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요약문=i,3,5

Summary=vi,8,3

목차=ix,11,5

Contents=xiv,16,2

표목차=xvi,18,3

그림목차=xix,21,2

제1장 연구 목적과 범위=1,23,1

제1절 연구 목적과 필요성=1,23,2

제2절 연구 내용 및 범위=2,24,1

1. 연구의 목적과 내용=2,24,2

2. 연구범위=3,25,3

3. 주요 분석 자료=5,27,2

제2장 영미국가의 정보화 추진체계=7,29,1

제1절 미국의 정보화 추진체계=7,29,1

1. 환경과 배경=7,29,1

2. 정보화정책 비전과 전략=8,30,2

3. 정보화행정 추진체계=9,31,11

4. 기타 정보화 제도=19,41,9

5. 요약 및 소결론=28,50,2

제2절 영국의 정보화 추진체계=29,51,1

1. 환경과 배경=29,51,3

2. 정보화정책 비전과 전략=31,53,3

3. 정보화행정 추진체계=33,55,13

4. 기타 정보화 제도=45,67,5

5. 요약 및 소결론=49,71,2

제3절 캐나다의 정보화 추진체계=50,72,1

1. 환경과 배경=50,72,1

2. 정보화정책 비전과 전략=51,73,3

3. 정보화행정 추진체계=53,75,8

4. 기타 정보화 제도=60,82,5

5. 요약 및 소결론=64,86,2

제4절 호주의 정보화 추진체계=65,87,1

1. 환경과 배경=65,87,1

2. 정보화정책 비전과 전략=66,88,2

3. 정보화행정 추진체계=67,89,9

4. 기타 정보화 제도=75,97,4

5. 요약 및 소결론=78,100,2

제5절 뉴질랜드의 정보화 추진체계=79,101,1

1. 환경과 배경=79,101,3

2. 정보화정책 비전과 전략=81,103,2

3. 정보화행정 추진체계=82,104,9

4. 기타 정보화 제도=90,112,1

5. 요약 및 소결론=91,113,1

제3장 유럽대륙 국가의 정보화 추진체계=92,114,1

제1절 독일의 정보화 추진체계=92,114,1

1. 환경과 배경=92,114,2

2. 정보화정책 비전과 전략=93,115,2

3. 정보화행정 추진체계=95,117,10

4. 요약 및 소결론=104,126,1

제2절 프랑스의 정보화 추진체계=105,127,1

1. 환경과 배경=105,127,1

2. 정보화정책 비전과 전략=106,128,2

3. 정보화행정 추진체계=107,129,7

4. 기타 정보화 제도=113,135,3

5. 요약 및 소결론=115,137,2

제3절 이태리의 정보화 추진체계=116,138,1

1. 환경과 배경=116,138,1

2. 정보화정책 비전과 전략=116,138,3

3. 정보화행정 추진체계=118,140,4

4. 요약 및 소결론=121,143,2

제4절 스웨덴의 정보화 추진체계=122,144,1

1. 환경과 배경=122,144,2

2. 정보화정책 비전과 전략=123,145,2

3. 정보화행정 추진체계=125,147,4

4. 기타 정보화 제도=128,150,2

5. 요약 및 소결론=129,151,1

제5절 핀란드의 정보화 추진체계=130,152,1

1. 환경과 배경=130,152,2

2. 정보화정책 비전과 전략=131,153,2

3. 정보화행정 추진체계=132,154,4

4. 요약 및 소결론=135,157,1

제4장 아시아 국가의 정보화 추진체계=136,158,1

제1절 일본의 정보화 추진체계=136,158,1

1. 환경과 배경=136,158,2

2. 정보화정책 비전과 전략=137,159,2

3. 정보화행정 추진체계=139,161,4

4. 기타 정보화 제도=142,164,3

5. 요약 및 소결론=144,166,2

제2절 중국의 정보화 추진체계=145,167,1

1. 환경과 배경=145,167,2

2. 정보화정책 비전과 전략=146,168,2

3. 정보화행정 추진체계=147,169,4

4. 요약 및 소결론=151,173,1

제3절 싱가포르의 정보화 추진체계=151,173,1

1. 환경과 배경=151,173,2

2. 정보화정책 비전과 전략=152,174,2

