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요약문=i,3,4

Summary=v,7,3

목차=viii,10,3

Contents=xi,13,1

표목차=xii,14,2

그림목차=xiv,16,1

제1장 서론=1,17,1

제1절 연구의 의의와 목적=1,17,2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범위=3,19,2

제2장 정보통신기술의 혁신과 산업 전망=5,21,1

제1절 정보통신기술의 혁신과 패러다임 변화=5,21,1

1. IT기술의 무형가치증대에 따른 기술혁신의 중요성=5,21,3

2. 세계 정보통신산업의 동향과 특징=7,23,5

제2절 우리나라 정보통신산업 동향 및 전망=12,28,1

1. 산업발전 전망=12,28,2

2. 정보통신산업의 현황 및 전망=14,30,4

제3장 기술가치평가와 기술현물출자제도=18,34,1

제1절 기술상용화와 기술이전=18,34,1

1. 의의=18,34,3

2. 기술(연구)개발단계=20,36,2

3. 기술이전(거래)단계 및 사업화단계=22,38,3

4. 기술이전(거래)의 유형=24,40,14

제2절 기술가치평가제도=38,54,1

1. 의의=38,54,3

2. 우리나라 기술가치평가제도 현황=40,56,6

3. 기술가치평가제도의 활용=45,61,8

제3절 기술현물출자제도=53,69,1

1. 기술현물출자제도의 의의와 필요성=53,69,5

2. 기술현물출자의 관계 법령=57,73,6

3. 기술현물출자제도를 활용한 IT기업의 성공사례=63,79,5

4. 기술현물출자제도 활성화를 위한 과제=67,83,5

제4장 주요국의 기술현물출자제도 동향=72,88,1

제1절 유럽의 기술현물출자제도=72,88,1

1. 개관=72,88,2

2. 관련 제도, 정책, 정부지원의 특징=74,90,6

3. 소결=80,96,2

제2절 미국의 기술현물출자제도=82,98,1

1. 개관=82,98,2

2. 주요 기술이전 정책=84,100,3

3. 기술이전 관련 기관=87,103,5

제3절 일본의 기술현물출자제도=92,108,1

1. 개관=92,108,5

2. 지원 법령 및 제도=96,112,3

3. 소결=98,114,3

제5장 기술현물출자제도를 활용한 IT기업의 기술 수출촉진 방안=101,117,1

제1절 정보통신산업 수출촉진정책의 필요성=101,117,3

제2절 제도적 기반으로서 기술가치평가제도의 개선=104,120,2

제3절 한국정보통신수출진흥센터(ICA)의 기능 정립=106,122,1

1. IT기술의 해외정보 분석기능 강화=106,122,2

2. IT기술정보 Network Hub 기능 강화=107,123,1

3. IT기술의 가치평가기능 확립=107,123,2

4. IT기업의 수출거래 기능 확립=108,124,1

제6장 결론=109,125,3

(참고문헌)=112,128,1

1. 국내문헌=112,128,1

2. 해외문헌=112,128,2

표목차

(표2-1) Worldwide: End-User Spending On IT By Technology Segment=8,24,1

(표2-2) 국내 산업의 위기와 기회=12,28,1

(표2-3) 국내 주요 신기술산업의 발전전망=13,29,1

(표2-4) 국내 정보통신산업 생산 및 전망=14,30,1

(표2-5) 우리나라 정보통신산업의 GDP비중=16,32,1

(표2-6) 국내 정보통신산업 수출 전망=17,33,1

(표3-1) 기술의 정의=19,35,1

(표3-2) 거래(이전)대상 기술의 개념=20,36,1

(표3-3/3-4) 기술개발단계의 정부의 지원제도=21,37,1

(표3-4/3-5) 기술획득형태의 전략과 방법=27,43,1

(표3-5/3-6) 기술이전(거래)의 계약에 따른 유형=28,44,1

(표3-6/3-7) 국내 기술수지 규모=29,45,1

(표3-7/3-8) 주요국별 관심기술 유형=30,46,1

(표3-8/3-9) 기술평가업무 처리실적=31,47,1

(표3-9/3-10) 정부부처별 기술이전 관련기관 현황=32,48,1

(표3-10/3-11) 정부지정 기술거래기관 현황=33,49,1

