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목차=i,2,2

제1부 총론=1,4,1

제1장 로드맵 수립의 개요=1,4,1

제2장 일반 및 환경현황=1,4,1

1. 일반 현황=1,4,1

2. 환경행정 및 관리 현황=2,5,1

제3장 대내외적 여건변화=2,5,1

1. 대외적 여건 동향과 전망=2,5,1

2. 국내적 여건 변화 전망=3,6,1

3. 도내 경제 및 환경 여건 변화 전망 및 환경부하=3,6,1

4. 개발 및 환경관련 유관계획=4,7,1

제4장 지속가능성 진단=4,7,1

1. SWOT 분석을 이용한 지속가능성 평가=4,7,2

2. 뉴환경비전 및 로드맵 수립의 필요성=5,8,1

제5장 뉴경남 환경비전과 추진전략=6,9,1

1. 비전의 기본구상=6,9,1

2. 주요 환경지표=7,10,1

제2부 부문별 현황과 문제점=8,11,1

제1장 자연환경 및 자원관리=8,11,1

1. 자연생태계 진단과 관리=8,11,3

2. 수자원 관리와 이용=10,13,3

3. 산림자원의 보전과 이용=12,15,2

4. 자연경관 보전과 관리=14,17,1

5. 해양생태 및 연안도서 환경관리=14,17,2

제2장 생활환경관리=16,19,1

1. 대기환경관리=16,19,3

2. 수질오염관리=18,21,3

3. 폐기물 관리=21,24,1

4. 유해화학물질 관리=22,25,2

5. 토양환경관리=23,26,1

제3장 환경과 경제의 상생=24,27,1

1. 친환경 생태관광도시 육성=24,27,2

2. 친환경 산업관리 및 환경보건=25,28,1

제3부 핵심추진과제=26,29,1

제1장 핵심추진과제 및 주요사업의 구성=26,29,1

1. 핵심추진과제 및 주요사업의 방향=26,29,1

2. 핵심추진과제 및 주요사업의 구성=27,30,5

3. 권역별 특성화 핵심사업의 구성=32,35,1

제2장 자연환경 기반보전과 합리적 이용=33,36,2

1. 자연생태계 진단과 관리=34,37,10

2. 수자원 관리=44,47,2

3. 산림자원의 보전과 이용=46,49,4

4. 자연경관 보전과 관리=50,53,3

5. 해양생태 및 연안도서 환경관리=53,56,6

제3장 생활환경관리 효과성ㆍ통합성 제고=59,62,2

6. 대기환경관리 및 기후변화 대응=60,63,7

7. 수질오염 관리=67,70,5

8. 폐기물 관리=72,75,3

9. 토양환경관리=75,78,3

제4장 환경ㆍ경제의 상생 전략=78,81,1

10. 친환경 산업경제 활성화=79,82,4

11. 친환경 산업관리 및 환경보건=83,86,3

제4부 지속가능발전 환경로드맵 추진체계 강화=86,89,1

제1장 환경행정의 선진화=86,89,1

12. 환경관리의 통합성 강화=87,90,3

13. 지방분권화 시대의 환경행정기능 강화=90,93,2

14. 환경정보관리 및 국제환경협력 강화=92,95,3

제2장 환경거버넌스 체계의 강화=95,98,1

15. 참여와 파트너십 강화=96,99,2

16. 지역 환경거버넌스 기반 강화=98,101,2

17. 시민사회 역량강화 및 환경거버넌스 활성화=100,103,3

제3장 투자계획 및 재원조달/집행방안=103,1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