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i,2,2
제목차례=iii,4,4
표목차=vii,8,4
그림목차=xi,12,8
요약문=xix,20,4
제1장 서론=1,24,2
제1절 연구 추진배경 및 필요성=3,26,1
1. 연구 추진 배경=3,26,7
2. 연구의 필요성=9,32,5
제2절 연구 목적=14,37,2
제3절 연구 범위=15,38,1
제4절 추진 체계=16,39,3
제5절 추진 성과 및 향후 활용방안=19,42,6
제2장 해양수질자동측정소의 운영기술=25,48,2
제1절 서언=27,50,1
1. 연구 목표=27,50,1
2. 연구 범위=28,51,2
3. 연구 내용=30,53,1
제2절 해양수질자동측정소의 운영관리체계 구축=31,54,1
1. 해양수질자동측정소 운영관리 시스템 표준화=31,54,34
2. 해양수질자동측정소 운영관리 교육 훈련체계 구축=65,88,8
제3절 수질자동측정자료의 정도관리체계 구축=73,96,1
1. 정도관리 및 보증계획 수립=73,96,1
2. 수질자동측정 품질 요소 파악=74,97,1
제4절 현장 수질자동측정소의 운영결과=75,98,1
1. 측정 시스템 개발 현황=75,98,22
2./3. 측정소별 부지 및 전기ㆍ통신시설=97,120,3
3./4. 수질 자동측정시스템 자료 현황=100,123,35
제3장 해양수질 자동측정시스템 및 원격감시 기능 최적화=135,158,2
제1절 서언=137,160,1
1. 연구 목표=137,160,1
2. 연구 범위=137,160,3
3. 연구 내용=139,162,3
제2절 현장용 자동측정 장치 개발 및 현장 운영=142,165,1
1. 해수용 총질소 자동측정 장치 개발=142,165,12
2. 용존산소 자동측정 장치 개발=154,177,26
3. 자동측정 장치 현장 설치=180,203,15
제3절 수질자동측정시스템 기능향상 및 원격감시=195,218,1
1. 현장 시스템 내구성 개선 및 현장 적용=195,218,5
2. 자동측정 장치 상태 상시감시 기술 연구 및 현장 적용=199,222,17
3. 수질자동측정시스템 원격감시 기술 연구 및 현장 적용=216,239,10
제4절 수질자동측정시스템 이설 및 당해연도 수행내용=226,249,1
1. 시화 2측정소 이설=226,249,2
2. 마산 3측정소 이설=228,251,2
3. 당해연도 수행내용=229,252,2
제4장 수질자동측정자료의 정도관리 시스템 개선=231,254,2
제1절 연구의 개요=233,256,1
1. 연구목표=233,256,1
2. 연구범위=233,256,1
3. 과업의 세부내용=234,257,4
4. 과업의 수행방법=238,261,1
4.1. 연구방법=238,261,1
4.2. 연구내용 및 추진체계=239,262,2
제2절 연구 결과=241,264,1
1. 시스템 분석=241,264,10
2. 수질자동측정망 관리시스템=251,274,8
3. 정도관리 시스템=259,282,3
4. 홈페이지 및 웹 관련 기능 성능 개선=262,285,1
5. 웹기반 측정자료 조회 시스템=263,286,13
6. 테이블 정의서=276,299,33
제5장 해양수질 상시측정 자료 해석=309,332,2
제1절 서언=311,334,1
1. 연구목표=311,334,1
2. 연구범위=311,334,1
3. 과업의 세부내용=311,334,2
4. 과업의 수행방법=312,335,1
제2절 연구결과=313,336,1
1. 2000~2005년 시화호 환경 및 수질의 계절 변화=313,336,26
2. 2000~2005년 마산만 환경 및 수질의 계절 변화=339,362,24
3. 2000~2005년 낙동강 환경 및 수질의 계절 변화=363,386,12
4. 성과 및 향후 과제=375,398,2
제6장 연구결과의 활용계획=377,400,4
참고문헌=381,404,8
그림2-2-1. 측정소 유지관리 시스템의 기본 모형=50,73,1
그림2-2-2. 수질자동측정망 유지관리 조직도=51,74,1
그림2-2-3. 측정소 자료의 정도관리를 위한 특성 요인도=57,80,1
그림2-2-4. 센서와 측정장치의 작동과 점검 교육 자료=68,91,1
그림2-2-4. 센서와 측정장치의 작동과 점검 교육 자료(계속)=69,92,1
그림2-2-4. 센서와 측정장치의 작동과 점검 교육 자료(계속)=70,93,1
