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최종보고서=0,2,1
제출문=0,3,1
사업주관기관 자체평가 의견서=0,4,4
사업주관기관의 사업성과 활용계획서=0,8,3
요약문=0,11,14
(제목차례)=0,25,9
(그림차례)=0,34,20
(표차례)=0,54,2
제1장 서론=1,56,1
제1절 Introduction=1,56,3
제2절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발전 특성 및 개발 현황=3,58,1
1.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발전 특성=3,58,1
가. DMFC의 반응과 기전력=3,58,4
나. 메탄올 산화반응의 메카니즘=6,61,4
다. 공기극의 전극 특성=9,64,3
2.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에너지 수지=11,66,2
가. 메탄올의 소비량=12,67,2
나. 소모되는 산소량=13,68,2
다. CO₂생성량=14,69,1
라. H2O 생성량=14,69,2
마./라. 연료 이용율=15,70,2
바./마. 메탄올의 Crossover=16,71,5
3.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기술 개발 현황=21,76,1
가. 요소 기술 개발=21,76,4
나. 상용화 연구=24,79,2
다. DMFC의 고성능화를 향한 새로운 기술=25,80,2
제2장 100W급 DMFC 용 단위전지 성능 향상 시스템 개발=27,82,1
제1절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단위전지 성능 향상=27,82,1
1. 복합고분자 분리막의 제조 및 전처리=27,82,1
가. β"-알루미나 복합체 멤브레인의 성능 특성=27,82,12
나. 메탄올 Crossover 방지를 위한 Pt-Ru/Nafion 복합 전해질막 제조=38,93,23
2. 활성탄 담지체에 PtRu/C 촉매를 이용한 DMFC 단위전지 성능특성=61,116,1
가. 서론=61,116,1
나. 실험=62,117,4
다. 결과 및 토의=65,120,10
라. 결론=74,129,2
제2절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스택 개발=76,131,1
1. 30W급 스택의 제조 및 운전=76,131,1
가. 서론=76,131,1
나. 스택 설계 및 제작=76,131,7
다. 스택의 성능 특성=82,137,7
라. 결론=88,143,2
2. 60W급 스택 제조 및 운전 특성=89,144,1
가. 스택 설계=89,144,4
나. 스택의 제작=93,148,2
다. 단위전지 및 스택 성능 특성=95,150,4
3. 100w급 스택의 제작 및 운전=99,154,1
가. 스택의 설계 및 제작=99,154,2
나. 스택 성능 분석=100,155,3
다. 부하 구성=103,158,1
라. 100 W급 스택 운전 및 특성=103,158,2
4. 결론=105,160,1
제3절 100w급 시스템 구성 및 축전지 하이브리드 연계 운전=106,161,1
1. DMFC 시스템 설계 방안=106,161,2
2. 시스템 구성=107,162,7
3. 축전지 하이브리드 운전 특성=113,168,2
가. DMFC 스택의 제작=114,169,2
나. 복합 동력원 구성=115,170,3
다. 하이브리드 동력원의 실험 및 결과=117,172,15
라. 실험 결과 고찰=132,187,1
제4절 종합 결론=132,187,4
참고문헌=135,190,2
제3장 100w급 직접메탄올연료전지용 고성능 MEA 및 구성요소 개발=137,192,1
제1절 서론=137,192,2
제2절 이론적 배경=138,193,1
1. 연료전지 MEA의 특성 및 성능향상=138,193,1
가. 전극=138,193,2
나. 전해질=139,194,1
다. MEA의 전처리=139,194,2
라. MEA 운전 시 가습=140,195,2
2. DMFC 장기성능=141,196,2
3. 연료전지 스택=142,197,3
4. 분리판의 전산모사=144,199,3
5. 전기화학적 분석(임피던스 분석)=146,201,4
제3절 연료전지 MEA의 특성 및 성능=149,204,1
1. 서론=149,204,1
2. 실험=149,204,1
가. 전극 및 전해질 - 전극 어셈블리(MEA) 제조=150,205,1
나. 단위전지 구성 및 운전=150,205,2
다. 전기화학 측정법=151,206,2
3. 결과 및 고찰=152,207,1
가. 단위전지 형태에 따른 성능분석=152,207,2
나. 전극 제조 조건의 영향 - 촉매잉크의 영향=153,208,3
다. 용매에 따른 장기 성능 비교 및 전기화학적 분석=155,210,4
라. 전처리에 따른 성능 변화=159,214,12
마. 전극 첨가물에 의한 성능 증가=171,226,5
바. 기체 확산층의 개량=175,230,2
사. 무가습 성능 향상 연구=176,231,9
아. 직접 코팅에 의한 전극 제조=185,240,5
4. 결론=190,245,2
제4절 직접 코팅 MEA 및 장기성능 향상 연구=192,247,1
1. 서론=192,247,1
2. 연구결과 및 고찰=192,247,1
가. 직접 코팅법을 이용한 DMFC용 MEA 제조=192,247,8
나. MEA 열처리=200,255,8
다. 열처리에 의한 장기성능 변화=207,262,10
제5절 연료전지 스택=216,271,1
1. 서론=216,271,1
2. 35 ㎠ Single Cell=216,271,2
가. 메탄올/공기 유속에 따른 단위전지 성능=218,273,2
나. 메탄올 농도에 따른 단위전지 성능=219,274,2
다. 무가습/가습 조건에서 단위전지 성능 비교=220,275,2
라. 전류밀도에 따른 단위전지 온도 변화=221,276,2
마. 온도에 따른 단위전지 성능 변화=223,278,3
바. 단위전지의 임피던스(Impedance) 분석=226,281,3
사. 일정전류에서 운전시간에 따른 단위전지 전압 변화=229,284,1
3. 8-Cell Stack의 운전 및 성능 특성=229,284,2
가. 메탄올/공기 유속에 따른 스택 성능=231,286,3
나. 메탄올 농도에 따른 스택 성능=234,289,4
다. 일정 전류에서 스택 내의 성능 분포=237,292,3
라. 전류에 따른 스택의 온도 분포=239,294,1
마. 일정 전류에서 스택 온도 분포=239,294,3
바. 일정 전류에서 8-cell 스택의 장기 성능=241,296,2
4. 대면적(106 ㎠) 단위전지의 운전특성=242,297,1
가. 메탄올 유속의 영향=242,297,3
나. 공기 유속의 영향=244,299,2
다. 메탄올 농도의 영향=245,300,3
라. 연속운전 특성=247,302,2
5. 대면적(106 ㎠) 스택의 운전특성=248,303,1
가. 메탄올 유량의 영향=248,303,10
나. 공기 유속의 영향=258,313,10
다. 메탄올 농도의 영향=267,322,10
라. 연속운전 특성=277,332,2
마. 가습의 영향=279,334,1
바. 6-Cell Stack의 응용 예=280,335,1
제6절 CFD를 이용한 전산 모사=281,336,1
1. 서론=281,336,1
2. 연구결과 및 고찰=281,336,1
가. 수치해석 및 모델전개=281,336,4
나.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전기화학적 해석=284,339,4
다. 캐소드 분리판 골의 형태에 따른 유체 유동 해석=287,342,3
라. z-패턴 분리판의 전산 모사=290,345,6
3. 결론=295,350,1
제7절 결론=296,351,3
참고문헌=298,353,2
제4장 전극성능 향상 연구=300,355,1
제1절 개요=300,355,2
제2절 연구 내용=302,357,1
1. 물을 분산매로 이용한 MEA 제조공정=302,357,1
가. 촉매분산 및 촉매잉크 제조=302,357,2
나. MEA의 제조=303,358,2
2. 실험 결과=304,359,1
가. 전극촉매의 비표면적 분석(BET분석)=304,359,2
나. Morphology 분석(SEM)=305,360,2
다. 단위전지의 성능분석=306,361,6
라. 단위전지의 Cathode 연료에 의한 영향=311,366,1
마. MEA Coating 방법에 따른 MEA성능 변화 연구=312,367,2
바. 대면적(100 ㎠ 이상) MEA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 Spray System 제작=313,368,2
사. Comparison Between Unsupported And Supported Catalysts=315,370,2
아. Reducing Mass Transport Resistance=317,372,1
제5장 CO Tolerant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다성분계 촉매 개발=318,373,1
제1절 서론=318,373,1
1. 기술개요 및 개발 필요성=318,373,1
가. 기술의 개요=318,373,3
나. 기술개발의 필요성=320,375,5
제2절 본론=325,380,1
1. 다양한 촉매 제조 및 고분산 백금촉매 제조(1차년도)=325,380,1
가. 연구배경=325,380,6
나. 연구 방법=331,386,5
다. 연구 결과 및 토론=335,390,15
2. 촉매 제조 및 조촉매 첨가기술 개발-Ru(2차년도)=350,405,1
가. 연구방법=350,405,3
나. 연구 결과 및 토론=352,407,20
3. 촉매 제조 및 조촉매 첨가기술 개발-Mo(3차년도)=371,426,1
가. 연구방법=371,426,3
나. 연구 결과 및 토론=373,428,22
제3절 결론=394,449,2
참고문헌=395,450,3
제6장 메탄올 Crossover 방지를 위한 전극 구조 개선 연구=398,453,1
제1절 서론=398,453,2
제2절 관련 기술의 국내ㆍ외 현황=399,454,1
1. 국내의 경우=399,454,2
2. 국외의 경우=400,455,2
3. 국내외 특허 및 현존 기술과의 관련성=401,456,2
