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목차=i,3,3

표목차=iv,6,1

그림목차=v,7,1

요약문=vi,8,1

Abstract=vii,9,1

제1장 서론=1,10,1

1.1. 연구배경=1,10,3

1.2. 연구 목적=3,12,1

1.3. 연구 내용=4,13,2

제2장 HBMS의 현황 분석=6,15,1

2.1. 교량유지관리 시스템(Bridge Management System)의 개념 및 현황=6,15,1

2.1.1. BMS의 정의와 기본개념=6,15,3

2.1.2. BMS의 개발 및 운용 현황=8,17,2

2.1.2.1. PONTIS=9,18,3

2.1.2.2. BRIDGIT=11,20,2

2.1.2.3. DANBRO=12,21,2

2.1.2.4. KOBMS=13,22,2

2.2. HBMS의 구성 체계=14,23,1

2.2.1. HBMS의 개발 목적=14,23,3

2.2.2. HBMS의 구성체계=16,25,1

2.2.2.1. 개념=16,25,2

2.2.2.2. HBMS의 중요모듈=17,26,1

2.2.2.3. HBMS의 교량유지관리 업무 연관도=18,27,1

2.2.2.4. HBMS의 메뉴구조도=19,28,1

2.2.2.5. HBMS의 데이터 연계 및 흐름도=20,29,1

2.2.2.6. HBMS의 기능상의 특징=21,30,1

2.3. HBMS의 의사결정 체계=22,31,1

2.3.1. HBMS 의사결정체계의 특징=22,31,2

2.3.2. HBMS의 의사결정 방식=23,32,1

2.3.2.1. 의사결정 방식 개요=23,32,4

2.3.2.2. 교량 노후도 지수=26,35,4

2.3.2.3. 교량의 기능성 지수=30,39,2

2.3.2.4. 교량의 사용성 지수=31,40,2

2.3.2.5. 교량의 성능지수=32,41,2

제3장 BMS의 의사결정방법 이론=34,43,1

3.1. 개요=34,43,2

3.2. 의사결정 모델=35,44,1

3.2.1. 개요=35,44,2

3.2.2. 교량의 성능 평가(Bridge Performance Assessment)=36,45,1

3.2.2.1. 성능개념과 공용수명=36,45,2

3.2.2.2. 교량상태와 상태등급=37,46,2

3.2.2.3. 교량 내하력(Load Carrying Capacity)=39,48,6

3.2.3. 교량의 노후화 프로세스(Deterioration Process)=44,53,1

3.2.3.1. 기존의 교량 노후화 모델의 분류=45,54,3

3.2.3.2. Markovian Deterioration Model=47,56,5

3.3. 국내외 BMS의 의사결정 적용사례=51,60,1

3.3.1. 개요=51,60,1

3.3.2. 미 연방정부의 의사결정 방식=52,61,2

3.3.3. North Carolina 주의 의사결정 방식=53,62,1

3.3.3.1. 개요=53,62,2

3.3.3.2. 내하력 지수(CP)=54,63,2

3.3.3.3. 잔존수명 필요함수(LP)=55,64,2

3.3.4. 펜실바니아의 우선순위 결정 방법=57,66,1

3.3.5. KOBMS의 의사결정 방식=58,67,1

3.3.5.1. 개요=58,67,1

3.3.5.2. MC 모델의 구성=58,67,2

3.3.5.3. 점검자료의 분류=59,68,3

제4장 HBMS의 의사결정시스템 개선방향=62,71,1

4.1. 개요=62,71,3

4.2. HBMS 점검입력자료의 분석 및 개선방향=64,73,1

4.2.1. 점검입력자료의 특성=64,73,4

4.2.2. HBMS 점검결과를 통한 교량 손상모델 추출=67,76,2

4.2.2.1. PSCI 교량에 대한 노후화 모델 추출=68,77,4

4.2.2.2. 라멘교에 대한 노후화 모델 추출=71,80,2

4.2.2.3. 강박스 교량의 노후화 모델 추출=72,81,2

4.2.3. HBMS의 점검체계 개선 방향=73,82,2

4.2.3.1. 교량 구성부재의 검토=74,83,2

4.2.3.2. 교량 형식별 가중치의 변경=76,85,1

4.2.3.3. 네트워크 수준의 의사결정을 위한 프로젝트 수준의 노후도 산출 방식=77,86,1

4.3. HBMS의 의사결정알고리즘 개선방향=78,87,1

4.3.1. 개요=78,87,2

4.3.2. 교량의 기능성 지수(Fuctional Index;FI)=80,89,1

4.3.3. 교량의 사용성 지수(Serviceability Index;SI)=81,90,1

4.3.4. 교량의 성능 지수(Capacity Index;CI)=82,91,2

4.4. HBMS의 향후 개선 방향=83,92,3

제5장 결론=86,95,3

참고문헌=89,98,2

Appendix=91,100,1