그림2-2-4. 센서와 측정장치의 작동과 점검 교육 자료(계속)=71,94,1
그림2-2-4. 센서와 측정장치의 작동과 점검 교육 자료(계속)=72,95,1
그림2-4-1. 시화 1측정소 2005년 기상센서 자료=100,123,1
그림2-4-2. 시화 1측정소 2005년 수질센서 자료=101,124,1
그림2-4-3. 시화 1측정소 2005년 영양염류 자료=102,125,1
그림2-4-4. 시화 1측정소 2005년 COD, TN, TP 자료=103,126,1
그림2-4-5. 시화 2측정소 2005년 기상센서 자료=104,127,1
그림2-4-6. 시화 2측정소 2005년 수질센서 자료=105,128,1
그림2-4-7. 시화 2측정소 2005년 영양염류 자료=106,129,1
그림2-4-8. 시화 2측정소 2005년 COD, TN, TP 자료=107,130,1
그림2-4-9. 시화 3 정소 2005년 기상센서 자료=108,131,1
그림2-4-10. 시화 3측정소 2005년 수질센서 자료=109,132,1
그림2-4-11. 2005년 시화 3측정소 영양염류 자료=110,133,1
그림2-4-12. 2005년 시화 3측정소 COD, TN, TP 자료=111,134,1
그림2-4-13. 2005년 마산 1측정소 기상센서 자료=112,135,1
그림2-4-14. 2005년 마산 1측정소 수질센서 자료=113,136,1
그림2-4-15. 2005년 마산 1측정소 영양염류 자료=114,137,1
그림2-4-15. 2005년 마산 1측정소 COD, TN, TP 자료=115,138,1
그림2-4-16. 2005년 마산 2측정소 기상센서 자료=116,139,1
그림2-4-17. 2005년 마산 2측정소 수질센서 자료=117,140,1
그림2-4-18. 2005년 마산 2측정소 영양염류 자료=118,141,1
그림2-4-19. 2005년 마산 2측정소 COD, TP 자료=119,142,1
그림2-4-20. 2005년 마산 3측정소 수질센서 자료=120,143,1
그림2-4-21. 2005년 마산 3측정소 COD, TN, TP 자료=121,144,1
그림2-4-22. 2005년 낙동강 기상센서 자료=122,145,1
그림2-4-23. 2005년 낙동강 수질센서 자료=123,146,1
그림2-4-24. 2005년 낙동강 COD, TN, TP 자료=124,147,1
그림2-4-25. 2005년 오하마나호 N0₂+N0₃ 자료=125,148,1
그림2-4-25. 2005년 오하마나호 N0₂+N0₃ 자료(계속)=126,149,1
그림2-4-25. 2005년 오하마나호 N0₂+N0₃ 자료(계속)=127,150,1
그림2-4-25. 2005년 오하마나호 N0₂+N0₃ 자료(계속)=128,151,1
그림2-4-26. 2005년 오하마나호 PO4 자료=129,152,1
그림2-4-26. 2005년 오하마나호 PO4 자료(계속)=130,153,1
그림2-4-26. 2005년 오하마나호 PO4 자료(계속)=131,154,1
그림2-4-26. 2005년 오하마나호 PO4 자료(계속)=132,155,1
그림2-4-27. 2005년 오하마나호 암모니아성 질소(시약 및 증류수 오염)=133,156,1
그림2-4-28. 2005년 오하마나호 암모니아성 질소(정상자료)=134,157,1
그림3-2-1. 해수용 총질소 자동측정 장치 구조도=143,166,1
그림3-2-2. 시료 유입시 벨브 위치=144,167,1
그림3-2-3. 고압 가열시 밸브 위치=145,168,1
그림3-2-4. 환원시 밸브 위치=145,168,1
그림3-2-5. 세척방식에 따른 총질소 바탕실험 비교=147,170,1
그림3-2-6. 시료 50회에 대한 검량선 선형도 변화=148,171,1
그림3-2-7. 총질소 검량선=149,172,1
그림3-2-8. 총질소 재현성 결과=150,173,1
그림3-2-9./3-2-8. 브러쉬가 장착된 갈바닉 방식의 용존산소 센서=155,178,1
그림3-2-10./3-2-9. 관 삽입방식으로 개조된 브러쉬 세정도=155,178,1
그림3-2-11./3-2-10. Clark Electrodes vs. Galvanic Electrodes=156,179,1
그림3-2-12./3-2-11. 용존산소 형광측정 기작=158,181,1