제3절 현존 기술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403,458,1
1. 현존 기술의 문제점=403,458,1
가. 전극 소재 및 구조=403,458,1
나. 전해질=403,458,2
다. 전극, MEA 및 단위전지=404,459,1
라. DMFC 시스템=404,459,1
2. 기술개발 과정에서의 애로사항=404,459,2
3. 문제점 및 애로사항 해결방안=405,460,1
가. 고성능 전극구조 개발=405,460,1
나. 메탄올 저투과성 구조 개발=405,460,2
다. 고효율 MEA 구조 개발=406,461,2
제4절 연구 내용 및 결과=408,463,1
1. 확산층 소재 개발=408,463,1
가. RuO2 및 카본 물질을 적용한 확산층 소재 개발=408,463,16
나. 개선된 RuO2의 특성을 이용한 확산층 소재 개발=424,479,5
다. RuO2가 담지된 새로운 확산층 소재 개발=429,484,4
2. 흑연 탄소에 담지된 촉매 개발=433,488,1
가. 담지체의 역할=433,488,1
나. 실험방법=433,488,1
다. 카본에 담지된 촉매의 특성평가=434,489,9
라. 결론=442,497,1
3. Pd 입자가 함침된 전해질 개발=443,498,1
가. 함침된 Pd 입자가 메탄올 크로스오버에 미치는 영향=443,498,2
나. 실험 방법=444,499,3
다. 결과 및 고찰=446,501,8
라. 결과=454,509,1
참고문헌=455,510,3
제7장 : 100 W급 DMFC용 고분자 전해질 개발에 관한 연구=458,513,1
제1절 서론=458,513,1
1. 연구목적=458,513,1
2. 연구의 필요성=458,513,1
가. 기술적 측면=458,513,2
나. 경제적 측면=459,514,1
3. 직접메탄올 연료전지=460,515,1
가. 발전 원리=460,515,3
나. 고분자 전해질막=462,517,4
다. Methanol Crossover 현상=466,521,2
제2절 연구내용=468,523,1
1. 블렌드 이온교환막의 제조=468,523,1
가. 실험 시약=468,523,1
나. 용액 블렌드 및 막의 제조=469,524,2
다. 이온교환막의 물성 평가=470,525,4
2. 단위전지의 성능 실험=473,528,1
가. Membrane Electrode Assembly(MEA)의 제작=473,528,2
나. 단위전지의 성능 실험=474,529,2
제3절 결과 및 고찰=476,531,1
1. 이온교환막의 물성 평가=476,531,1
가. 블렌드 비율에 따른 결정의 변화=476,531,3
나. Nafion®/Clay 비율에 따른 복합막의 특성=478,533,3
다. 이온교환막의 기계적 물성=480,535,5
라. 이온교환막의 전도도 및 수분의 함침 능력=485,540,5
2. 단위전지의 성능=489,544,2
가. 이온교환막의 단위전지 성능=490,545,5
나. 복합이온교환막의 DMFC 성능평가=494,549,5
제4절 결론=499,554,2
제8장 연료전지의 효율 제고를 위한 모델링 연구=501,556,1
제1절 DMFC CSTR 모델과 해석해=501,556,1
1. 서론=501,556,2
2. 모델식=502,557,1
가. 물리 - 화학적 현상=502,557,2
나. 모델가정=503,558,2
다. 물질전달계수의 계산=504,559,1
3. Tafel 식의 적용 및 해석해의 계산=504,559,2
4. 결과 및 고찰=505,560,2
5. 결론=506,561,4
참고문헌=509,564,7
제2절 Femlab을 이용한 DMFC의 전산모사=516,571,1
1. 서론=516,571,2
2. 모델=517,572,1
가. 물리 - 화학적 현상=517,572,1
나. 가정=517,572,2
3. FEMLAB에 적용=518,573,1
가. 모델 Geometry=518,573,1
나. 편미분방정식(PDE)과 경계조건 적용=518,573,3
다. FEMLAB Simulator에 PDE와 경계조건입력=520,575,1
4. 결과 및 고찰=521,576,2
5. 결론=522,577,1
[참고문헌 등]=522,577,13
제9장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용 전기화학적 메탄올 농도 센서 개발=535,590,1
제1절 연구 개발의 필요성 및 목적=535,590,2
제2절 전기화학적 메탄올 센서=537,592,1
1. 기존 방법=537,592,3
2. PETE 막을 이용한 메탄올 센서=540,595,1
제3절 실험 방법=541,596,1
1. Nafion을 함침시킨 PETE 전해질 막 제작=541,596,1
가. PETE 전해질 막의 제작과정=541,596,3
나. Nafion-Impregnated PETE Membrane 전 처리 과정=544,599,1
2. 전극의 제조=544,599,1
가. Pt/C(또는 Pt/Ru/C) 전극 제조=544,599,1
나. 전극/전해질 어셈블리(MEA) 제작=544,599,3
3. 메탄올 센서 시스템의 제작=547,602,2
제4절 실험 결과 및 토의=548,603,1
1. PETE 막의 이온 전도성=548,603,3
2. Linear Sweep Voltammetry=551,606,1
가. 셀 전압/전류 상관관계의 농도 및 온도 의존성=551,606,2
나. 상온에서의 셀 전압/전류 상관관계=552,607,2
다. 셀 전압/전류 상관관계의 전해질 막 두께 의존성=553,608,2
3. Steady-State Polarization Data 및 센서의 정확도=554,609,4
4. 센서의 응답 시간과 연속 작동=558,613,2
제5절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560,615,1
[참고문헌 등]=561,616,2
(그림1-1) 다공서 탄소전극에 지지된 백금분산전극과 Nafion같은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의 발전원리=5,60,1
(그림1-2) 전지의 효율을 감소시키기는 반응속도와 ohmic저항을 고려한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연료극의 전압 - 전류 곡선=6,61,1
(그림1-3) 공기극 속에 메탄올이 용해되어 있을 경우에 산소환원 반응에 메탄올의 영향 조사 전류 - 전압 곡선=11,66,1
(그림2-1) 이온 교환시킨 H₃O+-β"-Al₂O₃의 X선 회절도=31,86,1
(그림2-2) 복합체 멤브레인(2 wt.% H₃O+-β"-Al₂O₃) 단면의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32,87,1
(그릴2-3) 복합체 멤브레인(H₃O+-β"-Al₂O₃의 함량 2wt.%)의 FT-IR 스팩트럼=32,87,1
(그림2-4) 복합체 멤브레인(2wt.% H₃O+-β"-Al₂O₃)을 사용한 멤브레인/전극 접합체(MEA) 단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34,89,1
(그림2-5) 순수한 멤브레인을 사용한 MEA의 단위전지 성능=35,90,1
(그림2-6) 복합체 멤브레인(2wt.% H₃O+-β"-Al₂O₃)을 사용한 MEA의 성능=36,91,1
(그림2-7) H₃O+-β"-Al₂O₃의 함량이 서로 다른 복합체 멤브레인을 사용한 MEA의 110℃운전 온도에서 측정한 성능=37,92,1
(그림2-8) 복합 전해질 막의 제조 공정=41,96,1
(그림2-9) 복합 전해질 막 제조 장치=42,97,1
(그림2-10) MEA제조 공정=43,98,1
(그림2-11) 복합 전해질막에 함침된 Pt와 Ru의 농도=44,99,1
(그림2-12) Pt와 Ru가 함침된 복합 전해질막의 사진=45,100,1
(그림2-13) 복합 전해질막의 EDAX=47,102,1
(그림2-14) 복합 전해질막의 XPS=48,103,1
(그림2-15) 복합 전해질 막의 TG분석=49,104,1
(그림2-16) 고분자막과Pt-Ru/Nafion 복합 전해질막의 시간에 따른 메탄올의 투과량=50,105,1
(그림2-17) 복합분리막의 함수율=51,106,1
(그림2-18) 복합분리막의 이온전도도=52,107,1
(그림2-19) Nafion에 Pt-Ru가 함침된 분리막의 IR 스펙트라=53,108,1
(그림2-20) sample A의 단위전지 성능 곡선=56,111,1
(그림2-21) sample B의 단위전지 성능 곡선=56,111,1
(그림2-22) sample D의 단위전지 성능 곡선=57,112,1
(그림2-23) sample E의 단위전지 성능 곡선=57,112,1
(그림2-25) 단위전지와 멤브레인/전극 접합체=64,119,1
(그림2-26) DMFC용 단위전지 성능측정 실험장치=64,119,1
(그림2-27) B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PtRu/C 촉매의 X-선 회절도=67,122,1
(그림2-28) B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PtRu/C 촉매의 X-선 회절도=67,122,1
(그림2-29) 순수 활성탄의 비표면적과 공정 A, B를 이용하여 제조된 PtRu/C 촉매의입자 크기의 관계=68,123,1
(그림2-30) (a)A공정으로 제조된 PtRu/C 촉매(BP15-A) (b)순수 활성탄(BP15)에 질소 흡착/탈착 등온선=70,125,1
(그림2-31) A공정으로 제조된 촉매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BP25-A)=71,126,1
(그림2-32) 공정 A, B로 제조된 촉매를 사용한 전극의 단위전지 성능 측정=72,127,1
(그림2-33) 단위전지 전력밀도와 공정 A, B로 제조된 PtRu/C 촉매의 표면적과의 관계=73,128,1
(그림2-34) 단위전지 전력밀도와 공정 A, B로 제조된 PtRu/C 촉매의 입자 크기와의 관계=74,129,1
(그림2-35) 30W급 DMFC 스택용 바이폴라 플레이트=77,132,1
(그림2-36) 외부 메니폴드형 30W급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스택 1의 사진=79,134,1
