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 등]=0,1,2
목차=i,3,3
표목차=iv,6,2
그림목차=vi,8,3
요약문=ix,11,2
Abstract=xi,13,1
제1장 개요=1,14,1
1.1. 연구 배경 및 목적=1,14,2
1.2. 연구 내용 및 범위=2,15,3
제2장 기존 연구 사례 분석=5,18,1
2.1. 우리나라의 지주 근입깊이 관련 연구사례=5,18,1
2.1.1. 설치기준 및 현황=5,18,2
2.1.2. 기존 국내연구=6,19,1
2.1.2.1. 지주 매입깊이의 구조계산 절차에 관한 연구=6,19,3
2.1.2.2. 지주 강성도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검토=8,21,2
2.1.2.3. 가드레일 지주 매입깊이 부족에 따른 보강방안 연구=9,22,2
2.1.2.4. Pendulum Test를 이용한 가드레일 지주의 횡방향 충격력에 대한 거동 연구=10,23,8
2.2. 미국의 지주 근입깊이 관련 연구사례=17,30,1
2.2.1. 미국에서의 지주 시험 연혁=17,30,3
2.2.1.1. 가드레일 지주에 대한 현장시험=19,32,1
2.2.1.2. 수평력을 받는 부재나 파일에 대한 이론해석=19,32,2
2.2.2. 지주에 대한 정적시험=20,33,3
2.2.2.1. 정적시험장비=22,35,2
2.2.2.2. 정적시험결과=23,36,2
2.2.2.3. 정적시험결과와 이론적 예측값 비교=24,37,2
2.2.3. 지주에 대한 동적시험=25,38,2
2.2.3.1. 동적시험장비=26,39,1
2.2.3.2. 동적시험결과=26,39,2
2.2.3.3. 동적시험결과와 이론적 예측값 비교=27,40,1
2.2.4. 시험결과 정리=28,41,1
2.3. 일본의 지주 근입깊이 관련 연구사례=29,42,1
2.3.1. 일본에서의 지주 시험=29,42,4
2.3.2. 지주의 토압이론식 유도=33,46,3
2.3.3. 중앙분리대 지주시험=35,48,2
2.3.4. 토목연구소내 성토에서의 시험=36,49,7
2.3.5. 일본의 연구결과 정리=43,56,2
2.4. 차량 특성 관련 조사=45,58,4
제3장 지주 근입깊이에 따른 성능 검증=49,62,1
3.1.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모의충격시험=49,62,1
3.1.1. 모의충격시험 개요=49,62,3
3.1.2. 1차 모의충격시험=51,64,1
3.1.2.1. 경계조건 및 모델링=51,64,5
3.1.2.2. 결과 및 분석=55,68,4
3.1.3. 2차 모의충격시험=58,71,1
3.1.3.1. 경계조건 및 모델링=58,71,2
3.1.3.2. 결과 및 분석=59,72,3
3.2. 중력식 펜들럼 충격시험장치를 이용한 지주충격시험=62,75,1
3.2.1. 지주충격시험 개요=62,75,3
3.2.2. 중력식 지주충격시험의 시험방법 및 내용=64,77,1
3.2.2.1. 중력식 충격시험장치=64,77,3
3.2.2.2. 데이터 계측및 지반의 다짐=66,79,3
3.2.2.3. 중력식 지주충격시험 내용=68,81,6
3.2.3. 중력식 지주충격시험 결과 및 분석=74,87,2
3.2.3.1. H형 지주 충격시험=76,89,15
3.2.3.2. O형 지주 충격시험=91,104,15
3.2.3.3. 사면을 고려한 지주 충격시험=106,119,4
3.2.3.4. 암구간을 고려한 콘크리트 보강 지주 충격시험=110,123,2
3.2.4. 시험결과 분석=112,125,1
3.2.4.1. 가드레일 지주의 적정 근입깊이 산정=112,125,7
3.2.4.2. 사면을 고려한 지주시험의 비교검증=118,131,3
3.2.4.3. 암구간을 고려한 지주시험의 비교검증=120,133,3
제4장 가드레일 시스템에 적용한 적정 근입깊이 검증=123,136,1
