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i,2,1

요약문=ii,3,4

Summary=vi,7,1

목차=vii,8,2

표목차=ix,10,2

그림목차=xi,12,3

제1장 서론=1,15,3

제2장 TV 방송 신호 측정시스템=4,18,1

2-1. 측정시스템의 구성=4,18,2

2-2. 측정용 안테나=5,19,2

2-3. 측정 장치 제어 및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6,20,3

2-4. 고정 측정용 측정시스템=8,22,3

제3장 일본 TV 방송 신호 측정=11,25,1

3-1. 측정 1(부산, 고정 측정)=11,25,9

3-2. 측정 2(부산, 울산, 포항 이동측정)=19,33,14

제4장 일본 TV 방송신호의 모델링=33,47,1

4-1. 일본 D-TV 현황=33,47,12

4-2. 일본 D-TV 방송분석=45,59,8

제5장 측정 데이터의 분석=53,67,1

5-1. APD(Amplitude Probability Distribution)=53,67,3

5-2. 측정 데이터의 APD 곡선=55,69,7

제6장 분석용 소프트웨어=62,76,5

6-1. 모의실험 1=67,81,2

6-2. 모의실험 2=68,82,2

제7장 결론=70,84,3

참고문헌=73,87,3

표목차

표2-1. 측정에서 사용된 Yagi 안테나의 사양=6,20,1

표3-1. 영상 및 음성 품질 판정 등급=15,29,1

표3-2. 채널별 영상 및 음성 등급(일시 : 2005.4.19)=18,32,1

표3-3. 이동 측정 장소와 상태표=19,33,1

표3-4. 부산 금련산에서 측정 결과=21,35,1

표3-5. 부산 MBC 본건물 옆 주차장에서 측정 결과=22,36,1

표3-6. 부산 해운대 달맞이고개 주차장에서 측정 결과=23,37,2

표3-7. 울산 간절곶 등대에서 측정 결과=25,39,2

표3-8. 울산 대왕암 공원안 등대에서 측정 결과=27,41,2

표3-9. 울산 무룡산에서 측정 결과=29,43,1

표3-10. 포항 구룡포에서 측정 결과=30,44,2

표4-1. Fukuoka 지역의 D-TV 현황=33,47,2

표4-2. Saga 지역의 D-TV 현황=34,48,2

표4-3. Nagasaki 지역의 D-TV 현황=35,49,2

표4-4. Kumamoto 지역의 D-TV 현황=37,51,1

표4-5. Yamaguchi 지역의 D-TV 현황=38,52,3

표4-6. Matsue 지역의 D-TV 현황=40,54,4

표4-7. Tottori 지역의 D-TV 현황=43,57,2

표5-1. 채널별 시간율에 따른 전계강도 분포=61,75,1

표5-2. 채널별 시간율에 따른 전계강도 분포=61,75,1

그림목차

그림2-1. 측정 시스템 구성도=5,19,1

그림2-2. 측정에서 사용된 Yagi 안테나=6,20,1

그림2-3. 측정시스템 자동화 및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 흐름도=7,21,1

그림2-4. 고정 측정 시스템의 원격제어 구성도=9,23,1

그림2-5. 고정 측정시스템의 구성=10,24,1

그림2-6. 고정 측정시스템의 원격제어 프로그램=10,24,1

그림3-1. 측정 1 에서 사용된 측정시스템=11,25,1

그림3-2. 측정 1에서 사용된 안테나=12,26,1

그림3-3. 일본방송 20번 채널에서 전계강도=13,27,1

그림3-4. 일본방송 36번 채널에서 전계강도=13,27,1

그림3-5. 일본방송 36번 채널에서 영상=14,28,1

그림3-6. 일본방송 38번 채널에서 전계강도=15,29,1

그림3-7. 일본방송 38번 채널에서 영상=16,30,1

그림3-8. 일본방송 40번 채널에서 전계강도=17,31,1

그림3-9. 일본방송 53번 채널에서 전계강도=17,31,1

그림3-10. 이동측정 위치=20,34,1

그림3-11. 수신된 일본 방송채널에 대한 전계강도=21,35,1

그림3-12. 수신된 일본 방송채널에 대한 전계강도=23,37,1

그림3-13. 수신된 일본 방송채널에 대한 전계강도=25,39,1

그림3-14. 수신된 일본 방송채널에 대한 전계강도=27,41,1

그림3-15. 수신된 일본 방송채널에 대한 전계강도=29,43,1

그림3-16. 수신된 일본 방송채널에 대한 전계강도=30,44,1

그림3-17. 수신된 일본 방송채널에 대한 전계강도=32,46,1

그림4-1. 거리에 따른 전계강도(Fukuoka)=46,60,1

그림4-2. 거리에 따른 전계강도(Nagasaki)=47,61,1

그림4-3. 거리에 따른 전계강도(Saga)=48,62,1

그림4-4. 거리에 따른 전계강도(Kumamoto)=49,63,1

그림4-5. 거리에 따른 전계강도(Yamaguchi)=50,64,1

그림4-6. 거리에 따른 전계강도(Matsue)=51,65,1

그림4-7. 거리에 따른 전계강도(Tottori)=52,66,1

그림5-1. 시간에 따른 잡음신호의 변화 예=55,69,1

그림5-2. 채널 20번 APD 곡선=56,70,1

그림5-3. 채널 36번 APD 곡선=57,71,1

그림5-4. 채널 38번 APD 곡선=58,72,1

그림5-5. 채널 40번 APD 곡선=59,73,1

그림5-6. 채널 53번 APD 곡선=60,74,1

그림6-1. APD 처리를 위한 분석 소프트웨어의 흐름도=63,77,2

그림6-2. 분석 소프트웨어로 처리된 APD=67,81,1

그림6-3. 측정된 전계강도의 시간 데이터=67,81,1

그림6-4. 분석 소프트웨어로 처리된 APD=68,82,1

그림6-5. 측정된 전계강도의 시간 데이터=69,83,1

칼라목차

jpg

그림6-2. 분석 소프트웨어로 처리된 APD=67,81,1

그림6-4. 분석 소프트웨어로 처리된 APD=68,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