(그림2-37) 외부 매니폴드형 30W급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스택 2의 사진=80,135,1
(그림2-38) 내부 매니폴드식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스택 1의 사진=81,136,1
(그림2-39) 10셀 외부 매니폴드형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스택 1의 전압 - 전류 특성=83,138,1
(그림2-40) 10셀 외부 매니폴드형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스택 1의 전압 - 전류 특성=84,139,1
(그림2-41) 공기를 사용한 11셀 외부 매니폴드형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스택 2의 전압 - 전류 및 출력 특성=86,141,1
(그림2-42) 작동 온도에 따른 11셀 외부 매니폴드형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스택 2의 성능 특성=86,141,1
(그림2-43) 산소를 사용한 11셀 외부 매니폴드형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스택 2의 전압 - 전류 및 출력 특성=87,142,1
(그림2-44) 일정한 전류(4 A)에서 측정한 11셀 외부 매니폴드형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스택 2의 각 셀의 전압=88,143,1
(그림2-45) 100w급 DMFC 스택용 바이폴라 플레이트=91,146,1
(그림2-46) 외부 메니폴드형 100w급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용 단위전지의 사진=93,148,1
(그림2-47) 외부 메니폴드형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용 소형 스택(Short Stack, 6셀)의 사진=94,149,1
(그림2-48) 128㎠ 단위전지의 I-V특성(2MCH₃OH, 5㏄/min, λ=4.0, 45℃ 상압 운전)=95,150,1
(그림2-49) 6 Cell Short Stack의 성능, 2MCH₃OH, 15㏄/min, λ=3.5, 상압=96,151,1
(그림2-50) 60W급 DMFC 스택, 10셀 128 ㎠ 전극면적=96,151,1
(그림2-51) 60W급 DMFC 스택 성능, 10 Cell(2MCH₃OH, 20㏄/min, λ=4, 45℃, 상압)=97,152,1
(그림2-52) 60W급 스택의 OCV 및 7A의 부하에서의 셀전압 2MCH₃OH, 18㏄/min, λ=4(12 l/min), 45℃, 상압=98,153,1
(그림2-53) 60W급 DMFC 스택으로 운전되는 휴대용 TV, 12V, 상압, 상온 운전=98,153,1
(그림2-54) 외부 메니폴드형 100w급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스택의 사진=101,156,1
(그림2-55) 100w 급 36 Cell DMFC 스택 유체 흐름도=101,156,1
(그림2-56) 100w 급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성능 측정 장치=102,157,1
(그림2-57) 데이터 수집장치를 이용한 100w 급 DMFC 스택 측정 시스템=102,157,1
(그림2-58) 100w급 DMFC의 메탄올 농도에 따른 I-V 성능 특성, 메탄올 이용율 50%, λ=4(25 l/min)=104,159,1
(그림2-59) 100w급 DMFC의 메탄올 농도에 따른 OCV 및 7A 부하 운전시의 각셀 전압 특성, 메탄올 이용율 50%, λ=4(25 l/min)=104,159,1
(그림2-60)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시스템의 구성 및 제어 공정도=110,165,1
(그림2-61) 제작된 DMFC 업소용 진공청소기=112,167,1
(그림2-62) Wet Test Meter를 이용한 100W급 DMFC의 공기공급량 TEST장치=113,168,1
(그림2-63) 외부 매니폴드형 40W급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용 소형 스택=115,170,1
(그림2-64) 40W급 외부 매니폴드형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전압-전류 특성(CH₃OH:2M, 80ml/min, Air:4ℓ/Min, Temp:30℃, 65℃)=115,170,1
(그림2-65) 연료전지 축전지 복합 동력원 접속 실험 장치 구성도=117,172,1
(그림2-66) 부하 동력 변화에 따른 연료전지와 축전지의 전압 전류 분포=119,174,1
(그림2-67) 연료전지 축전지 하이브리드 동력원의 출력 특성(Booster가 없는 경우)=120,175,1
(그림2-68(a)) DMFC와 Ni-Cd 축전지 하이브리드 동력원의 부하 특성=121,176,1
(그림2-68(b)) DMFC Ni-Cd 축전지의 전류에 대한 과도응답 특성=122,177,1
(그림2-69(a)) DMFC와 Ni-MH 하이브리드 동력원의 부하특성=123,178,1
(그림2-69(b)) DMFC와 Ni-MH 축전지의 과도 응답특성=123,178,1
(그림2-70) 제작된 DC/DC 부스터의 개략적인 회로도=125,180,1
(그림2-71) 제작된 DC/DC 부스터=126,181,1
(그림2-72) 부스트가 설치된 연료전지 축전지 하이브리드 동력원의전압-전류 특성=128,183,1
(그림2-73) 부스트가 설치된 연료전지 축전지 하이브리드 동력원의부하 응답 특성=130,185,1
(그림2-74) 축전지가 방전을 기록한 후 연료전지 축전지 하이브리드 동력원의 충방전 특성=130,185,1
(그림2-75) 연료전지 출력변화에 따른 연료전지 축전지 하이브리드 동력원의 동특성=131,186,1
(그림3-1) Impedance Plot For An Electrochemical System=147,202,1
(그림3-2) Process Diagram Of MEA Fabrication=151,206,1
(그림3-3) MEA & Single cell=152,207,1
(그림3-4)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s Between Old Cell And New Cell=153,208,1
(그림3-5) Performances Of The Single Cells Showing The Effects Of Solvent For Catalyst Ink=154,209,1
(그림3-6) Nyquist Plots Of Single Cells Depending On The Solvent Of Catalyst Slurry(vs. NHE)=155,210,1
(그림3-7) Performances Of Single Cells With Anodes Using Different Solvents During Operation=156,211,1
(그림3-8) Equivalent Circuit Of DMFC Anode=157,212,1
(그림3-9) Pore Electrolyte Resistance Of Anodes Using Different Solvent During Operation=158,213,1
(그림3-10) Performance Of The Electrode Without Any Treatment=160,215,1
(그림3-11/Fig.11) Performance Of The Electrode Treated In Boiling Water For 1 hr=161,216,1
(그림3-12) Performance Of The Electrode Without Any Treatment=162,217,1
(그림3-13) Performance Of The Electrode Treated In 5 M Methanol Solution For 6 h=162,217,1
(그림3-14) Performance Of MEA1=164,219,1
(그림3-15) Performance Of MEA2=164,219,1
(그림3-16) Performance Of MEA3=165,220,1
(그림3-17) Performance Of MEA4=165,220,1
(그림3-18) Performance Of MEA5=166,221,1
(그림3-19) Performance Of MEA6=166,221,1
(그림3-20) Current Density At 0.4V As A Function Of Time=167,222,1
(그림3-21) Current Density At 0.3V As A Function Of Time=167,222,1
(그림3-22) Impedance Spectra Of MEA1=168,223,1
(그림3-23) Impedance Spectra Of MEA2=168,223,1
(그림3-24) Impedance Spectra Of MEA3=169,224,1
(그림3-25) Impedance Spectra Of MEA4=169,224,1
(그림3-26) Impedance Spectra Of MEA5=170,225,1
(그림3-27) Impedance Spectra Of MEA6=170,225,1
(그림3-28) Effect Of A Polymer Additive=172,227,1
(그림3-29) Effect Of The Ionomer Coating In 60 wt% Pt-Ru/C(E-TEK) Catalysts : For The Electrode With Inner Ionomer=15 wt% Constant=173,228,1
(그림3-30) 0.5wt% Ionomer Coating=174,229,1
(그림3-31) 1.0wt% Ionomer Coating=174,229,1
(그림3-32) 3.0wt% Ionomer Coating=175,230,1
(그림3-33) Effects Of Teflon Loading In The Diffusion Layer. (a)Carbon Paper, (b)Carbon Cloth=176,231,1