(표3-11/3-12) 기술평가전문기관(2003년 5월말 현재)=34,50,1

(표3-12/3-13) 한국기술거래소의 기술ㆍ기업거래 및 평가사업 수행 실적=35,51,1

(표3-13/3-14) 기술거래 관련기관의 기술거래 및 기술평가 수행실적(2001년)=35,51,1

(표3-14/3-15) 기술거래사 및 기술거래 양성교육 관련 실적=36,52,1

(표3-15/3-16) 정부부처별 기술이전 및 사업화 관련 법령 및 지원 사업=37,53,1

(표3-16/3-17) 기술평가의 유형=39,55,1

(표3-17/3-18) 기술가치평가 목적에 따른 용도=40,56,1

(표3-18/3-19) 기술가치평가 시장규모 추정=42,58,1

(표3-19/3-20) 국내 주요 기술가치평가관련 기관=43,59,1

(표3-20/3-21) 기술가치평가제도의 관련 법령=44,60,1

(표3-21/3-22) 기술이전 실적=47,63,1

(표3-22/3-23) 기술가치평가 실적=48,64,1

(표3-23/3-24) 연구개발주체별 특허등록 건수=49,65,1

(표3-24/3-25) 정부의 R&D 투자 대비 기술이전 투자금액 비교=50,66,1

(표3-25/3-26) 기술가치평가와 기술금융 활용실태=51,67,1

(표3-26/3-27) 국내 기술평가제도 및 관련 평가 기관=52,68,1

(표3-27/3-28) 기술획득의 전략과 방법=55,71,1

(표2-28/3-29) 기술실시계약과 기술출자에 의한 기술이전 비교=56,72,1

(표3-29/3-30) 기술가치대상으로서 법령상의 기술의 범위=59,75,1

(표3-30/3-31) 현물출자용 기술가치평가의 법적근거와 평가기관=61,77,1

(표3-31/3-32) (주)썬바이오텍의 추진경과=64,80,1

(표3-32/3-33) 기술현물출자합작회사(주) 썬바이오텍 현황=65,81,1

(표4-1) 미국의 주요 기술이전 관련 제도=83,99,1

(표4-2) CRADA의 업무처리 절차=84,100,1

그림목차

(그림2-1) 기술혁신전략의 추진단계=6,22,1

(그림2-2) 2004년 지역별 IT 시장점유율=9,25,1

(그림2-3) 신기술융합을 통한 새로운 제품의 경쟁(예시)=11,27,1

(그림3-1) 기술상용화 단계=18,34,1

(그림3-2) 기술이전 절차도=23,39,1

(그림3-3) 기술이전(거래)의 분류 기준=25,41,1

(그림3-4) 기술가치평가의 활용 개념도=41,57,1

(그림3-5) 선진국 대비 국내산업의 기술경쟁력 수준=48,64,1

(그림3-6) 기술가치평가와 기술금융의 연계방안=69,85,1

(그림3-7/3-4) 기술시장에서 기업들의 경쟁전략=71,87,1

(그림4-1) UTEK의 투자 절차=91,107,1

(그림5-1) ICA의 IT기업 해외진출 촉진을 위한 기능강화=106,122,1

(그림5-2) ICA의 기술정보 Network Hub의 주요기능=107,123,1

(그림5-3) IT기업기술수출을 위한 ICA의 중ㆍ장기 계획=108,124,1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6

[Summary etc.]=v,7,6

Contents=xi,13,4

Chapter 1. Introduction=1,17,4

Chapter 2. Prospec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dustry=5,21,13

Chapter 3. Technology Evaluation And In-Kind Technology Investment=18,34,54

Chapter 4. Trends Of In-Kind Technology Investment In Main Countries=72,88,29

Chapter 5. Strategy Of Improvement Of Korean IT Industry Through In-Kind Investment=101,117,8

[Chapter 6. Conclusion etc.]=109,1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