그림3-2-13./3-2-12. 갈바닉 격막전극 센서(왼쪽-"S"사, 오른쪽-"P"사)=160,183,1
그림3-2-14./3-2-13. LDO(Luminescence Dissolved Oxygen) 센서=160,183,1
그림3-2-15./3-2-14. 격막전극, LDO 자료비교(시화 1측정소)=162,185,1
그림3-2-16./3-2-15. DO 7.01ppm에 대한 센서별 Recovery RSD=163,186,1
그림3-2-17./3-2-16. 용존산소 최대흡수파장=165,188,1
그림3-2-18./3-2-17. LED(47Onm) 스펙트럼=165,188,1
그림3-2-19./3-2-18. 용존산소 자동측정 장치 모식도=166,189,1
그림3-2-20./3-2-19. 용존산소 자동측정 장치 시제품=166,189,1
그림3-2-21./3-2-20. 시약주입 초기화 단계=167,190,1
그림3-2-22./3-2-21. 반응조내 시약 정량화=168,191,1
그림3-2-23./3-2-22. 반응조 세척 및 초기광도값 설정=169,192,1
그림3-2-24./3-2-23. MnCl2 용액 주입=170,193,1
그림3-2-25./3-2-24. Alk-I 용액 주입=171,194,1
그림3-2-26./3-2-25. 흡광도 측정=172,195,1
그림3-2-27./3-2-26. 반응조내 폐액 배출=173,196,1
그림3-2-28./3-2-27. 세척단계=174,197,1
그림3-2-29./3-2-28. 세척단계=175,198,1
그림3-2-30./3-2-29. 세척단계=176,199,1
그림3-2-31./3-2-30. 세척단계=177,200,1
그림3-2-32./3-2-31. 용존산소 검량선 작성=178,201,1
그림3-2-33./3-2-32. 수동측정과 자동측정 장치 비교실험=179,202,1
그림3-2-34./3-2-33. 시화 2측정소 총인 자동측정 장치 설치=180,203,1
그림3-2-35./3-2-34. 총인 알칼리성 전처리법의 바탕실험=182,205,1
그림3-2-36./3-2-35. 알칼리성 전처리법을 적용하여 분석된 총인 농도=182,205,1
그림3-2-37./3-2-36. 총인의 알칼리성과 산성 전처리에 따른 검량선 비교=183,206,1
그림3-2-38./3-2-37. 총인 산성 전처리법의 바탕실험=183,206,1
그림3-2-39./3-2-38. 산성 전처리법을 적용하여 분석된 총인 농도=184,207,1
그림3-2-40./3-2-39. 현장에서 연속가동시 검량선 변화=185,208,1
그림3-2-41./3-2-40. 시화2측정소 9월~11월 총인 자료=186,209,1
그림3-2-42./3-2-41. 시화2측정소 9월~11월 인산염 인 자료=186,209,1
그림3-2-43./3-2-42. 시화3측정소 9월~11월 총인 자료=186,209,1
그림3-2-44./3-2-43. 시화3측정소 9월~11월 인산염 인 자료=187,210,1
그림3-2-45./3-2-44. 마산1측정소 10월~11월 총인 자료=187,210,1
그림3-2-46./3-2-45. 마산1측정소 10월~11월 인산염 인 자료=187,210,1
그림3-2-47./3-2-46. PMT의 초기 설정값 변화=188,211,1
그림3-2-48./3-2-47. 감도조절용 가변저항=189,212,1
그림3-2-49./3-2-48. 광학부 모듈=189,212,1
그림3-2-50./3-2-49. 시화3측정소 9월~10월 총질소 자료=190,213,1
그림3-2-51./3-2-50. 시화1측정소 9월~11월 총질소 자료=191,214,1
그림3-2-52./3-2-51. 시화1측정소 질산성+아질산성 질소 자료=191,214,1
그림3-2-53./3-2-52. 시화1측정소 9월~11월 암모니아성 질소 자료=191,214,1
그림3-2-54./3-2-53. 시화2측정소 9월~11월 총질소 자료=192,215,1
그림3-2-55./3-2-54. 시화2측정소 9월~11월 질산성+아질산성 질소 자료=192,215,1
그림3-2-56./3-2-55 시화 2측정소 9월~11월 암모니아성 질소 자료=192,215,1
그림3-2-57./3-2-56. 시화 1측정소에 설치된 용존산소 자동측정 장치=193,216,1
그림3-2-58./3-2-57. 측정장치와 센서 비교자료=193,216,1