(그림3-34) Impedance(Impedence) Spectra Of The Modified-Carbon Cloth=177,232,1
(그림3-35) Performance Of A Single Cell At Various Saturator Temperature(Cell Temperature=80℃, Oxygen=400 sccm) : Black Catalyst, 3㎎Pt/㎠, 3㎎PtRU/㎠=179,234,1
(그림3-36) Change In Electrolyte Resistance As A Function Of Humidification Conditions At Cell Temperature 30℃=179,234,1
(그림3-37) Change In Electrolyte Resistance As A Function Of Humidification Conditions At Cell Temperature 80℃=180,235,1
(그림3-38) Change In Cell Voltage Upon Varying Humidity Of Cathode Gas At A Constant Current Density Of 370㎃/㎠, 3㎎/㎠ PtRu, 3㎎/㎠ Pt=181,236,1
(그림3-39) Change In Cell Voltage Upon Varying Humidity Of Cathode Gas At A Constant Current Density Of 370㎃/㎠, 5㎎/㎠ PtRu, 5㎎/㎠ Pt=181,236,1
(그림3-40) Performance Of The Single Cell At Each Conditioning Step=183,238,1
(그림3-41) Electrolyte Resistance Of The Single Cell At Each Conditioning Step=184,239,1
(그림3-42) Change In Cell Voltage Upon Varying Humidity Of Cathode Gas At A Constant Current Density Of 370 ㎃/㎠, 3㎎/㎠ Pt-Ru, 3㎎/㎠ Pt=184,239,1
(그림3-43) Single-Cell Performance With Torque Change=185,240,1
(그림3-44) Single-Cell Performance Using The Carbon Paper With Carbon Layer As A Diffusion Layer=187,242,1
(그림3-45) Single-Cell Performance Applying The Carbon Paper Without Carbon Layer As A Diffusion Layer=188,243,1
(그림3-46) Single-Cell Performance Employing The Carbon-Layered Carbon Cloth As A Diffusion Layer=188,243,1
(그림3-47) Single-Cell Performance Employing The Carbon Cloth Without Carbon Layer As A Diffusion Layer=189,244,1
(그림3-48) Comparison Of Single-Cell Performance With Different Diffusion Layers=189,244,1
(그림3-49) Single Cell Performance Under O₂ 250 sccm With Different MEA Fabrication Method=194,249,1
(그림3-50) Single Cell Performance At Various Catalyst Loading Under O₂ 250 sccm=196,251,1
(그림3-52) Single Cell Performance At Various Carbon Loading Under O₂250 sccm=197,252,1
(그림3-53) Single Cell Performance At Various Carbon Loading Under Air 1250 sccm=197,252,1
(그림3-54) Comparison Of Impedance Spectra With Various Carbon Loading At 0.25V=198,253,1
(그림3-55) Single Cell Performance Of Various MEA Fabrication Method And Different Catalyst Loading=199,254,1
(그림3-56) Single Cell Performance With An Mea Treated By Method #1=201,256,1
(그림3-57) Comparison Of impedance Spectra With An MEA Treated By Method #1=202,257,1
(그림3-58) Single Cell Performance With An MEA Treated By Method #2=203,258,1
(그림3-60) Single Cell Performance With An MEA Treated By Method #4=204,259,1
(그림3-59) Single Cell Performance With An MEA Treated By Method #3=205,260,1
(그림3-61) Comparison Of Impedance Spectra At 0.3 V And Electrolyte Resistance With Various MEA Treatment=206,261,1
(그림3-62) Single Cell Performance With An MEA Treated By Method #5=206,261,1
(그림3-63) Single Cell Performance With An MEA Treated By Method #6=207,262,1
(그림3-64) Viscosity Of Ionomer Dissolved In MeOH=208,263,1
(그림3-65) Long-Term Durability Of Single Cells=210,265,1
(그림3-66) Time Dependence Of Cell Performance With A Direct-Coating MEA=210,265,1
(그림3-67) Time Dependence Of Impedance With A Direct Coating MEA=211,266,1
(그림3-68) Time Dependence Of Cell Performance With A Conventional Hot-Press MEA=211,266,1
(그림3-69) Time Dependence Of Impedance With A Conventional Hot-Press MEA=212,267,1
(그림3-70) Time Dependance Of Cell Performance With An MEA Treated By Method #3=213,268,1
(그림3-71) Time Dependance Of Impedance With An MEA Treated By Method #3=214,269,1
(그림3-72) Time Dependance Of Cell Performance With An MEA Treated By Method #4=214,269,1
(그림3-73) Time Dependance Of Impedance With An MEA Treated By Method #3=215,270,1
(그림3-74) Schematics Of Single Cell With Active Area Of 35㎠=217,272,1
(그림3-75) Photograph Of The Single Cell=217,272,1
(그림3-76) Single Cell Performance With Varying MeOH Flow Rate At 250 sccm Dry Air=219,274,1
(그림3-77) Single Cell Performance With Varying Dry Air Flow Rate At 3.75㏄/min 2M MeOH=220,275,1
(그림3-78) Single Cell Performance With Varying MeOH Concentrations At 3.75㏄/min MeOH Solution And 250 sccm Dry Air=221,276,1
(그림3-79) Voltage Fluctuation With Air Humidification & Non-Humidification Condition At 4A, 3.75㏄/min 2M MeOH And 250 sccm Air=222,277,1
(그림3-80) Change In Cell Temperature With Increasing Current Density Under 3.75㏄/min 2M MeOH And 250 sccm Dry Air Conditions=224,279,1
(그림3-81) Single Cell Performance With Varying Cell Temperature At Air Condition=225,280,1
(그림3-82) Single Cell Performance With Varying Cell Temperature At Oxygen Condition=225,280,1
(그림3-83) Single Cell Impedance With Varying MeOH Flow Rate=227,282,1
(그림3-84) Single Cell Impedance With Varying Applied Potential=228,283,1
(그림3-85) Single Cell Impedance With Varying MeOH Concentration=228,283,1
(그림3-86) Change In Single Cell Voltage At 3.5 A On Repeated Operation And Shut-Down Run=229,284,1
(그림3-87) Schematics Of 8-Cell Stack=230,285,1
(그림3-88) Photographs Of 8-Cell Stack=230,285,1
(그림3-89) 8-Cell Stack Power(Upper) And Average Cell Power Density(Below) With Varying MeOH Flow Rate At 6 slm Dry Air=232,287,1