3. 정보화행정 추진체계=153,175,7

4. 기타 정보화 제도=159,181,1

5. 요약 및 소결론=159,181,2

제4절 인도의 정보화 추진체계=160,182,1

1. 환경과 배경=160,182,2

2. 정보화정책 비전과 전략=161,183,1

3. 정보화행정 추진체계=161,183,4

4. 요약 및 소결론=164,186,3

제5장 한국의 정보화 추진체계=167,189,1

제1절 환경과 배경=167,189,1

제2절 정보화정책 비전과 전략=167,189,1

제3절 정보화행정 추진체계=168,190,1

1. 1980년대=168,190,1

2. 문민정부=168,190,2

3. 국민의 정부=169,191,2

4. 참여정부=171,193,9

제4절 기타 정보화 제도=179,201,2

제5절 요약 및 소결론=180,202,2

제6장 정보화 추진체계의 비교 분석=182,204,1

제1절 비교분석의 틀=182,204,3

제2절 비교 분석 결과=184,206,1

1. 정보화추진체계의 변화방향=184,206,2

2. 정보화 총괄조직의 위상=185,207,2

3. 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187,209,2

4. 정보화 담당기관의 기능적 성격=188,210,2

5. CIO협의회 등 범부처 연락조직의 활용=189,211,2

6. 정부혁신과의 연계성=191,213,1

7. 성과관리 시스템=192,214,1

제3절 결론 및 정책 제안=193,215,1

1. 주요국가의 정보화 수준평가=193,215,3

2. 정보화 추진체계와 정보화 성과의 연계성=196,218,2

참고문헌=198,220,4

표목차

(표1-1) 연구대상 국가의 분류=3,25,1

(표1-2) OECD 국가들의 정보화 우선순위=5,27,1

(표2-1) 정보인프라작업반(IITF)의 구성 및 주관기관=10,32,1

(표2-2) OMB의 정보화기능=13,35,1

(표2-3) OMB 전자정부국의 전자정부기능=14,36,1

(표2-4) CIOC의 인력 및 인적자본위원회의 인력관리계획=17,39,1

(표2-5) 미국의 정보화 관련 법령체계=21,43,1

(표2-6) 미국 전자정부법의 주요내용=22,44,1

(표2-7) PART의 평가 부문 및 대상=26,48,1

(표2-8) 영국의 정부혁신과 정보화 관련정책 연혁=30,52,1

(표2-9) 정부현대화백서의 주요내용=31,53,1

(표2-10) 전략단(SU)/통상산업부(DTI)의 보고서 주요내용=32,54,1

(표2-11) 영국 중앙정부의 전자정부 추진체계 변화=35,57,1

(표2-12) 영국 전자정부단(EGU)의 핵심임무=39,61,1

(표2-13) EGU의 기관적 책임=40,62,1

(표2-14) 영국의 정보화정책 성과관리 시스템=46,68,1

(표2-15) GOL의 목표와 전략=52,74,1

(표2-16) CIOB의 핵심 기능=55,77,1

(표2-17) 산업부 전파ㆍ정보기술ㆍ통신실(SITT)의 조직과 기능=58,80,1

(표2-18) 캐나다 GOL사업 예산의 추이=61,83,1

(표2-19) TBS의 CIOB의 기능=64,86,1

(표2-20) 성장투자정책의 주요내용=66,88,1

(표2-21) 온라인정부 추진전략=67,89,1

(표2-22) NOIE의 기능=71,93,1

(표2-23) AGIMO의 주요기능=74,96,1

(표2-24) 호주의 전자정부 성과평가의 강조점=76,98,1

(표2-25) 호주 전자정부의 재무ㆍ경제ㆍ사회적 편익의 구성요소 모형=77,99,1

(표2-26) 뉴질랜드 정부혁신모형=80,102,1

(표2-27) 전자정부 비전과 전략=82,104,1

(표2-28) MED의 실국별 하위조직 및 업무분장=86,108,1

(표2-29) EGU의 기본임무=88,110,1

(표2-30) EGU의 주요활동 성과(2003-2004)=89,111,1

(표2-31) EGU의 전자정부 사업예산(단위 : 백만 뉴질랜드 달러)=90,112,1

(표3-1) 21세기 정보사회의 혁신과 직업의 주요내용=93,115,1