그림3-3-1. 이전 PEEK 밸브의 연속여과장치=195,218,1
그림3-3-2. PEEK재질의 벨브와 SUS재질의 벨브 비교=196,219,1
그림3-3-3. SUS재질로 제작된 밸브=196,219,1
그림3-3-4. Stainless Steel 밸브를 장착한 연속여과장치=197,220,1
그림3-3-5. 연속여과장치 구동 프로그램=198,221,1
그림3-3-6. 시화2,3측정소 내부 랙 교체=198,221,1
그림3-3-7. 배관시스템 교체=199,222,1
그림3-3-8. 수질자동측정시스템 구성요소=219,242,1
그림3-3-9. 시리얼 다채널 멀티포트=220,243,1
그림3-3-10. 전용선을 이용한 원격접속=221,244,1
그림3-3-10. 수질자동측정시스템 구성도=222,245,1
그림3-3-11. 데이터로거 원격감시 화면=223,246,1
그림3-3-12. 탁도 및 DO 세정기 제어 및 상태정보=224,247,1
그림3-3-13. 디버블러 및 Reservoir 수위센서 상태정보(수위이상)=224,247,1
그림3-3-14. 자료출력 및 측정장치 작동정보=225,248,1
그림3-4-1. 시화 2측정소 이설위치=226,249,1
그림3-4-2. 이설된 시화 2측정소=226,249,1
그림3-4-3. 마산 3측정소 이설현장=228,251,1
그림4-1-1. 시스템 개발 구성=239,262,1
그림4-1-2. 데이터 흐름도=240,263,1
그림4-2-1. 윈도우즈 2003 Server 아키텍쳐=244,267,1
그림4-2-2. 윈도우즈 2003 Server의 Logon과 Security Subsystem=245,268,1
그림4-2-3. 수질자동측정망 시스템 구성도=251,274,1
그림4-2-4. 측정소관리시스템 자료흐름도=252,275,1
그림4-2-5. 측정소관리시스템 기능도=253,276,1
그림4-2-6. 사용자 로그인=253,276,1
그림4-2-7. 측정소관리시스템=254,277,1
그림4-2-8. 점검자료 검색=255,278,1
그림4-2-9. 의사전달 관리자=256,279,1
그림4-2-10. 전달 사항 보기=256,279,1
그림4-2-11. 의사전달 내용 작성=257,280,1
그림4-2-12. 기기 교체 현황=257,280,1
그림4-2-13. 측정소 장비 작동현황=258,281,1
그림4-2-14. 응용서버 정도관리=259,282,1
그림4-2-15. QAQC Server=260,283,1
그림4-2-16. 클라이언트 정도관리 화면=261,284,1
그림4-2-17. 클라이언트 정도관리 자료검색 화면=261,284,1
그림4-2-18. 홈페이지 사이트 맵=262,285,1
그림4-2-19. 웹기반 측정자료 조회=263,286,1
그림5-2-1. 시화 1측정소 염분 계절변화(2000~2005)=315,338,1
그림5-2-2. 시화 2측정소 염분 계절변화(2000~2005)=316,339,1
그림5-2-3. 시화 3측정소 염분 계절변화(2000~2005)=316,339,1
그림5-2-4. 시화 1측정소 강수량 계절변화(2000~2005)=317,340,1
그림5-2-5. 시화 1측정소 DO 계절변화(2000~2005)=318,341,1
그림5-2-6. 시화 2측정소 DO 계절변화(2000~2005)=318,341,1
그림5-2-7. 시화 3측정소 D0 계절변화(2000~2005)=319,342,1
그림5-2-8. 시화 1측정소 pH 계절변화(2000~2005)=320,343,1
그림5-2-9. 시화 2측정소 pH 계절변화(2000~2005)=320,343,1
그림5-2-10. 시화 3측정소 pH 계절변화(2000~2005)=321,344,1
그림5-2-11. 시화 1측정소 탁도 계절변화(2000~2005)=322,345,1
그림5-2-12. 시화 2측정소 탁도 계절변화(2000~2005)=322,345,1
그림5-2-13. 시화 3측정소 탁도 계절변화(2000~2005)=323,346,1
그림5-2-13. 시화 1측정소 COD 계절변화(2000~2005)=324,347,1
그림5-2-14. 시화 2측정소 COD 계절변화(2000~2005)=324,347,1
그림5-2-15. 시화 3측정소 COD 계절변화(2000~2005)=325,348,1