4.1. Barrier VII을 이용한 컴퓨터 모의시험=123,136,1
4.1.1. 일반=123,136,3
4.1.2. 모델링=126,139,1
4.1.2.1. 보 모델링=126,139,1
4.1.2.2. 지주 모델링=126,139,2
4.1.2.3. 차량 모델링=127,140,3
4.1.3. 시뮬레이션 결과=129,142,3
4.2. 실물차량 충돌시험=131,144,1
4.2.1. 실물차량 충돌시험의 개요=131,144,1
4.2.1.1. 실물차량 충돌시험의 성능평가 기준 및 시험조건=131,144,6
4.2.1.2. 실물차량 충돌시험장=136,149,5
4.2.2. 실물차량 충돌시험 결과=141,154,1
4.2.2.1. 시험조건 및 수행내용=141,154,2
4.2.2.2. 1.3ton 소형차 충돌시험 결과=143,156,4
4.2.2.3. 8ton 대형차 충돌시험 결과=147,160,4
4.2.2.4. 시험 결과 분석=151,164,4
제5장 결론 및 향후 계획=155,168,1
5.1. 결론=155,168,2
5.2. 향후계획=156,169,1
참고문헌=157,170,1
도서정보=158,171,2
[판권지]=160,173,1
그림1.1. 연구과제 수행 흐름도=4,17,1
그림2.1. 노측용 가드레일 지주의 설치(흙 속에 매입할 경우)=6,19,1
그림2.2. 지주별 변위 곡선=9,22,1
그림2.3. 지주의 단면형상=10,23,1
그림2.4. Rist Type(1850㎜×1.0m)=12,25,1
그림2.5. Rist Type(2050㎜×1.2m)=13,26,1
그림2.6. Rist Type(2150㎜×1.3m)=14,27,1
그림2.7. Rist Type(2350㎜×1.5m)=15,28,1
그림2.8. 결과 분석=16,29,2
그림2.9. 시험을 위한 지주 배치=21,34,1
그림2.10. 시험을 위한 지주매립=21,34,1
그림2.11. 수평재하 시스템=23,36,1
그림2.12. 지주 1에 대한 현장시험 및 이론해석 결과 비교=24,37,1
그림2.13. 지주 2에 대한 현장시험 및 이론해석 결과 비교=25,38,1
그림2.14. Test C2에 대한 현장시험 및 이론해석 결과 비교=27,40,1
그림2.15. 지반반력 계산 흐름도=33,46,1
그림2.16. 전도하중도=34,47,1
그림2.17. 2차 포물선도=34,47,1
그림2.18. 복합곡선(직선, 곡선)=34,47,1
그림2.19. 복잡곡선(직선, 곡선, 직선)=34,47,1
그림2.20. 지지력과 변위량과의 관계=35,48,1
그림2.21. 중분대 지주에 대한 현장시험(중국종관도로, 보총인터체인지) 결과=36,49,1
그림2.22. 관동롬층의 지주시험 시설=37,50,1
그림2.23. 정적지지력과 동적지지력과의 관계(관동롬층 성토공)=39,52,1
그림2.24. 지주의 회전중심 계산=41,54,1
그림2.25. 지주에 게이지를 붙인 위치도=41,54,1
그림2.26. 지주의 인발력 계산=42,55,1
그림2.27. 차량의 범퍼 높이 조사 장면=45,58,1
그림2.28. 차종별 범퍼 높이 측정결과=47,60,1
그림3.1. 팜크러쉬(PAM-CRASH™) CAE 해석과정=51,64,1
그림3.2. H형 지주의 치수=52,65,1
그림3.3. 펜들럼이 받는 가속도=55,68,1
그림3.4. 지주의 변형량=55,68,1
그림3.5. 지주의 변형에너지=56,69,1
그림3.6. 펜들럼의 운동에너지=56,69,1
그림3.7. 충격력에 대한 지주의 변형량=56,69,1
그림3.8. 충격력에 대한 지주의 변형모습=56,69,2
그림3.9. 지주 근입깊이별 평균 지지력=57,70,1
그림3.10. 지주 근입깊이별 지주의 처짐 변형량=57,70,1
그림3.11. 근입깊이별 최대변형거리=59,72,1
그림3.12. 근입깊이별 강성도=59,72,1
그림3.13. 지주 모델링=60,73,1
그림3.14. 지주 근입깊이에 대한 강성도의 변화=61,74,1