(표3-2) 독일의 정보사회 행동계획(2006)=94,116,1

(표3-3) 경제 기술부의 정보화 기능=98,120,1

(표3-4) 정보기술조정자문위원회(KBSt)의 주요 기능=101,123,1

(표3-5) 연방정보보호위원회의 주요활동=102,124,1

(표3-6) 연방정보보안청의 주요임무=102,124,1

(표3-7) 기획위원회의 1998년 정보화계획=106,128,1

(표3-8) 정보기술위원회(CGTI)의 기능=108,130,1

(표3-9) 공공관리ㆍ국가구조현대화국(DMGPSE)의 주요업무=110,132,1

(표3-10) 전자행정개발국(ADAE)의 주요업무=111,133,1

(표3-11) 정부 인프라 시스템의 관리책임=112,134,1

(표3-12) 프랑스 정보사회법률의 주요내용=113,135,1

(표3-13) 이태리의 전자정부실행계획 주요내용=117,139,1

(표3-14) 중앙전략형성단(CSFU)의 주요임무=118,140,1

(표3-15) 공공관리청(Statskontoret)의 전자정부사업=124,146,1

(표3-16) 공공관리청의 주요업무=127,149,1

(표4-1) 일본의 정보화 추진연혁=138,160,1

(표4-2) e-Japan 전략의 주요내용=138,160,1

(표4-3) 일본의 정보화 관련 법령 제 개정 현황=143,165,1

(표4-4) 중국의 주요정보화정책=147,169,1

(표4-5) 국무원의 주요기능=148,170,1

(표4-6) 정보화추진사의 주요기능=150,172,1

(표4-7) 싱가포르의 정보화계획과 전자정부사업=152,174,1

(표4-8) IDA의 주요기능=156,178,1

(표4-9) 재무부의 정부혁신관리모형=158,180,1

(표5-1) 정보화 관련 위원회의 변천과정=169,191,1

(표5-2) 전자정부특별위원회와 전자정부전문위원회의 비교=173,195,1

(표5-3) 정보화 관련 위원회=178,200,1

(표6-1) 비교 분석의 틀=183,205,1

(표6-2) 정보화 추진체계의 변화추세=185,207,1

(표6-3) 정보화 총괄조직의 제도적 위상=186,208,1

(표6-4) 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현황=187,209,1

(표6-5) 정보화 담당기관의 성격=189,211,1

(표6-6) CIO 협의회 등 범부처 연락조직의 활용=190,212,1

(표6-7) 정부혁신과의 연계성=191,213,1

(표6-8) 성과관리 시스템=192,214,1

(표6-9) 국가정보화 순위에 사용된 조사자료=193,215,1

(표6-10) 연구 대상 국가들의 주요지표별 순위=195,217,1

그림목차

(그림2-1) 클린턴 정부의 정보화 추진체계=10,32,1

(그림2-2) 미국의 정보화 추진체계=12,34,1

(그림2-3) 대통령 전자정부의제 추진체계=14,36,1

(그림2-4) CIO 협의회의 조직구조=17,39,1

(그림2-5) 미국 연방정부의 정보화 성과관리제도=25,47,1

(그림2-6) 영국 내각부의 조직=34,56,1

(그림2-7) 영국의 정보화 추진조직(2002.1)=37,59,1

(그림2-8) 내각부내의 전자정부 추진체계(현재)=41,63,1

(그림2-9) OGC의 조직구조=44,66,1

(그림2-10) 국가재정위원회의 조직구조=54,76,1

(그림2-11) 캐나다 산업부의 조직구조=57,79,1

(그림2-12) 공공서비스부(PWGSC)의 조직구조=60,82,1

(그림2-13) 캐나다 정부의 성과평가 시스템=62,84,1

(그림2-14) 호주의 정보화 추진체계=68,90,1

(그림2-15) NOIE의 조직구조=71,93,1

(그림2-16) 정보경제실(OIE)의 조직도=73,95,1

(그림2-17) 내각부의 조직구조=84,106,1

(그림2-18) 뉴질랜드의 정보화 추진체계=85,107,1

(그림3-1) 독일 연방수상실의 조직구조=96,118,1

(그림3-2) 독일 연방정부의 정보화 추진체계=97,119,1

(그림3-3) 교육연구부(FMER) 정보 통신 신기술국(DG 5)의 조직구조=99,121,1