그림5-2-16. 시화 1측정소 암모니아성 질소 계절변화(2000~2005)=326,349,1
그림5-2-17. 시화 3측정소 암모니아성 질소 계절변화(2000~2005)=326,349,1
그림5-2-18. 시화 3측정소 암모니아성 질소 계절변화(2000~2005)=327,350,1
그림5-2-19. 시화 1측정소 질산성+아질산성 질소 계절변화(2000~2005)=328,351,1
그림5-2-20. 시화 2측정소 질산성+아질산성 질소 계절변화(2000~2005)=328,351,1
그림5-2-21. 시화 3측정소 질산성+아질산성 질소 계절변화(2000~2005)=329,352,1
그림5-2-22. 시화 1측정소 인산염 인 계절변화(2000~2005)=330,353,1
그림5-2-23. 시화 2측정소 인산염 인 계절변화(2000~2005)=330,353,1
그림5-2-24. 시화 3측정소 인산염 인 계절변화(2000~2005)=331,354,1
그림5-2-25. 마산만 염분 계절변화(정점 1, 2000~2005)=341,364,1
그림5-2-26. 마산만 염분 계절변화(정점 2, 2000~2005)=342,365,1
그림5-2-27. 마산만 염분 계절변화(정점 3, 2000~2005)=342,365,1
그림5-2-28. 마산만 강수량 계절변화(정점 1, 2000~2005)=343,366,1
그림5-2-29. 마산만 DO 계절변화(정점 1, 2000~2005)=344,367,1
그림5-2-30. 마산만 DO 계절변화(정점 2, 2000~2005)=345,368,1
그림5-2-31. 마산만 DO 계절변화(정점 3, 2000~2005)=345,368,1
그림5-2-32. 마산만 pH 계절변화(정점 1, 2000~2005)=346,369,1
그림5-2-33. 마산만 pH 계절변화(정점 2, 2000~2005)=347,370,1
그림5-2-34. 마산만 pH 계절변화(정점 3, 2000~2005)=347,370,1
그림5-2-35. 마산만 탁도 계절변화(정점 1, 2000~2005)=348,371,1
그림5-2-36. 마산만 탁도 계절변화(정점 2, 2000~2005)=349,372,1
그림5-2-37. 마산만 탁도 계절변화(정점 3, 2000~2005)=349,372,1
그림5-2-38. 마산만 COD 계절변화(정점 1, 2000~2005)=350,373,1
그림5-2-39. 마산만 COD 계절변화(정점 2, 2000~2005)=351,374,1
그림5-2-40. 마산만 COD 계절변화(정점 3, 2000~2005)=351,374,1
그림5-2-41. 마산만 NH4+ 계절변화(정점 1, 2000~2005)=352,375,1
그림5-2-42. 마산만 NH4+ 계절변화(정점 2, 2000~2005)=353,376,1
그림5-2-43. 마산만 NO3 계절변화(정점 1, 2000~2005)=354,377,1
그림5-2-44. 마산만 NO3 계절변화(정점 2, 2000~2005)=354,377,1
그림5-2-45. 마산만 PO4 계절변화(정점 1, 2000~2005)=355,378,1
그림5-2-46. 마산만 PO4 계절변화(정점 2, 2000~2005)=356,379,1
그림5-2-47. 마산만 일차생산 양상(2005년 6월~11월)=362,385,1
그림5-2-48. 낙동강 염분 계절변화(2000~2005)=365,388,1
그림5-2-49. 낙동강 강수량 계절변화(2000~2005)=365,388,1
그림5-2-50. 낙동강 DO 계절변화(2000~2005)=366,389,1
그림5-2-51. 낙동강 pH 계절변화(2000~2005)=367,390,1
그림5-2-52. 낙동강 COD 계절변화(정점 1, 2000~2005)=368,391,1
그림5-2-53. 낙동강 NH4+ 계절변화(정점 1, 2000~2005)=369,392,1
그림5-2-54. 낙동강 NO3 계절변화(정점 1, 2000~2005)=370,393,1
그림5-2-55. 낙동강 PO4 계절변화(정점 1, 2000~2005)=371,394,1
jpg
그림3-2-15./3-2-14. 격막전극, LDO 자료비교(시화 1측정소)=162,185,1
그림3-2-58./3-2-57. 측정장치와 센서 비교자료=193,216,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