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요약(제목없음)=i,3,1

요약문=i,3,11

Summary=xii,14,3

목차=xv,17,2

Contents=xvii,19,1

표목차=xviii,20,1

그림목차=xviii,20,1

제1장 서론=1,21,1

제1절 연구의 목적=1,21,2

제2절 연구 방법=2,22,2

제3절 연구의 범위와 구성=3,23,2

제2장 우리나라 농촌ㆍ농업정보화의 추진 현황=5,25,1

제1절 농업정보화의 개념과 유형=5,25,1

1. 농업정보화의 개념=5,25,2

2. 농업정보화의 유형=6,26,2

제2절 우리나라 농촌ㆍ농업정보화의 추진 과정=7,27,1

1. '농업ㆍ농촌정보화5개년계획' 시행 이전(- 2000)=7,27,3

2. '농업ㆍ농촌정보화5개년계획' 시행 이후(2001 -)=10,30,2

제3절 우리나라 농촌ㆍ농업정보화 현황 및 평가=12,32,1

1. '농업ㆍ농촌정보화5개년계획'에서 제시한 정보화 지표=12,32,2

2. 주요 사업에 대한 평가(농림부 2003)=14,34,3

3. 농촌ㆍ농업정보화 현황=16,36,1

가. 정보전달매체의 공급=16,36,2

나. 농업인 정보화 교육=17,37,1

다 농가의 인터넷 이용 현황=18,38,1

제3장 농촌ㆍ농업정보화에 대한 농민의 의식구조 분석=19,39,1

제1절 조사 개요=19,39,1

1. 조사방법 및 범위=19,39,2

2. 응답자의 구성=20,40,3

제2절 분석 결과=23,43,1

1. 인터넷 이용의 도움 정도=23,43,4

2. 인터넷 이용의 주된 목적=27,47,2

3. 인터넷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28,48,1

제4장 농촌ㆍ농업정보화와 농가소득=29,49,1

제1절 연구 동향=29,49,1

1. 농촌ㆍ농업정보화에 관한 연구 동향=29,49,3

2. 농촌ㆍ농업정보화와 농가소득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동향=31,51,3

제2절 농촌ㆍ농업정보화가 농가소득에 미치는 영향 : 실증분석=33,53,1

1. 자료(Data)=33,53,2

2. 모형=34,54,3

3. 분석방법=36,56,4

4. 분석결과=39,59,3

5. 분석결과에 관한 설명=42,62,1

가. 농업소득의 결정요인=42,62,4

나. 농외소득의 결정요인=45,65,4

제5장 요약 및 결론=48,68,7

참고문헌=55,75,7

부록=62,82,1

경남 농가소득 증대를 위한 정보화 관련 설문조사서=62,82,5

[부표A(교차분석 결과)(제목없음) 등]=67,87,18

표목차

(표2-1) 우리나라 농촌ㆍ농업 정보화 추진 과정(-2000)=9,29,1

(표2-2) 우리나라 농촌ㆍ농업 정보화 추진 과정(2001-)=10,30,2

(표2-3) 계획 수립 시 주요 정보화 지수(2000)=12,32,1

(표2-4) 계획 수립 당시 주요 정보화 목표=13,33,1

(표2-5) 전국 농가의 PC 보급 및 활용 현황(2003)=17,37,1

(표2-6) 농업인 정보화 교육 실적(2003)=17,37,1

(표2-7) 농가의 인터넷 이용률=18,38,1

(표2-8) 농가의 인터넷 이용비용(2003)=18,38,1

(표3-1) 농가소득 규모별 인터넷 이용의 도움 정도=24,44,1

(표3-2) 카이제곱 검정=24,44,1

(표4-1) 분석에 사용된 변수=37,57,2

(표4-2) 농업소득의 결정요인=40,60,1

(표4-3) 농외소득의 결정요인=41,61,1

그림목차

(그림1) 연령=21,41,1

(그림2) 학력=21,41,1

(그림3) 소득 규모=21,41,1

(그림4) 영농형태=22,42,1

(그림5) 전겸 여부=22,42,1

(그림6) 영농규모=22,42,1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13

[Summary etc.]=xii,14,5

Contents=xvii,19,2

Chapter 1. Introduction=1,21,1

1. Purpose Of Research=1,21,2

2. Research Methodology=2,22,2

3. Scope And Contents Of Research=3,23,2

Chapter 2. The Current State Of Rural-Agricultural Informatization(RAI) In Korea=5,25,1

1. Concepts And Types Of RAI=5,25,3

2. Process Of RAI In Korea=7,27,5

3. Current State Of And Evaluation For RAI In Korea=12,32,7

Chapter 3. Analysis Of Farmer's Intention About RAI=19,39,1

1. Summary Of Survey=19,39,4

2. Results Of Analysis=23,43,6

Chapter 4. Relation Between RAI And Farm Income=29,49,1

1. Literature Survey=29,49,5

2. Effects Of RAI On Farm Income - Empirical Analysis=33,53,16

Chapter 5. Summary And Conclusion=48,68,7

References=55,75,7

Appendix=62,82,1

Questionnaire=62,82,5

[Table A(Results Of Cross-Table Analysis) etc.]=67,8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