(그림3-4) 독일 내무부의 정보화 추진체계=101,123,1

(그림3-5) 정보화추진민관협력위원회=103,125,1

(그림3-6) 프랑스의 정보화 추진체계=109,131,1

(그림3-7) 이태리의 정보화 추진체계=120,142,1

(그림3-8) 스웨덴의 정보화 추진체계=126,148,1

(그림3-9) 핀란드의 정보화 추진체계=133,155,1

(그림4-1) 일본의 정보화 추진과정=137,159,1

(그림4-2) 일본 수상 비서실의 조직구조=140,162,1

(그림4-3) 일본의 정보화 추진체계=142,164,1

(그림4-4) 중국의 중앙통치체계=148,170,1

(그림4-5) 중국의 정보화 추진체계=149,171,1

(그림4-6) 정보통신예술부(MICA)의 조직도 : 정보통신 관련=154,176,1

(그림4-7) 싱가포르 정보화 추진체계 개요=155,177,1

(그림4-8) 전자정부사업의 추진체계=158,180,1

(그림4-9) 인도의 정보화 추진체계=163,185,1

(그림4-10) 정보기술청(DIT)의 조직구조=165,187,1

(그림5-1) 국민의 정부 정보화 추진체계=170,192,1

(그림5-2) 참여정부 정보화 추진체계=172,194,1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7

[Summary etc.]=vi,8,8

Contents=xiv,16,7

Chapter 1. Goals And Scope Of Research=1,23,1

Section 1. Purpose And Needs=1,23,2

Section 2. Contents And Scope=2,24,5

Chapter 2. Systems Of Anglo-American Countries=7,29,1

Section 1. The United States=7,29,23

Section 2. The United Kingdom=29,51,22

Section 3. Canada=50,72,16

Section 4. Australia=65,87,15

Section 5. New Zealand=79,101,13

Chapter 3. Systems Of European Continental Countries=92,114,1

Section 1. Germany=92,114,13

Section 2. France=105,127,12

Section 3. Italy=116,138,7

Section 4. Sweden=122,144,8

Section 5. Finland=130,152,6

Chapter 4. Systems Of Asian Countries=136,158,1

Section 1. Japan=136,158,10

Section 2. China=145,167,7

Section 3. Singapore=151,173,10

Section 4. India=160,182,7

Chapter 5. Systems Of The Korean Government=167,189,1

Section 1. Environments And Background=167,189,1

Section 2. Visions And Strategies Of Information Society Policy=167,189,1

Section 3. Administrative System=168,190,12

Section 4. Other Information Society Issues=179,201,2

Section 5. Summary And Conclusion=180,202,2

Chapter 6. Comparisons Of Institutional Arrangements=182,204,1

Section 1. A Framework For Comparison=182,204,3

Section 2. The Results Of Comparison And Analysis=184,206,9

[Section 3. Conclusion And Policy Suggestions etc.]=193,2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