A. PSCI 대상교량의 상태등급 분포=92,101,10

B. Rahmen 대상교량의 상태등급 분포=102,111,5

C. STB 대상교량의 상태등급 분포=107,116,9

D. 교량의 사용성 지수 산정 등급=116,125,1

E. 교량의 성능 지수 산정 등급=117,126,1

도서정보=118,127,2

[판권지]=120,129,1

표목차

표2.1. 고속도로 교량유지관리 시스템의 각 모듈별 주요기능=17,26,1

표2.2. HBMS의 기능상의 특징=21,30,1

표2.3. 교량의 구성부재별 상태등급별 지수=27,36,1

표2.4. 섹션별 결함 지수산정=27,36,1

표2.5. 점검항목 4개인 경우의 결함대표등급 산정표=28,37,1

표2.6. 각 교량구성부재의 결함도 지수 비중표=28,37,1

표2.5. 교량의 기능성평가(FI) 항목의 가중치=31,40,1

표2.6. 교량의 등급별 지수에 따른 가중치=31,40,1

표2.7. 교량의 사용성 지수(SI) 항목=32,41,1

표2.8. 교량에 대한 성능지수 항목=33,42,1

표3.1. FHWA 교량 상태 등급 시스템=38,47,1

표3.2. 재료별 저항에 대한 통계적 특성값=42,51,1

표3.3. 교량 하중에 대한 통계적 특성값=42,51,1

표3.4. 정규분포에서 파괴확률과 안전지수의 관계=43,52,1

표3.5. 미국의 각주별 BMS 상의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가중치 비교=51,60,1

표3.6. North Carolina주의 교량에 대한 우선순위 산정 공식=55,64,1

표3.7. TDR의 구성항목=57,66,1

표3.8. KBMS의 의사결정 체계=60,69,1

표3.9. 보수결함도에 대한 배점=61,70,1

표4.1. HBMS의 각 구성부재별 구성단위=65,74,1

표4.2. 3경간 PSCI 교량의 점검데이타=65,74,1

표4.3. 작천교(1969년 준공)의 바닥판에 대한 2003년 정밀점검 결과=69,78,1

표4.4. 개선된 HBMS의 점검 부재와 결함항목=75,84,1

표4.5. 3경간 PSCI 교량의 개선된 HBMS에 의한 점검데이타=75,84,1

표4.6. 기존의 HBMS상의 각 형식별 구성부재 가중치=76,85,1

표4.7. 개선된 HBMS상의 각 형식별 구성부재 가중치=76,85,1

표4.8. HBMS의 의사결정 알고리즘의 판단기준=79,88,1

표4.9. 교량의 기능성평가항목의 가중치=80,89,1

표4.10. 각 등급별 사용성 지수 산출을 위한 지수=81,90,1

표4.11. 교량의 사용성평가항목의 가중치=81,90,1

표4.12. 교량에 대한 성능지수 항목=82,91,1

그림목차

그림1.1. HBMS 의사결정시스템 개선을 위한 연구진행 절차=5,14,1

그림2.1. BMS의 기본 요건 및 기능=8,17,1

그림2.2. HBMS의 유지관리 업무연관도=18,27,1

그림2.3. HBMS의 메뉴구조도=19,28,1

그림2.4. HBMS의 DFD=20,29,1

그림2.5. HBMS를 이용한 교량의 유지관리 조치행위 처리과정=23,32,1

그림2.6. HBMS의 노후교량 MR&R 우선순위 선정절차도=25,34,1

그림2.7. 교량별 노후도 지수 산정 방법=29,38,1

그림3.1. 교량 성능함수에 따른 비교(Jiang & Sinha, 1989)=36,45,1

그림3.2. 하중과 저항에 대한 분포에서 파괴영역=42,51,1

그림3.3. 교량의 파괴영역=43,52,1

그림3.4. Indiana 주의 교량노후화 모델=45,54,1

그림3.5. WisDOT의 교량 노후화 모델=46,55,1

그림3.6. NYSDOT 교량 노후화 모델=46,55,1

그림3.7. 연방정부의 SR 함수의 구성비=53,62,1

그림3.8. 단일 트럭하중에 대한 ADT의 영향=54,63,1

그림3.9. 교량의 잔존수명과 상태등급과의 관계=56,65,1

그림4.1. 고속도로 교량의 분포=63,72,1

그림4.2. PSCI 교량의 바닥판 균열에 대한 상태등급 변화=68,77,1

그림4.3. PSCI 교량의 바닥판 결함등급 변화=70,79,1

그림4.4. PSCI 교량의 주형의 결함등급 변화=71,80,1

그림4.5. 라멘교의 바닥판 결함등급 변화=72,81,1

그림4.6. 강박스 교량의 상태등급의 변화=73,82,1

그림4.7. 교량의 구성부재=74,83,1

그림4.8. 프로젝트 수준의 교량노후도 산출 과정=77,86,1

그림4.9. 개선된 HBMS의 의사결정 알고리즘=78,87,1

그림4.10. 교량의 기능성 지수 산정과정=80,89,1

그림4.11. 교량의 사용성지수 산정 과정=81,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