(그림3-90) 8-Cell Stack Power(Upper) And Average Cell Power Density(Below) With Varying Dry Air Flow Rate At 20㏄/min 2M MeOH=233,288,1
(그림3-91) Average Cell Performance With Varying MeOH Concentrations At 20㏄/min MeOH Solution And 6 slm Dry Air=235,290,1
(그림3-92) Change In Stack Voltages With Varying MeOH Concentration At Various Currents=236,291,1
(그림3-93) Change In Stack Temperature With Increasing Current Density At Various MeOH Concentration Measured At The 5th Plate=237,292,1
(그림3-94) The Distribution Of Power Density In The 8 Cell Stack At A Total Current Of 10.5A=238,293,1
(그림3-95) The Distribution Of Cell Voltage Of The 8 Cell Stack Under At Various Currents=239,294,1
(그림3-96) Change In Stack Temperature With Increasing Current Density Under 20㏄/min 2M MeOH And 6 slm Dry Air Conditions=240,295,1
(그림3-97) 8-Cell Stack Temperat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Plate Number Of Stack=241,296,1
(그림3-98) Change In Stack Performance With Time On Stream At A Load Of 3.5 A Under 1 M MeOH, Dry Air And Room Temperature Conditions=242,297,1
(그림3-99) Photographs Of Single Cell With Active Area Of 106 ㎠=243,298,1
(그림3-100) Single Cell Performance With Varying 2M MeOH Flow Rate At 750 sccm Dry Air=243,298,1
(그림3-101) Change In Cell Temperature With Varying Methanol Concentration Under 2M MeOH And 750 sccm Dry Air Conditions=244,299,1
(그림3-102) Single Cell Performance With Varying Dry Air Flow Rate At 7.5㏄/min 2M MeOH=245,300,1
(그림3-103) Change In Cell Temperature With Varying Dry Air Flow Rate At 7.5㏄/min, 2M MeOH=246,301,1
(그림3-104) Single Cell Performance With Varying MeOH Concentrations At 11.25㏄/min MeOH Solution And 750 sccm Dry Air=246,301,1
(그림3-105) Change In Cell Temperature With Varying Methanol Concentration At 11.25㏄/min MeOH Solution And 750 sccm Dry Air=247,302,1
(그림3-106) Continuous Operation Of The Stack At 15 A For 12 Hours=248,303,1
(그림3-107) Photographs Of 6-Cell Stack=249,304,1
(그림3-108) 6-Cell Stack Power(Upper) And Average Cell Power Density(Below) With Varying MeOH Flow Rate At 12 slm Dry Air=249,304,2
(그림3-109) Performance Of Each Cell At 2M, 15 ㏄/min MeOH And 750 sccm Dry Air=251,306,1
(그림3-110) Temperature Of Each Cell At 2M, 15 ㏄/min MeOH And 750 sccm Dry Air=252,307,1
(그림3-111) Performance Of Each Cell At 2M, 25 ㏄/min MeOH And 750 sccm Dry Air=252,307,1
(그림3-112) Temperature Of Each Cell At 2M, 25 ㏄/min MeOH And 750 sccm Dry Air=253,308,1
(그림3-113) Performance Of Each Cell At 2M, 35 ㏄/min MeOH And 750 sccm Dry Air=254,309,1
(그림3-114) Temperature Of Each Cell At 2M, 25 ㏄/min MeOH And 750 sccm Dry Air=255,310,1
(그림3-115) Maximum Power Density Of Each Cell In 6-Cell Stack At Various MeOH Flow Rate=256,311,1
(그림3-116) Highest Temperature Of Each Graphite Plate In 6-Cell Stack At Various MeOH Flow Rate=256,311,1
(그림3-117) Temperature Of Methanol In An Outlet Of The 6-Cell Stack At Various MeOH Flow Rate=257,312,1
(그림3-118) Temperature Of Air In An Outlet Of The 6-Cell Stack At Various MeOH Flow Rate=258,313,1
(그림3-119) 6-Cell Stack Power(Upper) And Average Cell Power Density(Below) With Varying Dry Air Flow Rate At 25 ㏄/min 2M MeOH=259,314,1
(그림3-120) Performance Of Each Cell In 6-Cell Stack At 2M, 25 ㏄/min MeOH And 7 slm Dry Air=260,315,1
(그림3-121) Temperature Of Each Cell In 6-Cell Stack At 2M, 25 ㏄/min MeOH And 7 slm Dry Air=261,316,1
(그림3-122) Performance Of Each Cell In 6-Cell Stack At 2M, 25 ㏄/min MeOH And 12 slm Dry Air=262,317,1
(그림3-123) Temperature Of Each Cell In 6-Cell Stack At 2M, 25 ㏄/min MeOH And 12 slm Dry Air=262,317,1
(그림3-124) Performance Of Each Cell In 6-Cell Stack At 2M, 25 ㏄/min MeOH And 17 slm Dry Air=263,318,1
(그림3-125) Temperature Of Each Cell In 6-Cell Stack At 2M, 25 ㏄/min MeOH And 17 slm Dry Air=264,319,1
(그림3-126) Maximum Power Density Of Each Cell In 6-Cell Stack At Various Air Flow Rate=265,320,1
(그림3-127) Highest Temperature Of Each Graphite Plate In 6-Cell Stack At Various Air Flow Rate=265,320,1
(그림3-128) Temperature Methanol In An Outlet Of The 6-Cell Stack At Various Air Flow Rate=266,321,1
(그림3-129) Temperature Of Air In An Outlet Of The 6-Cell Stack At Various Air Flow Rate=267,322,1
(그림3-130) 6-Cell Stack Power(Upper) And Average Cell Power Density(Below) With Varying MeOH Concentrations At 25 ㏄/min MeOH Solution And 12 slm Dry Air=268,323,1
(그림3-131) Performance Of Each Cell In 6-Cell Stack At 0.5M, 25㏄/min MeOH And 12 slm Dry Air=269,324,1
(그림3-132) Temperature Of Each Graphite Plate In 6-cell Stack At 0.5M, 25㏄/min MeOH And 12 slm Dry Air=269,324,1
(그림3-133) Performance Of Each Cell In 6-Cell Stack At 1M, 25㏄/min MeOH And 12 slm Dry Air=270,325,1
(그림3-134) Temperature Of Each Graphite Plate In 6-Cell Stack At 1M, 25㏄/min MeOH And 12 slm Dry Air=270,325,1
(그림3-135) Performance Of Each Cell In 6-Cell Stack At 1.5M, 25㏄/min MeOH And 12 slm Dry Air=271,326,1
(그림3-136) Temperature Of Each Graphite Plate In 6-Cell Stack At 1.5M, 25㏄/min MeOH And 12 slm Dry Air=271,326,1
(그림3-137) Performance Of Each Cell In 6-Cell Stack At 2M, 25㏄/min MeOH And 12 slm Dry Air=272,327,1
(그림3-138) Temperature Of Each Graphite Plate In 6-Cell Stack At 2M, 25㏄/min MeOH And 12 slm Dry Air=273,328,1
