성도=91,105,1

그림2.2.6. 한전본사-전력 연구원 연계망구성도=92,106,1

그림2.2.7. SSA-1 지진계=95,109,1

그림2.2.8. SSA-1 내부=95,109,1

그림2.2.9. 레코더=95,109,1

그림2.2.10. 가속도 센서=96,110,1

그림2.2.11. S사의 MR2002, MS2002와 NCC=96,110,1

그림2.2.12. Gallery내 설치사례=97,111,1

그림2.2.13. 지진계 설정치-미국=98,112,1

그림2.2.14. 지진계 설치위치-미국=98,112,1

그림2.2.15. 지진응답계측시스템 구성 예=99,113,1

그림4.2.1. Time History Window=115,129,1

그림4.2.2. 확대 및 축소1=118,132,1

그림4.2.3. 확대 및 축소2=118,132,1

그림4.2.4. 확대 및 축소3=118,132,1

그림4.2.5. 영역 확대=119,133,1

그림4.2.6. 위치 표시=120,134,1

그림4.2.7. 신호시작점 표시=121,135,1

그림4.2.8. 메뉴 선택=122,136,1

그림4.2.9. View Type 선택=122,136,1

그림4.2.10. PSD in dB=122,136,1

그림4.2.11. Cummulative=122,136,1

그림4.2.12. FFT Window Type=123,137,1

그림4.2.13. View Type2=123,137,1

그림4.2.14. 갈무리=124,138,1

그림4.2.15. Fit XY=124,138,1

그림4.2.16. Spectrogram=124,138,1

그림4.2.17. Slice Size=126,140,1

그림4.2.18. Frequency Scale=126,140,1

그림4.2.19. Amplitude Scale=126,140,1

그림4.2.20. Response Spectrum=127,141,1

그림4.2.21. Response Spectrum 결과=127,141,1

그림5.3.1. Gallery내 설치사례=131,145,1

그림5.3.2. 인천항 국제 여객 터미널=132,146,1

그림5.3.3. 인천 국제 여객 터미널 전기실=132,146,1

그림5.3.4. 해양대학교 항로관측소=133,147,1

그림5.3.5. 부산 연안 여객 터미널=133,147,1

그림5.3.6. 부산 연안 여객 터미널 전기실=134,148,1

그림5.3.7. 동해화력발전소 돌출암=134,148,1

그림5.3.8. 동해항 여객 터미널=135,149,1

그림5.3.9. 동해항 여객 터미널 전기실=135,149,1

그림5.4.1. 시스템 구축도=136,150,1

그림5.4.2. 시스템 구성도=137,151,1

그림5.4.3. 무역항 및 연안항=138,152,1

칼라목차

jpg

그림2.1.20. 일본에 설치된 강진계의 분포=39,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