그림3.15. 중력식 펜들럼 충격시험장치 설계도=65,78,1
그림3.16. 중력식 충격시험장 전경=66,79,1
그림3.17. 데이터계측 시스템(EDX-1500A)과 가속도계의 부착=66,79,1
그림3.18. 속도측정을 위한 Speed Detector=67,80,1
그림3.19. 변위 측정을 위한 카메라와 눈금판=67,80,1
그림3.20. 지반의 다짐과 지주의 타입=67,80,1
그림3.21. 평판재하시험과 들밀도시험 장면=68,81,1
그림3.22. 중력식 펜들럼 충격시험 시스템=68,81,1
그림3.23. 자유낙하 직전의 추와 마그네트=69,82,1
그림3.24. 지주의 단면 형상=70,83,1
그림3.25. 지주의 최대처짐=112,125,1
그림3.26. 지주 소성힌지의 위치=112,125,1
그림3.27. 지주의 최고하중=113,126,1
그림3.28. 지주의 평균하중=113,126,1
그림3.29. 지주 처짐 결과 비교=114,127,1
그림3.30. 지주의 힌지위치 결과 비교=114,127,1
그림3.31. 지주 최대하중 결과 비교=115,128,1
그림3.32. 지주의 평균하중 결과 비교=115,128,1
그림3.33. 지주의 흡수에너지 결과 비교=115,128,1
그림3.34. H형 지주의 최대처짐 분석=116,129,1
그림3.35. O형 지주의 최대처짐 분석=116,129,1
그림3.36. H형 지주의 평균하중 분석=116,129,1
그림3.37. O형 지주의 평균하중 분석=117,130,1
그림3.38. H형 지주의 흡수에너지 분석=118,131,1
그림3.39. O형 지주의 흡수에너지 분석=118,131,1
그림3.40. 사면을 묘사한 경우와 평지반의 경우에 대한 에너지 흡수형태=119,132,1
그림3.41. 사면을 묘사한 경우와 평지반의 경우에 대해 지주가 받는 평균하중=120,133,1
그림3.42. 콘크리트 보강지주와 근입깊이 130㎝인 경우에 대한 에너지 흡수형태=122,135,1
그림3.43. 콘크리트 보강지주와 근입깊이 130㎝인 경우에 대한 지주가 받는 평균하중=122,135,1
그림4.1. 노측용 방호울타리 단면=124,137,1
그림4.2. 소형차 충돌과 대형차 충돌의 베리어 모델링=125,138,1
그림4.3. 1.3ton 차량 모델=128,141,1
그림4.4. 8ton 차량 모델=129,142,1
그림4.5. 소형차의 X축, Y축 가속도 및 Yaw 각도 변화=130,143,1
그림4.6. SB3 대형차의 베리어 처짐=131,144,1
그림4.7. SB3 대형차의 차량거동=131,144,1
그림4.8. 최대충돌변형거리 산정 개념=134,147,1
그림4.9. 충돌 차량의 이탈 속도와 이탈 각도=135,148,1
그림4.10. 충돌시험장 전경=141,154,1
그림4.11. 충돌종합계측기 및 계측센서=141,154,1
그림4.12. 노측용 가드레일 설치 도면=142,155,1
그림4.13. 노측용 방호울타리의 설치전경(소형차 시험)=143,156,1
그림4.14. 충돌후 방호울타리의 변형상태(소형차)=144,157,1
그림4.15. 충돌 전후 차량(소형차)=144,157,1
그림4.16. 시간에 따른 소형차량의 충돌거동=145,158,2
그림4.17. 노측용 방호울타리의 설치전경(대형차 시험)=147,160,1
그림4.18. 충돌 후 방호울타리의 변형상태(대형차)=148,161,1
그림4.19. 충돌 전후 차량(대형차)=148,161,1
그림4.20. 시간에 따른 대형차량의 충돌거동=149,162,2
그림4.21. X-Axis 가속도=152,165,1
그림4.22. Y-Axis 가속도=152,165,1
그림4.23. Z-Axis 가속도=153,166,1
그림4.24. Roll, Pitch, Yaw 각속도=153,166,1
그림4.25. Roll, Pitch, Yaw 각도=153,166,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