(그림3-139) Maximum Power Density Of Each Cell In 6-Cell Stack At Various MeOH Concentration=274,329,1
(그림3-140) Highest Temperature Of Each Graphite Plate In 6-Cell Stack At Various MeOH Concentration=274,329,1
(그림3-141) Temperature Of Methanol In An Outlet Of The 6-Cell Stack At Various MeOH Concentration=275,330,1
(그림3-142) Temperature Of Air In An Outlet Of The 6-Cell Stack At Various MeOH Concentration=276,331,1
(그림3-143) Stack Resistance At Various MeOH Concentration=276,331,1
(그림3-144) The Distribution Of Stack Voltage At 10 A For 4 Hours=277,332,1
(그림3-145) The Voltage Distribution Of Each Cell In 6-Cell Stack At 10A For 4 Hours=278,333,1
(그림3-146)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Each Graphite Plate In 6-Cell Stack At 10 A For 4 hours=278,333,1
(그림3-147) Voltage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With Air Humidification & Nonhumidification Condition At 10A, 25㏄/min 2M MeOH And 12 slm Air=279,334,1
(그림3-148) TV Monitor(12W) Which Was Powered By 6-Cell DMFC Stack Connected With DC-DC Converter=280,335,1
(그림3-149) 3-Dimensional Domain In The Present Model=284,339,1
(그림3-150) 3-Dimensional Domains For Three Flow Types;(a)Serpentine Flow Field, (b)Parallel Flow(I), (c)Parallel Flow Field(II)=285,340,1
(그림3-151) Contour Of Methanol Concentration In The MEA And Flow Channel=285,340,1
(그림3-152) Contour Of Oxygen Concentration In The MEA And Flow Channel=286,341,1
(그림3-153) Methanol Concentration Distribution Along The Flow Direction In The Anode Catalyst Layer=287,342,1
(그림3-154) Polarization Curve From The Present Model=288,343,1
(그림3-155) Contour Of Water Under Various Flow Types=289,344,1
(그림3-156) Structure Of Z-Pattern Flow Field=291,346,1
(그림3-157) Pressure Profile Of Cathode Field=293,348,1
(그림3-158) Temperature Profile Of Cathode Field=293,348,1
(그림3-159) Pressure Profile Of Anode Field(1 Port)=294,349,1
(그림3-160) Pressure Profile Of Anode Field(3 Ports)=294,349,1
(그림3-161) Velocity Profile Of Anode Field(3 Ports)=295,350,1
(그림4-1) 촉매잉크의 제조=303,358,1
(그림4-2) MEA 제조 순서도=305,360,1
(그림4-3) 촉매 잉크의 종류에 따른 BET분석 결과=306,361,1
(그림4-4) Solvent의 변화에 따른 Electrode의 Morphology=307,362,2
(그림4-5) 단위전지 측정장치=308,363,1
(그림4-6) 촉매잉크의 분산매 변화에 의한 MEA성능곡선(전압 - 전류밀도)(80℃, Anode : 2M CH3OH 2㎖/min, Cathode : O2 1000 ㏄/min)=309,364,1
(그림4-7) 촉매잉크의 분산매 변화에 의한 MEA성능곡선(전력밀도 - 전류밀도)(80℃, Anode : 2M CH3OH 2㎖/min, Cathode : O2 1000 ㏄/min)=310,365,1
(그림4-8) Cathode의 연료공급량 변화에 의한 MEA성능곡선=311,366,1
(그림4-9) 전극 코팅 방법의 변경에 따른 성능 곡선(80℃, Anode : 2M CH3OH, Cathode : O2)=313,368,1
(그림4-10) 직접코팅방식에 사용될 자동 Spray System=314,369,1
(그림4-11) 촉매의 종류에 따른 TV Performance=316,371,1
(그림4-12) 물질전달저항이 줄어든 MEA의 성능 곡선=317,372,1
(그림5-1) PEM Fuel Cell Component Breakdown(Ballard Power Inc.)=323,378,1
(그림5-2) Estimated Efficiencies Of Different Automobiles Using Liquid Hydrocarbon Fuel(American Methanol Institute Report pIIII)=324,379,1
(그림5-3) XRD에 의해 측정된 Pt 입자크기=326,381,1
(그림5-4) Atomic Ratio Of Cr/Pt Of Catalysts[내용누락:p.326]=326,381,1
(그림5-5) Mass Activity Of PtCr/C Electrode=327,382,1
(그림5-6) Specific Activity Of PtCr/C Electrode=329,384,1
(그림5-7) XRD Measurement Of PtCr/C Catalysts=329,384,1
(그림5-8) Lattice Parameter of PtCr/C Obtained From Pt(111) XRD Peaks After Annealing At 900℃=330,385,1
(그림5-9) Surface Area Of Pt Of PtCr/C Measured By Cyclicvoltammetry=330,385,1
(그림5-10) Cyclic Voltammogram Of Pt-Ru Catalysts In 1 M MeOH/1M H₂SO₄=335,390,1
(그림5-12(b)) 300℃ 수소분위기에서 열처리한 Pt-Ru 합금촉매의 Ru 3d XPS Spectrum=336,391,1
(그림5-12(a)) 열처리 하지 않은 Pt-Ru 합금촉매의 Ru 3d XPS Spectrum=338,393,1
(그림5-12(b)) 300℃ 수소분위기에서 열처리한 Pt-Ru 합금촉매의 Ru 3d XPS Spectrum=338,393,1
(그림5-11) Chronoamperometry Of Pt-Ru Catalysts In 1M MeOH/1M H₂SO₄=339,394,1
(그림5-13) Cyclic Voltammogram Of Pt-Ru Catalysts In 1M H₂SO₄=341,396,1
(그림5-14) Power Density vs. Current Density Curve=341,396,1
(그림5-15) Pt-Ru Unsupported>합금촉매와 Pt-Ru/C(E-Tek) 촉매의 단위전지 성능 실험=342,397,1
(그림5-16) CV Of Pt(20wt%)Ru/C By CVD=344,399,1
(그림5-17) CV Of Pt(20wt%)/C=344,399,1
(그림5-18) CV Of Pt(20wt%)Ru(1:1)/C Pyrolyzed At 180℃=345,400,1
(그림5-19) Chronoamperometry Result Of Pt/C, PtRu/C=346,401,1
(그림5-21) Pt/C 에 대한 Ar, CO, H₂흡착시의 Pt LⅢ Edge XANES Spectra(이미지참조)=348,403,1
(그림5-22) PtRu/C 에 대한 Ar, CO, H₂흡착시의 Pt LⅢ Edge XANES Spectra(이미지참조)=348,403,1
(그림5-23) PtMo/C 에 대한 Ar, CO, H₂ 흡착시의 Pt LⅢ Edge XANES Spectra(이미지참조)=349,404,1
(그림5-24) 촉매제조 및 IR 분석장치=350,405,1
(그림5-25) E-Tek PtRu/C, 제조한 PtRu/C(80w%), 무지지체 PtRu 에 대한 XRD 스펙트라=353,408,1
(그림5-26) TEM 사진들.(a) E-Tek PtRu/C(60wt%). (b) 80wt% PtRu/C. (c)무지지체 PtRu=354,409,1
(그림5-27) 촉매들의 Cyclic Volammogams 1M MeOH+1M H₂SO₄. Scan Rate : 50㎷/s=356,411,1
(그림5-28) Pt₄Mo₁/C 의 XRD 스펙트럼=358,413,1
(그림5-29) 제조된 Pt₄Mo₁/C 합금촉매의 TEM 이미지=358,413,1
(그림5-30) 열처리 시간이 다른 여러 Pt₄Mo₁/C 합금촉매의 CO Stripping Voltammogram=359,414,1
(그림5-31) Pt5Ru₄W₁/C 합금촉매의 XRD 스펙트럼(이미지참조)=359,414,1
(그림5-32) PtRu/C(80wt%), PtRu/C(60wt%, E-Tek), t5Ru4W1/C 에 대한 DMFC 단위전지 성능 시험(a)전압 - 전류밀도 곡선.(b)전력밀도 - 전류밀도 곡선=360,415,1
(그림5-33) TEM 사진들.(a)CNT (일진). (b)Pt/CNT.(c) PtRu/CNT=362,417,1
(그림5-34) 산처리 전후의 탄소나노튜브 표면 탄소의 산화상태 변화=363,418,1
