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요약문=I,3,3

Summary=IV,6,1

목차=V,7,1

표목차=VI,8,1

그림목차=VII,9,1

제1장 서론=1,10,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1,10,16

제2절 연구 목적=17,26,2

제2장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19,28,1

제1절 외국의 현황=19,28,16

제2절 국내의 안전사고로 인한 손상의 현황=35,44,15

제3절 국내의 안전 현황 분석=50,59,14

제4절 국내의 안전 인식 분석=64,73,12

제5절 안전사고에 대한 인간행동 분석=76,85,14

제6절 안전지도, 안전지수와 프로그램의 방향=90,99,11

제7절 요약 및 결론=101,110,7

제3장 연구목표 달성도, 연구의 제한=108,117,1

제1절 연구목표의 달성도=108,117,3

제2절 연구의 제한=111,120,3

제4장 연구결과의 활용=114,123,1

제1절 기대효과=114,123,3

제2절 활용방안=117,126,2

참고문헌=119,128,2

부록=121,130,2

표목차

[표1] OECD 국가별 어린이 사고사망 분포=5,14,1

[표2] 교통사고 발생 현황=13,22,1

[표3] 외국과 국내의 교통사고 사망자 비교=14,23,1

[표4] 교통사고 사망자의 분석(2000년)=15,24,1

[표5] 미국 Healthy People 2010 손상 관련 사업목표 및 지표=28,37,2

[표6] 미국 CDC의 국가적인 자살예방을 위한 전략과 목표들=30,39,1

[표7] 미국 주요 안전사고 및 손상문제=31,40,1

[표8] 캐나다에서의 손상 관련 결함 및 장애에 대한 내용 구분을 통한 정보 수집 도구의 세분화=33,42,1

[표9] 호주의 손상자료수집체계의 예=34,43,1

[표10] 사고 및 중독으로 인한 사망현황(2002)=36,45,1

[표11] 손상의 원인과 기전에 따른ICD-10 코드=39,48,1

[표12/11] 연도별 성별 손상 기전에 따른 사망률의 추이=41,50,1

[표13/12] 안전사고의 발생 건수 현황(2003)=43,52,1

[표14/13] 안전사고의 건강보험 진료비 현황(2003)=43,52,1

[표15/14] 손상으로 인한 조사망율의 지역별 성별 분포=47,56,1

[표16/15] 조사 대상 기관의 현황 및 특성=52,61,1

[표17/16] 조사 내용의 분류 및 항목=53,62,2

[표18/17] 15개 보건복지 관련 기관, 시설의 안전 및 그 준비 현황의 점수=55,64,1

[표19/18] 15개 보건복지 관련 기관, 시설의 안전 및 그 준비 현황의 점수=56,65,1

[표20/19] 서울시 초등학교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도 결과와 어린이 10만명당 사망자 수로 본 서울특별시 어린이 사고사망률의 각 구별 비교=62,71,1

[표21/19] 서울시내 구별 생활주변의 안전도 혹은 위험도에 대한 응답=72,81,1

[표22/20] 층별 피난자 이동방향=84,93,1

[표23/21] 피난방법=86,95,1

[표24/22] 교통문화지수 항목별 최대값과 최소값=93,102,1

[표25/23] 교통문화지수 영역별 반영비율 및 항목별 가중치=93,102,1

[표26/24] 안전보건관리평가지수의 항목과 배점=95,104,1

그림목차

[그림1] 잠재적 수명손실년수와 미연방정부의 연구투자규모('1996)=3,12,1

[그림2] 질병예방 구조=6,15,1

[그림3] 사고예방 구조=6,15,1

[그림4] 안전생활의 구조=8,17,1

[그림5] 연령군별 손상의 비례사망비율=35,44,1

[그림6] 연령군별 손상으로 인한 사망현황(2002년)=36,45,1

[그림7] 외인에 의한 손상의 사망수의 변화=40,49,1

[그림8] 연도별 손상기전에 따른 사망률의 추이=44,53,1

[그림9] 손상으로 인한 사망에서 자살과 사고의 연도별 변화=45,54,1

[그림10] 손상으로 인한 조사망율의 지역별 연도별 변화=46,55,1

[그림11] 기초손상분포지도(Injury Mapping) : 손상으로 인한 조사망율의 분포(2001)=48,57,1

[그림12] 서울시 초등학교 어린이 보호구역을 안전, 위험, 보통의 3단계로 분류한 구별 안전지도=60,69,1

[그림13] 서울시 초등학교 어린이 보호구역을 5단계로 분류한 구별 안전지도=61,70,1

[그림14] 어린이 10만명당 사망자 수로 본 서울특별시 각 구별 어린이 사고사망 지도(2002)=63,72,1

[그림15] 일반인들이 인식하는 구별 위험도의 상대적 비교=74,83,1

[그림16] 일반인들이 인식하는 상대적 구별 위험도에 대한 지도=75,84,1

[그림17] Dynomen의 개념=78,87,1

[그림18] 지하철 및 중앙로역 이용 빈도=81,90,1

[그림19] 중앙로역 통행로 인지정도=81,90,1

[그림20] 화재를 지각한 후 취한 행동의 유형=82,91,1

[그림21] 전동차 정전 시의 행동=83,92,1

[그림22/21] 피난을 결정하게 된 요인=83,92,1

[그림23/22] 대피 경로의 예상 및 되돌아온 경우=85,94,1

[그림24/23] 비상유도등 인지 및 도움여부=87,96,1

[그림25/24] 피난 장애 요소(지하3층 승강장)=88,97,1

칼라목차

jpg

[그림6] 연령군별 손상으로 인한 사망현황(2002년)=36,45,1

[그림8] 연도별 손상기전에 따른 사망률의 추이=44,53,1

[그림12] 서울시 초등학교 어린이 보호구역을 안전, 위험, 보통의 3단계로 분류한 구별 안전지도=60,69,1

[그림13] 서울시 초등학교 어린이 보호구역을 5단계로 분류한 구별 안전지도=61,70,1

[그림14] 어린이 10만명당 사망자 수로 본 서울특별시 각 구별 어린이 사고사망 지도(2002)=63,72,1

[그림16] 일반인들이 인식하는 상대적 구별 위험도에 대한 지도=75,84,1

[그림18] 지하철 및 중앙로역 이용 빈도=81,90,1

[그림20] 화재를 지각한 후 취한 행동의 유형=82,91,1

[그림21] 전동차 정전 시의 행동=83,92,1

[그림22/21] 피난을 결정하게 된 요인=83,92,1

[그림25/24] 피난 장애 요소(지하3층 승강장)=88,97,1