(그림5-35) E-Tek Pt/C와 Pt/CNT의 백금 LⅢ Edge XANES 스펙트라(이미지참조)=363,418,1
(그림5-36) The Peak Assignment Of Solid Ruthenocene=365,420,1
(그림5-37) IR Spectrum Of Ruthenocen After Passing Through Carbon At 170℃=366,421,1
(그림5-38) IR Spectrum Of Ruthenocen After Passing Through Pt/C At 170℃=367,422,1
(그림5-39) Ru Content Of Carbon And Pt/C Measured By ICP-AES=368,423,1
(그림5-40) Activity Of PtRu/C Prepared By Impregnation=369,424,1
(그림5-41) Activity Of PtRu/C Prepared By CVD=369,424,1
(그림5-42) XRD Patterns Of PtRu/C Prepared By Impregnation=370,425,1
(그림5-43) XRD Patterns Of PtRu/C Prepared By CVD=371,426,1
(그림5-44) 여러 가지 촉매에 대한 메탄올 활성에 대한 Cyclic Voltammograms=374,429,1
(그림5-45) 여러 가지 촉매에 대한 CO 활성에 대한 Cyclic Voltammograms=375,430,1
(그림5-46) Pt5Ru₄Mo₁/C의 Mo 3d Peak(이미지참조)=375,430,1
(그림5-47) 상용촉매(E-TEK)과 탄소나노튜브를 지지체로 사용한 촉매의 메탄올 활성Cyclic Voltammogams=376,431,1
(그림5-48) Mo 전구체의 기상 TR(Under O₂)=379,434,1
(그림5-49) Mo(CO)6의 기상 IR Spectrum=380,435,1
(그림5-50) Mo(CO)6의 기상 IR Spectrum=381,436,1
(그림5-51) Mo(CO)6의 기상 IR Spectrum=382,437,1
(그림5-52) 촉매의 질량당 활성=385,440,1
(그림5-53) 시간에 따른 전류밀도=386,441,1
(그림5-54) CO Stripping Of Pt/C=386,441,1
(그림5-55) CO Stripping OF Pt-Mo/C=387,442,1
(그림5-56) 각 촉매의 CO Stripping=387,442,1
(그림5-57) Pt/C에 Mo를 첨가한 경우의 Pt4f Binding Energy=389,444,1
(그림5-58) PtRu/C에 Mo를 첨가한 경우의 Pt4f Binding Energy=389,444,1
(그림5-59) PtMo/C 촉매의 Mo3d Binding Energy=390,445,1
(그림5-60) 백금에서의 CO 흡착=390,445,1
(그림5-61) (a) Pt/C(60wt%, E-TEK), (b) PtRu/C(60wt%, E-TEK)에 대한 CO 흡탈착 XANES Spectra=393,448,1
(그림5-62) PtRu/C에 대한 R-Space EXAFS Fitting 결과=393,448,1
(그림5-63) CO가 흡착된 Pt/C에 대한 R-Space EXAFS Fitting 결과=394,449,1
(그림6-1) DMFC 반응식=398,453,1
(그림6-2) MEA(Membrane-Electrode-Assembly)의 구조=408,463,1
(그림6-3) 상업화된 촉매의 XRD 회절 팬턴=411,466,1
(그림6-4) 70℃에서 확산층을 적용한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성능=414,469,1
(그림6-5) 30℃에서 확산층을 적용한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의 성능=415,470,1
(그림6-6) MEA 단면의 SEM 이미지=416,471,2
(그림6-7) 70℃에서 Ru산화물을 확산층으로 적용한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성능=418,473,1
(그림6-8) 70℃에서 Ru산화물을 확산층으로 적용한 직접메탄올 연료전지=421,476,1
(그림6-9) 30℃에서 Ru산화물을 확산층으로 적용한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성능=422,477,1
(그림6-10) 30℃에서 Ru산화물을 확산층으로 적용한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성능=423,478,1
(그림6-11) 70℃에서 MEA 구조내 상업화된 RuO₂을 확산층으로 적용한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의 성능=426,481,1
(그림6-12) 상업화된 RuO₂의 열처리 온도에 따른 XRD 회절 패턴=427,482,1
(그림6-13) 70℃에서 열처리전 과 후의 Ru산화물을 확산층으로 적용한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성능 비교=428,483,1
(그림6-14) 0.5M H₂SO₄에서 Carbon-RuO₂Composites의 순환 전류 전압 곡선=430,485,1
(그림6-15) Carbon-RuO₂복합체(33wt% RuO₂)의 열처리 온도에 따른 XRD 회절패턴=430,485,1
(그림6-16) 70℃에서 Carbon-Ru산화물 복합체를 확산층으로 적용한 단위 전지 성능=431,486,1
(그림6-18) 순수한 카본 물질의 XRD 회절 패턴=434,489,1
(그림6-19) 순수한 카본의 Raman Specturm=436,491,1
(그림6-20) 카본에 담지된 촉매의 XRD 회절(220) 피크=436,491,1
(그림6-21) 카본에 담지된 촉매의 TEM 사진=437,492,1
(그림6-22) 카본에 담지된 촉매의 3p3/2 XPS 피크(이미지참조)=438,493,1
(그림6-24) 순환전류 전압 곡선 - 단위 반응 면적당 전류값=440,495,1
(그림6-25) 단위전지(단워전지) 성능 비교=441,496,1
(그림6-26) Pd 나노 입자에 의해서 개선된 전해질=443,498,1
(그림6-27) Pd 입자 함침 방법=444,499,1
(그림6-28) 메탄올 투과도 측정을 위한 Polycarbonate Cell=445,500,1
(그림6-29) Pd 함침된 전해질의 Pd 성분에 대한 Profile=447,502,1
(그림6-30) 순수한 Nafion의 TEM Image=448,503,1
(그림6-31) Pd 입자가 10 min 함침된 Nafion의 TEM Image=448,503,1
(그림6-32) Pd 입자가 30 min 함침된 Nafion의 TEM Image=449,504,1
(그림6-33) Pd 입자가 6h 함침된 Nafion의 TEM Image=449,504,1
(그림6-34) 메탄올 몰농도에 따른 Refractive Index 곡선=450,505,1
(그림6-35) 30℃에서 메탄올 농도에 따른 Pd입자가 함침된 전해질을 이용한 단위전지의 성능 비교=453,508,1
(그림6-36) 70℃에서 메탄올 농도에 따른 Pd입자가 함침된 전해질을 이용한 단위전지의 성능 비교=453,508,1
(그림7-1) Schematic Diagram Of Direct Methanol Fuel Cell=462,517,1
(그림7-2) Molecular Structure Of Nafion® Membrane=464,519,1
(그림7-3) Proton Conduction By The Conception Of Water Cluster=464,519,1
(그림7-4) Structure Of Hydrated Nafion® Membrane=465,520,1
(그림7-5) Phenomenological Sketch Of The Nano-Structure In Nafion®=465,520,1
(그림7-6) Schematic Diagram Of Solution Blending Of Film Casting=470,525,1
(그림7-7) Structure Of Proton Conductivity Cell=471,526,1
(그림7-8) Measurement Of Methanol Crossover=473,528,1
(그림7-9) Structure Of Unit Cell=475,530,1
(그림7-10) Optical Micrographs: (a) Nafion®, (b) N/P=7/3, (c) N/P=6/4, (d) N/P=5/5 And (e) Kynar=477,532,1
(그림7-11) X-ray Diffractometers: (a) N/P=7/3, (b) N/P=6/4, (c) N/P=5/5, (d) N/P=3/7 And (e) Kynar=478,533,1
(그림7-12) XRD Patterns Of Recast Nafion® Membrane And Nafion®/Clay Nanocomposites=479,534,1
(그림7-13) TEMicrographs Of Nafion®/Clay : (a) 5 wt%, (b) 10 wt% And (c) 20 wt% Membrane=480,535,1
(그림7-14) Tensile Strain Of The Blend Ionomer=482,537,1
(그림7-15) Tensile Properties Of Nafion®/Clay Membranes : (a) Stress-Strain Curves And (b) Tensile Elongation=484,539,1
(그림7-16) Water Retention Of Blend Membranes=486,541,1
(그림7-17) Proton Conductivity Of Blend Membranes=486,541,1
(그림7-18) Proton Conductivity Of Nafion®/Clay Membranes=487,542,1
(그림7-19) Methanol Crossover Of Nafion®/Clay Membranes=488,543,1
(그림7-20) Methanol Crossover Current Of Nafion®/Clay Membranes=489,544,1
(그림7-21) Polarization Curve Of Typical Low Temperature Fuel Cell=490,545,1
(그림7-22) Polarization Curves Of Nafion® 115 At Different Operating Temperatures : (a) 70℃, (b) 80℃, (c) 90℃, (d) 95℃ And (e) 100℃=491,546,1
(그림7-23) Polarization Curves Of N/P=7/3 At Different Operating Temperatures : (a) 75℃, (b) 80℃, (c) 90℃ And (d) 100℃=492,547,1
(그림7-24) Polarization Curves Of N/P/G=7/2/1 At Different Operating Temperatures : (a) 75℃, (b) 80℃, (c) 90℃ And (d) 100℃=493,548,1
(그림7-25) Polarization Curves Of Unit Cell for Different Ionomer Membranes: (a) Nafion® 115, (b) N/P/G=7/2/1 And (c) N/P=7/3=494,549,1
(그림7-26) 4 ㎠ Single Cell Performance Of Nafion® At 50℃=495,550,1
(그림7-27) 4 ㎠ Single Cell Performance Of Nafion®/Clay (1 wt%) At 50℃=496,551,1
(그림7-28) 4 ㎠ Single Cell Performance Of Nafion® At 60℃=496,551,1
(그림7-29) 4 ㎠ Single Cell Performance Of Nafion®/Clay(1 wt%) At 60℃=497,552,1
(그림7-30) 4 ㎠ Single Cell Performance Of Nafion® At 70℃=497,552,1
(그림7-31) 4 ㎠ Single Cell Performance Of Nafion®/Clay(1 wt%) At 70℃=498,553,1
(그림7-32) Power Density Of Nafion®/Clay Membranes=498,553,1
(그림8-1) Reaction And Scheme Of DMFC(Directly Methanol Fuel Cell)=512,567,1
(그림8-2) a) Calculated Current-Voltage Curve Of DMFC;(b) Three Kinds Potential Drop Contributed By Anodic, Cathodic Overpotential And Ohmic Voltage Drop=513,568,1
(그림8-3) Effect Of Variation Of αa And T On Voltage-Current Curve(이미지참조)=514,569,1
(그림8-4) Effect Of Variation Of αc And T On Voltage-Current Curve(이미지참조)=514,569,1
(그림8-5) Effect Of Variation Of dM And KM On Voltage-Current Curve(이미지참조)=515,570,1
(그림8-6) Parameter Estimation From Slopes Of Voltage-Current Curve(Slope a : Kinetic Parameter, Slope b : Ohmic Parameter, Slope c : Mass Transfer Coefficient)=515,570,1
(그림8-7) Scheme Of DMFC(Direct Methanol Fuel Cell)=528,583,1
(그림8-8) Modeling Geometry Of DMFC=529,584,1
(그림8-9) Contour Plot Of Methanol Concentration In DMFC For 0.1A/㎠; 0.3A/㎠;0.5A/㎠(cfeed=1, T=80℃)=530,585,1
(그림8-10) Concentration Profiles Of Methanol At The Crosssection Of Diffusion Layer; Solid Line=0.1 A/㎠, Dashed Line=0.3 A/㎠, Dotted Line=0.5 A/㎠(cfeed=1M, T=80℃)=531,586,1
(그림8-11) Predicted Variation Of Methanol Concentration Along The Interface Anode/Membrane; Solid Line=0.1 A/㎠, Dashed Line=0.3 A/㎠, Dotted Line=0.5 A/㎠(cfeed=1M, T=80℃)=532,587,1
(그림8-12) Current-Voltage Curve In DMFC(cfeed=1M, T=80℃)=533,588,1
(그림8-13)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Current-Voltage Curve(cfeed=1, T=80℃)=534,589,1
(그림9-1) 기존 전기화학적 센서(Scheme 1)=538,593,1
(그림9-2) 기존 전기화학적 센서(Scheme 2)=539,594,1
(그림9-3) Nafion-Impregnated PETE Membrane을 제작하는 방법=542,597,1
(그림9-4) 감압 장치=542,597,1
(그림9-5) Nafion-Impregnated PETE Membrane을 제작하는 과정=543,598,1
(그림9-6) Sensor 어셈블리 단면도=545,600,1
(그림9-7) MEA 제작 과정=546,601,1
(그림9-8) DMFC에서의 Sensor의 위치=548,603,1
(그림9-9) 다공성 PETE=549,604,1
(그림9-10) Nafion-Impregnated PETE=549,604,1
(그림9-11) 전 처리 전=549,604,1
(그림9-12) 전 처리 후=549,604,1
(그림9-13) Nafion 117 혹은 Nafion-Impregnated PETE막을 전해질로 사용하였을때 DMFC에서의 Polarization 곡선 비교=550,605,1
(그림9-14) 온도와 농도에 따른 Linear Sweep Voltammetry 측정 결과=552,607,1
(그림9-15) 상온에서의 Linear Sweep Voltammetry 측정 결과=553,608,1
(그림9-16) Nafion막=554,609,1
(그림9-17) Nafion-Impregnated PETE막=554,609,1
(그림9-18) 센서의 한계 전류와 농도와의 관계=556,611,2
(그림9-19) Steady-State polarization Curve=557,612,1
(그림9-20) 상온에서의 반응 시간=558,613,1
(그림9-21) 즉각적인 응답 후 지속시간=559,614,1
jpg
(그림3-151) Contour Of Methanol Concentration In The MEA And Flow Channel=285,340,1
(그림3-152) Contour Of Oxygen Concentration In The MEA And Flow Channel=286,341,1
(그림4-3) 촉매 잉크의 종류에 따른 BET분석 결과=306,361,1
(그림5-27) 촉매들의 Cyclic Volammogams 1M MeOH+1M H₂SO₄. Scan Rate : 50㎷/s=356,411,1
(그림5-34) 산처리 전후의 탄소나노튜브 표면 탄소의 산화상태 변화=363,418,1
(그림5-35) E-Tek Pt/C와 Pt/CNT의 백금 LⅢ Edge XANES 스펙트라(이미지참조)=363,418,1
(그림5-46) Pt5Ru₄Mo₁/C의 Mo 3d Peak(이미지참조)=375,430,1
(그림5-47) 상용촉매(E-TEK)과 탄소나노튜브를 지지체로 사용한 촉매의 메탄올 활성Cyclic Voltammogams=376,431,1
(그림5-52) 촉매의 질량당 활성=385,440,1
(그림5-53) 시간에 따른 전류밀도=386,441,1
(그림5-54) CO Stripping Of Pt/C=386,441,1
(그림5-61) (a) Pt/C(60wt%, E-TEK), (b) PtRu/C(60wt%, E-TEK)에 대한 CO 흡탈착 XANES Spectra=393,448,1
(그림5-63) CO가 흡착된 Pt/C에 대한 R-Space EXAFS Fitting 결과=394,449,1
(그림6-12) 상업화된 RuO₂의 열처리 온도에 따른 XRD 회절 패턴=427,482,1
(그림6-19) 순수한 카본의 Raman Specturm=436,491,1
(그림6-20) 카본에 담지된 촉매의 XRD 회절(220) 피크=436,491,1
(그림6-35) 30℃에서 메탄올 농도에 따른 Pd입자가 함침된 전해질을 이용한 단위전지의 성능 비교=453,508,1
(그림6-36) 70℃에서 메탄올 농도에 따른 Pd입자가 함침된 전해질을 이용한 단위전지의 성능 비교=453,508,1
(그림7-26) 4 ㎠ Single Cell Performance Of Nafion® At 50℃=495,550,1
(그림7-27) 4 ㎠ Single Cell Performance Of Nafion®/Clay (1 wt%) At 50℃=496,551,1
(그림7-28) 4 ㎠ Single Cell Performance Of Nafion® At 60℃=496,551,1
(그림7-29) 4 ㎠ Single Cell Performance Of Nafion®/Clay(1 wt%) At 60℃=497,552,1
(그림7-30) 4 ㎠ Single Cell Performance Of Nafion® At 70℃=497,552,1
(그림7-31) 4 ㎠ Single Cell Performance Of Nafion®/Clay(1 wt%) At 70℃=498,553,1
(그림7-32) Power Density Of Nafion®/Clay Membranes=498,553,1
(그림8-9) Contour Plot Of Methanol Concentration In DMFC For 0.1A/㎠; 0.3A/㎠;0.5A/㎠(cfeed=1, T=80℃)=530,585,1
(그림9-15) 상온에서의 Linear Sweep Voltammetry 측정 결과=553,608,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